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고츠키와 창의성

비고츠키와 창의성

(놀이, 의미 만들기, 예술에 대한 문화·역사적 접근)

캐스린 코너리, 베라 존-스타이너, 애나 마랴노비치-셰인 (엮은이), 조현희, 정영철 (옮긴이)
한국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비고츠키와 창의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고츠키와 창의성 (놀이, 의미 만들기, 예술에 대한 문화·역사적 접근)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171963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5-01-22

책 소개

비고츠키의 문화·역사적 이론의 시각에 근거하여 개인의 발달과 예술활동은 사회적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각 장에서 논의하는 연구들은 심리, 예술, 교육 영역의 다양한 학습 맥락에서 학습자들이 놀이와 예술을 통해 의미를 어떻게 만드는지를 보여준다.

목차

엮은이 감사의 글 V
옮긴이 서문 VI

1부 이론적 토대

1. 뮤즈와 춤추기:놀이, 의미 만들기, 창의성에 대한 문화·역사적 접근 3
2. 비고츠키 예술 심리학의 역사적 의의 23
3. 근접발달영역의 창조 없이는 창의성도 없다 35
4. 예와 아니오에서 나와 너에게로:관계와 의미의 장난스러운 변화 57

2부 예술적 표현 영역
5. 스크립트 넘나들기와 리프 바꾸기:유아들이 음악 의미를 만들다 89
6. 시각 언어의 사회적 구성:화가 되기에 관하여 117
7. 무용 대화:근접발달영역에서 창조하고 가르치기 151
8. 학교에서 그래픽 자료에 자아 써넣기 177
9. 전념하기와 창의성:경험을 예술로 탈바꿈시키기 201

3부 창의적 표현, 학습, 발달의 연관성

10. 페레지바니예 연구를 위한 종합적·분석적 방법:비고츠키의 문학 분석을 연극 세계에 적용하기 233
11. 생각과 언어로 놀이하기:중등학교 문식력 수업에서 가르치기, 그리기, 쓰기와 미학 259
12. 발달의 순간 창조하기:창조적 활동으로서의 교수와 학습 283
13. 창의성 교육의 문화·역사적 접근 309

기고가 소개 335

저자소개

베라 존-스타이너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캐스린 코너리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애나 마랴노비치-셰인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조현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구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이며, 언어학습의 사회·문화적 접근법과 질적 연구, 문학 작품을 이용한 영어교육에 관심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초등 영어 수업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후속 활동의 유형과 양상], 등이 있으며, 공역서로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와 <우리 아이가 행동장애라고요>가 있다.
펼치기
정영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창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서 학부와 대학원에서 영어 글쓰기, 번역이론과 실제, 언어와 문화, 외국어 교육론, 질적 연구방법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그의 연구 관심은 대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영어 글쓰기 지도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옮긴이 서문
비고츠키의 이론은 그의 사후 몇십 년이 지난 후에 더욱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교육 관련 연구자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비고츠키 이론의 의미를 재구성해오고 있는데, 아쉽게도 해외에 비해 국내의 교육계에서는 그에 대한 논의가 다소 피상적이고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역자들은 국내에서 비고츠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현시대에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되는 창의성과 관련하여 그의 이론이 어떻게 재해석되고 적용되고 있는가를 소개하고자 이 책을 번역하였다.
이 책에서 초점을 두는 창의성은 개인이 기존에 없는 무엇을 새로 창조하는 능력보다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 그리고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 문화·역사적 상황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발달시키는 과정에서 나온다. 각 장은 비고츠키의 이론적 시각에서 창의성이 학습자와 교수자 간 뿐만 아니라, 학습자 간 그리고 학습자와 사회·문화·역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생성되고 발달되는지 보여준다.
이 책에 소개된 화가, 무용가, 음악가, 문학가, 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 계발을 위해 노력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현재 자신이 알고 있는 세계에만 안주하지 않고 확실한 예측을 할 수 없는 낯선 세계로 계속 탐험을 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창의성 교육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창의성 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즉 학습자가 구조화되고 표준화된 학습환경에 갇히지 않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문화·역사적 환경을 학습의 매개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질 때,

학습자가 자신의 정서적 체험을 학습과 통합시킬 수 있을 때, 그리고 학습자들의 대화가 끊이지 않는 공동체로서의 공간이 형성될 때 의미 있는 학습 활동이 일어날 수 있다.
역자들은 이 책을 번역하면서 비고츠키의 창의적 사고를 위한 환경이 우리 문화와 정신 속에 녹아 있다고 생각하였다. 우리의 전통문화에 내재되어 있는 협동과 공유에 대한 가치는 개인의 경험과 생각을 존중하면서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 형성을 중시하는 비고츠키의 이론과 연결된다. 이 책을 통해 창의성 계발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다양하고 구체적인 창의성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교수자와 학부모, 그리고 교육 관계자들 사이에 활발히 이루어져서, 이 번역서가 우리의 창의적 잠재성을 발전시키는데 하나의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을 번역하면서 각 전문 분야의 용어에 대해 조언을 해주신 여러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아울러 이 책을 번역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신 한국문화사의 김진수 사장님과 기획과 세심한 편집 및 교정 작업을 해주신 김태균 전무님과 강인애 편집자께도 감사드린다.


2014년 12월
옮긴이


1장
뮤즈와 춤추기:
놀이, 의미 만들기, 창의성에 대한문화·역사적 접근
베라 존-스타이너
M. 캐스린 코너리
애나 마랴노비치-셰인

바이올린 연주자의 활이 스치자 현들이 노래한다. 몸이 격렬한 북의 심장박동에 맞춰 움직이는 동안, 빛과 그림자가 비단의 강처럼 무대 위에 드리운다. 점토가 물레 위에서 원통형의 돔 모양으로 올라올 때, 해바라기가 캔버스 위에서 꽃망울을 터뜨린다. 우리는 재료를 천상의 것처럼 보이게 탈바꿈시키는 예술 능력에 오랫동안 매료되어 왔다. 아이로서 그리고 어른으로서, 우리는 모두 종이 위나 시 속에서, 또는 개인적인 삶과 전문적인 삶 속에서 행위를 통해 놀이하고 활동하고 꿈을 꾸도록 고취되어 왔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정치와 종교의 영역에 걸쳐서, 우리는 집단적 필요에 의해 예술가와 관객으로서 하나가 되어 뮤즈와 춤을 춘다.
그런데 왜 예술은 인간 발달에 대해 연구하는 많은 학자에 의해 등한시되어 왔을까? 교육제도에 대한 이성주의적인 편견의 결과일까? 문식력과 수학의 발달이 연극, 음악, 혹은 그림에서의 향상보다 측정이 더 가능하고 쉽기 때문일까? 이 책에서 우리는 관계 형성뿐만 아니라, 사고와 감정, 놀이, 그리고 창의성이 하나의 통합체라고 주장한다. 이 통합체의 일부 요소가 분리되면 학습과 발달은 줄어들 것이다.
이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하여 우리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예술가와 교육자들의 배경뿐만 아니라 비고츠키 Vygotsky의 학문적 바탕을 이루는 배경을 가져오고자 한다. 러시아 심리학자인 비고츠키의 획기적인 아이디어들은 학습에 있어서 발달의 사회적 원천을 강조하고 컴퓨터와 같은 도구와 산물의 중심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전문가들에게 점점 더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비고츠키의 이론은 그 당시에 더욱 지배적이었던 접근법, 즉 발달을 특정한 역사적·문화적 환경과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공유된 과정으로 보았던 구성주의자들(예를 들면, 피아제)의 이론과 선명하게 대조된다. 문화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매우 중시하는 비고츠키 이론은 현대의 다문화 사회와 특별히 관련이 있고, 문식력과 개념 형성, 이중언어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역설적이게도 비고츠키의 첫 번째 저서가 예술에 관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고를 헌신적으로 연구하는 문화·역사적 학자들은 놀이와 의미 만들기 그리고 창의성을 분석하는 데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우리는 놀이와 의미 만들기, 창의성에 대해 각자가 가지고 있는 관심을 연구하기 위해 비고츠키의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이 책을 편집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탐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열정과 호기심을 공유하는 동료들을 만났다. 비고츠키 이론의 토대 위에서 이전의 소비에트 연방공화국과 미국, 그리고 그 밖의 여러 나라들에서 더욱 발전된 접근법인 문화·역사적 이론을 사용하여, 우리는 정신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근본적인 과정들에 대해 분명한 대답을 얻고자 함께 노력하였다. 우리는 비공식적, 공식적, 정치적, 창의적인 노력을 통하여 이 책을 출간할 수 있었다.
이 서론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우리는 독자를 교사이자 연구자이고 학자이면서 창의적인 동료인 비고츠키에게 소개하려고 한다. 둘째, 우리는 문화·역사적 이론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결된 이론들을 모은 책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들을 요약함으로써 비고츠키의 아이디어에 대한 배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우리는 예술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시하기 위해 비고츠키의 관점에서 놀이와 의미 만들기 그리고 창의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L. S. 비고츠키: 창의적 활동의 삶
비고츠키는 1896년에 지금은 벨라루스의 한 부분인 러시아의 오르샤라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다. 이 어린 소년은 고멜에서 자랐으며, 수준 높은 교육을 받은 유대인 대가족의 일원이었다. 비고츠키는 청소년기가 될 때까지 철학과 역사를 포함한 많은 학문 분야에 강한 지적인 흥미를 발달시켰고, 시를 사랑하는 어머니를 닮아 시를 좋아했다. 그는 김나지움을 우수한 성적으로 마친 후에 모스크바 대학에 진학하여 법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법학을 공부하면서 역사와 철학에 대해서도 흥미가 있었는데, 샨야브스키 인민대학 Shanjavsky People’s University에서 이와 관련된 수업을 들으면서 자신의 지적 호기심을 보충했다. 그는 청소년이었을 때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분석하여 여러 편의 글을 썼는데, 이는 후에 박사학위 논문의 토대가 되었다. 이 기간에 그는 또한 언어학과 심리학에 대한 지식을 넓혔다. 비고츠키는 윌리엄 제임스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았고, 생애 내내 유럽과 미국의 심리학 이론을 철저히 연구했다.
대학 공부를 마치고 비고츠키는 고멜로 돌아와 공립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는 고멜의 문화적 삶에도 참여하였으며, 이 시기 동안 대부분 문학 평론을 출간하면서 교육 심리학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그의 문학과 연극에 대한 관심은 그를 뛰어난 강연자로 명성을 날리도록 만들었다. 불행히도 고멜은 내전과 다른 군대들과 지역 반란자들의 공격으로 고통받고 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고츠키는 고멜의 사범대학에서 가르치면서 그의 첫 번째 심리학 연구를 시작했다. 그 기간에 비고츠키의 가족이 결핵에 처음으로 걸렸고 그의 남동생이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비고츠키도 남동생을 돌보는 동안 결핵을 앓았다. 1924년에 로자 스메크호바 Roza Smekhova와 결혼한 후, 그는 원로 교수이자 심리학자인 알렉산더 루리아 Alexander Luria의 초대를 받아 고멜을 떠나 모스크바로 갔다. 그가 루리아와 레온테프 Leont’ev와 한 공동 연구는 나중에 아주 창의적인 시도라고 평가받았다.
비고츠키는 수도에서 한 때 실험 심리연구소에 관여했는데, 그는 그곳에서 “전문인으로서의 삶의 초기부터 인간에 대한 과학의 발전을 지켜보았으며, 이것을 자신의 대의명분으로서 아주 진지하게 생각했고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부었다”(van der Veer & Valsiner, 1991). 그의 첫 번째 출간물은 이 책에서 캐스린 코너리 Cathrene Connery가 설명한 ??예술의 심리학?? The Psychology of Art(Vygotsky, 1925/1971)이었다. 비고츠키는 계속해서 강연과 평론, 외국 작가들 작품의 서문을 포함하여 일 년에 15개의 글을 게재했다. 그의 두 번째 책은 ??교육 심리학 ??Educational Psychology(1992)이며 영어로 출간되었다. 1920년대 말에 그의 관심사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그리고 지능발달이 느린 아동들을 포함해 비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아동들에게로 확장되었다. 이 주제에 대한 간행물은 그의 전집 제2권에 수록되어 있다. 비고츠키의 이론적인 분석은 ?심리학에서 위기의 역사적 의미?(1927)에 처음으로 요약되었으며, 그의 전집 제3권에서 영어로 처음 소개되었다.
비고츠키는 ?아동 발달에서 도구와 상징?에서 처음 발전시킨 주제인 인간 활동이 인공물의 영향을 어떻게 받는지에 관해 점차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이 원고는 마이클 콜 Michael Cole, 베라 존-스타이너 Vera John-Steiner, 실비아 스크리브너 Sylvia Scribner, 엘런 소버만 Ellen Souberman이 공동 편집한 ??사회 속에서의 정신?? Mind in Society(1978)의 제1부가 되었다. 비고츠키는 생애 내내 인간과학의 발달과 연구를 위해 변증법적 마르크스주의 접근법을 따랐다. 그의 저서 중 가장 널리 읽힌 것은 1962년에 영문판으로 처음 발행한 ??사고와 언어?? Thought and Language였는데, 그는 이 책에서 생각하기와 말하기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고 그의 문화·역사적 사상들을 집약하였다. 이 책은 수년에 걸쳐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여러 번 출간되고 재편집되었다. 비고츠키의 아이디어는 그의 범상치 않은 학문과 매우 독창적인 생각 그리고 동료와 친구들과 상호 의존하며 일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형성되었다. 비고츠키가 결핵으로 38세의 때 이른 나이에 죽음을 맞이한 후, 비고츠키의 연구를 세상의 독자들에게 알리려는 루리아의 확고한 노력이 없었다면 그의 업적은 사라졌을지도 모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6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