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176821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8-10-03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핵심역량 기반 평가
제1장 평가의 최근 동향과 평가의 개념 및 원리
제2장 교육과정 기반 수업 연계 과정 중심 평가 모형
제3장 학업성취도와 숙달도 평가 틀 및 도구 개발 과정
제2부 빅 아이디어 기반 과정 중심 평가의 이론 및 실제
제4장 백워드 설계 기반 과정 중심 평가
제5장 형성평가와 플립러닝 기반 과정평가
제6장 과정 중심 평가로서의 수행평가
제7장 역동적 평가의 이론 및 실제
제3부 결과 중심 평가.213
제8장 학업성취도평가(이해기능)
제9장 학업성취도평가(표현기능)
제10장 학업성취도평가(기능통합)
제11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평가 틀 및 평가도구
제4부 교육과정 평가와 교실수업 평가
제12장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평가
제13장 교사의 수업활동 평가
제14장 교사의 수업설계 평가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 저자서평
평가는 삶과 불가분의 관계다. 막 태어난 아이를 보는 사람들은 저마다 아이가 엄마나 아빠의 어디를 닮았는지 유심히 보면서 한마디씩 말한다. 그 아이는 점차 성장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여러 가지의 모습과 역할을 통해 검증받고 평가받는다. 더욱이 생을 마감하는 장례식장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가족이나 후손들에 의해 끊임없이 평가를 받는다. 평가가 일상이 되고 일상이 평가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매일 마시는 공기와 같이 평가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않고 살아가고 있다. 교실수업에서도 마찬가지다.
교사가 어떤 평가를 실시하든, 수업을 잘 가르치면 학생들의 시험 성적은 잘 나올까? 교사가 수업목표에 적합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평가를 실시하지 않아도 학습자들은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의 잠재력을 발현할 수 있을까? 요즘 학습자들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였는지 평가를 통해 점검하고, 그 결과를 통해 성찰하면서 그들의 역량을 더 함양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사 역시 평가의 결과를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방법 등을 바꾸는 데에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평가는 수업의 질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들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수업목표에 적합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실시해야 한다.
-머리말 중에서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면서 수업과 연계한 다양한 평가방법 및 평가도구를 계획하고 실시한다. 그러나 교사는 학습목표에 적합한 평가방법이라고 판단하여 평가를 실시하지만 학습자의 핵심역량이 얼마나 함양되었는지 제대로 측정하지 못한다면, 향후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기회를 놓칠 수 있다. 평가를 통해 교사는 학생의 강점이나 약점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의 진전과정을 점검하며, 수업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사는 학습자들의 학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업을 구현한 후, 그들의 핵심역량이 얼마나 성장하였는지 측정하기 위해 좋은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시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 강조되고 있는 역량 중심 평가, 과정 중심 평가, 성장·발달 중심 평가 등을 이해하고, 평가의 기본 개념, 평가의 유형 및 기본 원리, 좋은 평가의 특성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등산 애호가가 등산을 떠나기 전에 산의 특성, 등반 코스, 장비, 기상 상태, 식자재 등을 미리 숙지해야 하는 것과 같다. 이 장에서는 먼저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및 영어평가의 이슈를 제시하고, 평가의 개념들 중 측정(measurement), 총평(assessment), 평가(evaluation), 검사(test) 등에 대해 살펴본 후, 학생 평가의 정의 및 목적, 평가의 유형, 평가의 원리 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