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3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3

(세계의 일원화와 천문학의 개혁)

야마모토 요시타카 (지은이), 박철은 (옮긴이)
동아시아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3 (세계의 일원화와 천문학의 개혁)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62625707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3-06-30

책 소개

유럽의 16세기에서 17세기 초, 즉 이원론에서 일원론으로 세계관이 이행해 간 시기의 천문학의 개혁 및 세계관 변화의 역사를 논의한다. 이후 갈릴레오 갈릴레이, 보일, 뉴턴으로 이어질 시기의 직전까지를 이 책은 다루고 있다.

목차

제9장 혜성에 대한 시각의 전환 ―이원적 세계가 용해되기 시작하다
1. 혜성의 자연학적 이해
2. 혜성징조설과 점성술
3. 정량적 혜성 관측의 시작
4. 포이어바흐와 혜성 관측
5. 시차를 사용한 혜성 고도 추정
6. 1531년의 핼리 혜성
7. 아리스토텔레스 기상론의 권위가 흔들리기 시작하다
8. 혜성에 관한 새로운 시각의 등장
9. 세네카의 『자연연구』를 둘러싸고
10. 파라켈수스의 우주

제10장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의 해체 ―1570년대의 신성과 혜성
1. 1572년의 신성
2. 헤센 방백 빌헬름 IV세
3. 튀코 브라헤와 신성
4. 미하엘 메슈틀린과 신성
5. 고대적 우주상이 붕괴되기 시작하다
6. 튀코 브라헤와 천문학
7. 1577년의 혜성 관측
8. 튀코와 메슈틀린의 아리스토텔레스 비판
9. 메슈틀린의 달 관찰
10. 아리스토텔레스 비판에서 코페르니쿠스 이론으로
11. 튀코 브라헤와 점성술

제11장 튀코 브라헤의 세계 ―강체적 행성천구의 소멸
1. 튀코 브라헤와 코페르니쿠스 이론
2. 튀코 브라헤의 천체 관측
3. 튀코 브라헤의 관측정밀도
4. 튀코 브라헤의 체계에 대하여
5. 파울 비티히
6. 크리스토프 로스만
7. 강체적 행성천구의 부정
8. 로스만과 코페르니쿠스 이론
9. 튀코의 체계가 야기한 것
10. 조르다노 브루노와 무한우주
11. 파트리치와 리디어트

제12장 요하네스 케플러 ―물리학적 천문학의 탄생
1. 메슈틀린과의 만남
2. 케플러의 출발점
3. 우주의 조화로운 질서
4. 튀코 브라헤와 만나다
5. 케플러와 우르수스
6. 천문학의 가설에 관하여
7. 기하학적 가설과 자연학적 가설
8. 물리학으로서의 천문학
9. 물리학적 태양중심이론
10. 케플러의 제0법칙
11. 원궤도의 붕괴
12. 지구 궤도와 태양중심이론의 완성
13. 등속 원운동의 폐기와 면적법칙
14. 타원궤도를 향한 길
15. 케플러의 제1법칙
16. 제2법칙의 완성
17. 제3법칙과 케플러의 물리학
18. 플라톤주의와 원형 이론
19. 케플러에게 있어서의 경험과 이론
20. 마치며 ―물리학의 탄생

후기
부록 C 케플러의 법칙과 관련하여
부록 D 케플러와 점성술
참고문헌

저자소개

야마모토 요시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사가, 자연철학자, 교육자, 전 도쿄대 전공투 의장. 1941년 오사카(大阪)에서 태어났다. 안보투쟁이 한창이던 1960년에 도쿄(東京)대학교 이학부 물리학과에 진학하여, 1964년 졸업 후 같은 대학원에 진학하여 입자물리학을 전공했다. 동학들 사이에서 수재로 촉망받던 그는 박사과정 3년 차에 베트남반전회의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도쿄대 전공투(全共鬪) 의장을 맡아 도쿄대 투쟁을 이끌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1969년 야스다 강당 공방전에 앞서 경찰의 지명수배를 받아 지하에 잠복했으나, 같은 해 9월 히비야공원에서 열린 전국 전공투연합결성대회에서 체포되었다. ‘지식인의 자기부정’을 외쳤던 그는 박사과정을 중퇴하고 학자로서 보장된 대학을 떠나 다시 제도권 학계로 돌아가지 않았다. 1970년 초중반에는 도쿄대 지진연구소의 임시직원 투쟁에 참여하거나 후지쓰 우주개발연구단의 2차 하청 업체에서 근무하기도 했는데, 이때 천체역학을 공부하거나 철학서를 번역하며 과학사가, 자연철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후에는 유명 대학입시학원인 순다이(駿台)예비학교에서 물리강사로 재직하며 재야에서 연구와 집필을 계속했다. ‘왜 유럽에서 과학이 탄생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분투한 그의 긴 여정은 『과학의 탄생』, 『16세기 문화혁명』,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이라는 근대과학 탄생사 3부작 시리즈의 완결로 결실을 맺었다. 이 작업은 전공투 시절 품었던 ‘일본 사회가 근대화를 경험하지 못한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는데, 공교롭게도 2011년 본서 집필 중 후쿠시마에서 전대미문의 원전 사고가 발생했다. 저자는 이를 계기로 일본 과학기술사회에 대한 비판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후쿠시마, 일본 핵발전의 진실』, 『일본 과학기술 총력전』 등의 집필과 강연을 이어가 일본 사회에 큰 경종을 울리기도 했다.
펼치기
박철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베대학 이학연구과에서 비선형과학(이론생명과학)을 전공, 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와세다대학 이공학술원 종합연구소 초빙연구원, 고베대학 이학연구과 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시가대학 대학원 교육연구과 객원연구원으로 있다. 공저로 『사유의 새로운 이념들』이 있으며 『생명과 장소』(공역), 『허구세계의 존재론』, 『생명이론』, 『과학으로 풀어낸 철학입문』, 『고쿠분 고이치로의 들뢰즈 제대로 읽기』, 『무리는 생각한다』, 『과학혁명과 세계관의 전환 1』(공역) 등을 옮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무릇 파라켈수스에게는 달 아래의 세계와 천상 세계라는 구별은 없었다. 그의 세계는 하늘까지 포함해서 4원소로 구성되었다. 이 점에서 파라켈수스의 세계는 오히려 세네카의 것에 가까웠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5원소로 이루어진 천상 세계와 달 아래 최상부인 불의 원소의 영역으로 엄격히 구별했던 머리 위의 두 영역이, 파라켈수스에게는 모두 불로 구성되는 단일 세계로 간주되었다. 즉 원소 불은 지구에서 올려다본 하늘 전부를, 즉 아리스토텔레스가 우주론과 기상론 둘로 구별하여 논한 현상 모두를 구성한다.
_ 제9장 혜성에 대한 시각의 전환


앨런 채프먼(Allan Chapman)은 “근대천문학은 코페르니쿠스의 이론보다도 튀코의 1572년 신성 관측에서 탄생했다”라고 말했다. 아서 러브조이(Arthur Lovejoy)의 책에서도 “전통적 관념에 가장 심각한 타격을 가한 것은 코페르니쿠스의 추론이 아니라, 1572년에 튀코 브라헤가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신성을 발견한 것이었다”라고 했다. 확실히 “1572년의 신성은 천문학의 전환점을 찍었다”라고 하며 “이 시대의 천문학 사상을 형성하는 데 이 1572년의 신성이 미친 영향은 아무리 크게 평가해도 지나치게 과하지 않다”.
_ 제10장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의 해체


어쨌든 현재의 시각으로 되돌아보면 행성 천구의 폐지가 새로운 천문학으로 발전해 가기 위해서는 원격작용으로서의 힘 개념을 필요로 했으며, 그것이 없는 단계에서는 운동의 원인을 영혼에서 구하는 물활론으로 빠지든가, 그렇지 않으면 근접작용에 기반하는 소박기계론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필연이었다. 왜냐하면 강체적 천구를 폐기해도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의 큰 틀에 사로잡혀 진공(眞空)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우주공간은 어떠한 유체적 물질로 차 있게 되기 때문이다. 튀코의 체계에 찬동했던 로마의 젊은 예수회 수도사 크리스토포로 보로는 1612년의 수고에 “별들이 박혀 있는 강체적 천구는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우주의 기계는 극히 유동적인 에테르적 대기 이외의 어떤 것도 아니다”라고 썼다. 그렇다면 그 우주유체 속 행성운동의 설명은 우선은 행성 자신의 의지에 의한 것이라 하든지, 아니면 그 유체의 압력 기울기에 의한 역학적 효과라 보든지 둘 중 하나가 되어야 할 것이다.
_ 제11장 튀코 브라헤의 세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