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176449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8-05-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3. 연구방법 및 절차
4. 비교의 틀
5. 용어의 정의
6. 제한점
II. 이론적 배경
1. 교육과정
2. 외국어교육 교육과정
3.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교육과정
4. 선행연구 분석
III.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개황
1.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 개황
2.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 개황
IV.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교육과정 분석
1.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 교육과정 분석
2.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 교육과정 분석
3.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록1] 중국 한어국제교육학과 개설대학
[부록2] 한국 한국어교육 학과 개설대학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세계화, 지식정보화를 특징으로 하는 21세기에 언어보급과 문화홍보 같은 문화영역의 확대는 단순한 언어와 문화전파에 머물지 않고 민족정체성 확립, 국가위상의 제고 및 국가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대단히 중요하다.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는 대외 자국어교사 양성을 주목표로 하는 학과로서 세계 각국에 본국의 언어와 문화를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영역을 더욱 확대하기 위하여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하여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교육과정의 운영체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및 교육평가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특성과 지역별로 중국의 광주대학(廣州大學), 흑하학원(黑河學院), 상해외국어대학(上海外國語大學), 절강외국어학원(浙江外國語學院), 수도사범대학(首都師範大學), 광서민족대학(廣西民族大學)과 한국의 경희대학교, 대진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신대학교, 경동대학교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체계, 교육목표, 교육내용 및 교육평가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 외에도 중국 한어국제교육 영역의 전문가와 한국 한국어교육 영역의 전문가 4명을 각각 선정하여 심층적으로 면담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운영체계 면에서는 과목 유형별로 중국 대학 한어국제교육학과의 교과구성은 일반적으로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으로 구성하고, 한국 대학은 교양과목과 전공과목 이외에 일반선택과목도 개설하고 있다. 그리고 과목 성격별로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는 필수과목을 위주로 하고, 한국의 한국어교육 학과는 주로 선택과목에 의하여 진행한다. 이러한 것들로 인하여 중국 대학이 요구하는 전공이수학점은 한국보다 많지만 중국교수들은 한국교수들보다 현행 교육과정을 통하여 양성한 인재의 질에 대하여 다소 의문을 갖고 있다. 따라서 중국 대학은 한국 대학보다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의 교육과정 운영체계를 더욱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육목표 면에서는 중·한 대학은 모두 특성화된 인재양성 목표를 설정하였다. 중국의 대학은 특히, 국경에 인접해 있는 지방대학은 지리적인 여건을 충분히 이용하여 특정 국가를 교학대상국으로 특성화 인재양성을 진행하고 있고, 한국은 다문화사회 도래에 따라 다문화한국어전문가 양성이란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일부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는 특성화된 교육목표를 설정하였지만 더욱 많은 대학은 졸업생의 현장 적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대 변화, 학교 특성, 학습자 및 교육환경 등에 따라서 특성화 인재양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내용 면에서는 중국 대학 한어국제교육학과의 과목은 한언어문학(漢語言文學) 학과에 의존하여 개설되어 있고, 한국 대학 한국어교육 학과의 과목개설은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시 필수과목을 바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중국 대학 한어국제교육학과 전공과목에서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과목영역은 한언어문학 학과와 직업 연계된 문학이고 그 다음은 한어학, 외국어, 문화 등의 순이었고, 한국 대학 한국어교육 학과의 전공과목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과목영역은 한국어교육, 한국어학, 문학 및 문화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국 대학이 교육내용에서의 문제점은 거의 한언어문학에 대해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 대학은 한언어문학 학과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학과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과목개발을 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그리고 전공과목 개설 수를 보면 중국은 한국보다 배나 많이 개설하였지만, 학과인재양성과 직접 상관되지 않은 과목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 대학은 전공과목 개설을 다양화하여야 하고 중국 대학은 과목개설의 합리성을 많이 논증하여야 한다. 특히, 대외한어교학영역 과목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
교육평가 면에서는 학업성적은 양국 대학이 비슷하게 시험, 과제, 출석, 수업표현 등을 종합하여 종합·평정하라고 규정하였지만 각 구성부분의 비율은 차이가 큰데, 중국 대학은 아직 시험 위주의 평가방식에 치우쳐 있고, 한국 대학은 학습과정에 대한 평가를 더욱 중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 대학은 더욱 다양하고 과학적인 평가방식을 모색하여야 하고, 한국 대학은 학생의 학습과정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명시한 기준을 제대로 제정하여야 할 것이다.
III. 중·한 대학 대외 자국어교육 학과 개황
1.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 개황
한어국제교육 학부과정(Teach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은 2012년 이전에 대외한어전공(對外漢語專業)이라 하며 모국어가 한어가 아닌 국가 혹은 민족의 사람을 교학대상으로 하는 한어교학이다. 1983년 ‘중국교육학회 대외한어교학연구회(中國?育學會對外漢語?學?究會)’가 설립됨에 따라 대외한어전공이 북경언어학원(北京語言學院, 현 북경언어대학)에 의하여 처음으로 개설되었고 이어 1985년 화동사범대학(華東師範大學), 상해외국어학원(上海外國語學院, 현 상해외국어대학), 북경외국어학원(北京外國語學院, 현 북경외국어대학) 3개 대학도 대외한어전공을 증설하였다. 2014년12월까지 한어국제교육학과를 개설한 대학은 341개에나 달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적 분포, 소속 단과대학, 학과명명 등 측면에서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 개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부록1] 참조).
가. 지역적 분포
지역별로 중국 각 성/시의 한어국제교육학과의 분포 수를 정리하면 다음 <표 III-1>과 같다. (이 책 36쪽 참조)
<표 III-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는 중국 경내 28성/시에 분포되어 있는데 하남성(28개), 강소성(21개), 산동성(20개), 광동성(18개), 섬서성(18개), 호북성(18), 하북성(17개), 광서성(16개), 절강성(16개) 등 경제가 발달하거나 상대적으로 발달한 중동부(中東部) 및 사천성(18), 운남성(16) 등 서남국경 인접 지역에 집중되고, 경제가 낙후된 산서성(5개), 신강 자치구(5개), 감숙성(4개), 내몽고 자치구(3개) 등 서북지역에는 분포 비율이 낮다. 그뿐만 아니라 하나도 없는 서장 자치구, 청해성, 녕하 자치구도 서북지역에 위치하여 있다.
이처럼,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 분포는 지역경제 발전수준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데 경제가 발달한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사천성(24개), 운남성(22개) 등 서남국경 인접 지역에서 한어국제교육학과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은 중국 한어국제교육학과 분포 특징 중의 하나이다.
나. 소속 단과대학
한어국제교육의 학과속성에 관한 논의는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으므로 한어국제교육의 소속 단과대학도 통일적이지 않고 다양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 <표 III-2>와 같다. (이 책 37쪽 참조)
<표 III-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국 대학의 한어국제교육학과는 한언어문학(漢語言文學)이 소재된 문학학부/문학원에 15개로 거의 절반이나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언어학, 역사학, 문학 등과 같은 학문이 모두 포함되는 인문학원에 소속된 학과도 57개로 많다. 중국어가 대외한어교육의 기초라고 인정하여 중국어학부/중국어문학학원에 설치된 학과는 40개이다. 중국어보급과 중국문화홍보란 목표를 강조하여 국제교육학원/국제문화교류원에 소속된 학과와 모국어 교육과의 차이를 강조하여 외국어학부/외국어학원에 소속된 학과는 똑같은 30개가 있다. 언어교학과 문화교학을 동시에 강조하여 언어문화학부/언어문화학원에 설치된 학과는 15개가 있다. 대외한어교육의 특징을 충분히 인정하여 단독으로 설립한 한어국제교육학원/대외한어학원에 소속된 학과와 단순한 언어교학과 달리 중국문화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여서 한학원/국제한학원에 소속된 학과는 각 4개이다.
그 외에 언어의 정치영향력을 감안하여 법률·정치학원에, 화교가 설립한 대학에서의 화문(화교가 중국어에 대한 칭호이다)학원에, 교육학의 한 갈래라 여겨 교육학부에, 교사양성이란 목적을 강조하여 사범학원에, 언어의 발음을 중시하여 신문방송학원에, 언어전수란 역할을 강조하여 언어학원에, 한어의 실용성을 강조하여 응용언어학부에 소속된 학과도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한어국제교육학과가 대부분 한언어문학 혹은 중국어가 소속된 단과대학에 소속되고 있다. 이는 한어국제교육학과는 한언어문학 혹은 중국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언어교학의 경향이 더욱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국제문화교류학원, 언어문화학부/언어문화학원에 소속된 학과가 있는 것을 보면 한어국제교육학과는 단순한 언어교학이 아닌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 설립한 한어국제교육학원/대외한어학원의 등장은 한어국제교육학과가 단순한 언어교학과 문화교학과 달리 자체의 특성이 있고 독립적 학과가 될 조건을 점점 구비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다. 학과(전공)명
2012년 중국교육부가 공포한 <교육부 보통고등학교 본과전공목록(?育部普通高等學校本科專業目錄)(2012년)>을 보면 대외한어교사를 담당하는 학과는 국제한어교육(학부)이라고 통일적으로 명명되었다.
2.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 개황
1974년 ‘한국어학과’ 학부과정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의하여 처음으로 개설된 후 한국어교육 학과가 증가하였으나 현재는 35개만 운영되고 있다. 다음으로 지역적 분포, 소속 단과대학, 학과(전공)명 등의 측면에서 한국의 한국어교육 학과 개황에 대하여 살펴보려 한다([부록2] 참조).
가. 지역적 분포
지역별로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의 분포를 정리하면 다음 <표 III-3>과 같다. (이 책 40쪽 참조)
<표 III-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는 한국 내 13개 도/시에 널리 분포되어 있지만 세종시, 인천시 및 남쪽에 위치한 울산시와 대외개방도가 높은 제주도에는 분포되어 있지 않았다. 분포 수를 보면 서울시의 8개 외에 다른 도/시에는 개설 학과 수는 적으나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처럼,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 분포는 지리적 위치와 개방 정도가 아닌 서울 또는 지방인가에 따라 분포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나. 소속 단과대학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가 소속된 단과대학을 정리해 보면 다음 <표 III-4>와 같다. (이 책 41쪽 참조)
<표 III-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는 인문대학 혹은 인문계열에 14개가 소속되어 있다. 그리고 사회과학대학에 소속된 학과는 5개, 문화대학에 소속된 학과는 4개, 국제학부, 사범대학 및 외국어대학에 소속된 학과는 각 2개, 계약학과, 산업교육학부, 실용어학부, 언어문화학부, 휴먼서비스대학에 소속된 학과는 각 1개가 있다. 그 외에 단과대학에 소속하지 않는 학과는 1개이다.
다. 학과(전공)명
한국어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학과(전공)는 명칭 상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 <표 III-5>와 같다. (이 책 42쪽 참조)
<표 III-5>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는 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 있다. 학과(전공)명을 보면 한국어교육 학과가 한국어교육학과 혹은 한국어학과로 명명된 경우가 각 6개로 상대적으로 많고, 다문화한국어학과로 명명된 경우는 4개, 한국어문학과로 명명된 경우는 3개가 있다. 그 외에 국제한국어교원학과, 국제한국어교육학과, 글로벌한국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한국어교원과, 한국어문화학과로 명명된 경우는 각 2개이고 다문화복지한국어학과, 한국언어문화학과, 한국학전공, 한국문화정보학과로 명명된 경우는 각 1개이다. 이처럼,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학과는 다양하게 명명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