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62624731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2-07
책 소개
목차
제5장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태양계의 체계화와 세계의 일원화
1.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의 생애와 배경
2. 코페르니쿠스 개혁을 끌어낸 것
3. 행성계의 조화와 질서
4. 분점의 세차와 1년의 정의를 둘러싸고
5. 등화점(이퀀트)을 둘러싸고
6. 소주전원 모델의 도입
7. 코페르니쿠스의 궤도 결정
8. 행성 이론적 측면에서 본 코페르니쿠스 개혁의 실상
9. 이원적 세계와 그 해체
10.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의 난항
11. 코페르니쿠스의 자연학
제6장 초기 코페르니쿠스주의자들 ―레티쿠스, 가서, 겜마
1. 레티쿠스와 페트레이우스
2. 레티쿠스의 『제1해설』
3. 우주의 크기를 둘러싸고
4. 아킬레스 가서
5. 겜마 프리시우스
6. 경도결정법을 둘러싸고
7. 삼각측량과 겜마의 학문 방법
8. 『회전론』 출판 전후
9.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으로 경도되다
10. 학문 간의 서열을 둘러싸고
제7장 불가지론과 상대론 ―오시안더와 루터
1. 『회전론』의 익명의 서문 「독자에게」
2. 「독자에게」를 둘러싸고
3. 안드레아스 오시안더
4. 상대성과 불가지론
5. 종말론과 연대학
6. 루터와 코페르니쿠스
7. 루터의 과학과 신학
제8장 종교개혁과 수학적 천문학의 발전 ―멜란히톤 서클
1. 종교개혁과 대학개혁
2. 멜란히톤의 교육개혁
3. 멜란히톤과 천문학 교육
4. 멜란히톤 개혁과 수학 교육
5. 독일 점성술의 번성
6. 멜란히톤과 점성술
7. 멜란히톤과 코페르니쿠스
8. 에라스무스 라인홀트
9. 포이처와 그 제자들
10. ‘비텐베르크 해석’을 둘러싸고
부록 B 코페르니쿠스 『회전론』의 행성 궤도
주
책속에서
요컨대 지구의 운동이라는 관념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시대 이래 코페르니쿠스의 시대까지 ‘우습고’ ‘어리석은 일’이었다. 그것은 『회전론』에서 태양의 정지와 지구의 운동을 기술할 때 “따라서 우리는 다음[지구의 공전]을 인정해도 부끄럽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는 코페르니쿠스의 말에서 인상적으로 표명되어 있다. 실제로 신학적인 이단 혐의를 우려했었다면 ‘부끄럽’다는 표현을 쓸 일은 없었을 것이다.
자신의 이론을 공표하기를 오랜 세월에 걸쳐 주저한 코페르니쿠스가 무엇보다도 걱정하고 두려워한 것은, 성서를 방패로 삼은 고상한 교의에 기반을 둔 교회의 사문이나 견책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 이론의 ‘신기함과 부조리’가 일반 상식이나 통설에 정면으로 반하기 때문에 웃음거리가 되는 것이었다.
_ 제5장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겜마는 코페르니쿠스 이론의 급소, 즉 행성 궤도의 크기를 관측치로부터 유도하는 데 성공하여 태양-행성 간의 거리에 관해 ‘보다 풍부한 지식(amplior cognition)’을 만들어 내며 행성의 충과 근일점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설명한 것 등을 정확하게 파악했다. 겜마는 바로 코페르니쿠스가 태양계를 단순히 행성 궤도를 뭉뚱그려 놓은 것으로서가 아니라 한 체계system로서 파악하고, 그때까지는 ‘사실의 지식’일 뿐이었던 행성 운동의 제2의 부등성의 특징을 ‘근거의 지식’으로 전환시킨 것이라는 점을 간과하지 않았던 것이다.
_ 제6장 초기 코페르니쿠스주의자들
오시안더에게도 루터에게도 오컴과 마찬가지로 지식과 신앙은 다른 것이며 장 제르송이 말했듯이 이성으로 신앙적인 것들을 생각하는 것은 ‘무익한 호기심’으로서 징계 받아야 했다.
열렬한 루터파인 오시안더는 지동설을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한 가설로서 인정했으며 그 이상 그 진리성을 묻지 않는다는(물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중략) 종교가인 오시안더나 루터에게는 신학의 우월만이 문제였고, 함께 신학의 하위에 놓인 철학과 천문학의 서열은 관심 밖에 있었다. 이렇게 원리적이고 중요한 자연학상의 이 문제는 우선 방치되었다. 이것은 코페르니쿠스 이론의 우주론적 측면을 무시하고 그 수학적 이론만을 중시하는 특유의 해석으로 진행되었다.
_ 제7장 불가지론과 상대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