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일본문학론
· ISBN : 9788967641634
· 쪽수 : 566쪽
· 출판일 : 2020-12-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3
Ⅰ. 서론 11
1. 연구 목적•13
2. 연구사 검토•22
3. 연구 방법 및 범위•54
Ⅱ. 가족·신체·민족의 이론적 고찰 69
1. 재일조선인 작가의 탈식민성•71
2. 가족·신체·민족의 이론적 고찰•80
가. 재일조선인의 원체험(原體驗)으로서의 가족 서사•80
나. 신체에 각인된 재일조선인의 수난사•85
다. 디아스포라의 탈경계적 상상력•95
Ⅲ. 재일조선인 문학의 주체 서사 양상 105
1. 김학영 : 착종(錯綜)과 봉합(縫合)의 주체 서사•107
가. 아버지의 변용(變容)과 미완(未完)의 가족로망스•107
1) 재일 1세대 아버지와 애증병존(愛憎竝存)의 양가성•107
2) ‘부성 은유(父性 隱喩)’로서의 일본과 결핍된 욕망충족의 서사•128
3) 폐쇄회로에 갇힌 상상적 아버지와 사랑의 희구•147
나. 거세된 신체/언어와 부재(不在)하는 여성•158
1) 상징적 거세와 글쓰기의 기원으로서의 ‘말더듬이’•158
2) ‘젠더화된 하위주체’로서의 재일조선인 여성•178
다. 저항(抵抗)과 지향(志向)으로서의 민족의식•196
1) 양가적 조국 인식과 탈민족적 성향•196
2) ‘중간자’ 의식과 재일의 근거•221
2. 이양지 : 교란(攪亂)과 양립(兩立)의 주체 서사•246
가. 해체된 재일(在日) 가족과 경계적 자아의 분열 양상•246
1) 해체된 재일 가족과 ‘조선적인 것’의 변용•246
2) 모국 귀환을 통한 재일의 각성과 교란된 자아 정체성•268
나. 비체적 재일성과 신체에 체현되는 아이덴티티•288
1) 비체적 존재로서 재일조선인의 형상•288
2) 신체에 구현되는 섹슈얼리티와 이질적 감각의 조국 표상•304
다. 모국 체험 서사의 아이러니•326
1) 근대적 시·공간 경험의 해체와 탈주 욕망•326
2) 양립(兩立)하는 모어와 모국어•349
3. 유미리 : 전복(顚覆)과 전유(專有)의 주체 서사•380
가. 허위적 가족의 전복과 대체가족(代替家族)의 구상(構想)•380
1) 균열된 가족의 허위성과 신(新)가족풍속도•380
2) ‘대체(代替) 어른’의 발견과 새로운 가족 공동체의 가능성•414
나. 불구적 신체성과 소외의 경험으로서의 섹슈얼리티•429
1) 신체적 스티그마와 자기 구원의 가능성•426
2) 타락과 소외의 경험으로서의 성(性)충동•437
다. 역사적 타자성의 극복과 환대의 윤리•446
1) 경계인으로서의 이중적 타자성과 난민의식•446
2) 미시서사로 구현되는 역사적 타자의 복원•460
Ⅳ. 재일조선인 문학 주체 서사의 방향성 471
1. 재일조선인 문학의 혼종적 가치와 전망•473
2. 재일조선인 문학의 역사적 대항의식•479
3. 한국문학과의 접점과 통합의 모색•483
Ⅴ. 결론 487
참고문헌 500
보론 : 『8월의 저편』에 나타난 ‘일본군 성노예’ 재현의 의미 526
1. ‘기억의 투쟁’으로서의 ‘일본군 성노예’의 재현•526
2. 『8월의 저편』에 나타난 ‘일본군 성노예’ 재현 양상•531
3. ‘증언’과 ‘기억’을 통한 윤리적 서사의 가능성•551
참고문헌•554
찾아보기•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