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6735567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8-12-05
책 소개
목차
제1부 의식과 무리: ‘사물’과 ‘것’의 미분화성
1장 찌르레기 무리와 뇌
2장 개미가 영어를 알 수 있을까?
3장 신체 도식과 신체 이미지
4장 스웜인텔리전스: 무리의 지능을 다시 생각하다
제2부 동물의 무리: 개체의 시점에서 보는 ‘사물’과 ‘것’
5장 버드안드로이드
6장 자기추진입자
7장 개량형 보이드는 무리를 어디까지 설명할 수 있는가
8장 개체는 무엇을 보는가
9장 스케일프리 상관
제3부 남병정게 무리는 고통을 느끼는가
10장 이리오모테섬에서 시작하다
11장 타조 클럽 모델
12장 ‘사물’과 ‘것’을 공존시키는 상호예기
13장 남병정게는 고통을 참고 물에 들어가는가
제4부 무리가 만드는 시계·신체·계산기
14장 남병정게 무리를 해석하다
15장 남병정게의 상호예기
16장 무리로 제작한 시계
17장 무리의 신체
18장 남병정게 계산기
제5부 무리의 의식: 조건에서 경험으로
후기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당신은 자신은 모르지만 실은 좀비다’라는 식의 폭력적인 마음이나 의식의 ‘사물’화 ―자의적인 정의―까지 낳게 될 것이다. 과연 그러한 독단을 막을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면 이는 피하기 힘든, 일종의 필요악인 것일까?
_「1장 찌르레기 무리와 뇌」
육체는 시각, 청각, 촉각이라는 감각을 갖는다. 따라서 육체의 확대로서 성립하는 신체는 육체 이외의 장소에서 감각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고 육체가 축퇴해서 성립하는 신체는 육체의 어떤 감각을 잃게 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테니스 선수는 테니스를 치는 환경 덕분에 신체 도식이 확장된다. 이때 신체 이미지도 어떤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을까? 프로 테니스 선수라면 라켓이 코트에 부딪혔을 때의 충격이 신체 자체에 부딪힐 때의 충격에 가까운 경우가 있지 않을까?
_「3장 신체 도식과 신체 이미지」
전원이 같은 것을 생각하고 같은 행동을 하기 때문에 무리에서 하나의 전체성(정렬된 무리, 단순한 사회성)이 나타난다. 개성은 요동에 의해 표현될 뿐이다. 주위에 맞추려고 생각해도 조정 능력이 불완전하면 정렬은 흐트러진다. 이 흐트러짐이 개성이 된다.
_「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