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어학 개론

언어학 개론

(개정판)

정한석, 최주열 (지은이)
한국문화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언어학 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어학 개론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817722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12-31

책 소개

언어학이란 무엇인가를 개괄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책으로 특히 언어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보다 쉽게 이 학문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강의실에서 강의를 하는 형식을 빌려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목차

■ 개정판 서문
■ 1판 서문
■ 차례

제1장 언어학
1. 언어학의 연구 분야
2. 공시적 접근 방법과 통시적 접근 방법
3. 언어학의 분류

제2장 언어
1. 언어의 정의
2. 의사소통의 기본적 형태

제3장 언어 습득
1.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2. 행동주의적 관점 그리고 인지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언어 습득
3. 0세부터 6세까지의 언어 습득
4. 언어 능력과 언어 사용 능력
5. 아이의 언어 습득에 있어서 어른의 역할
6. 아이의 언어 습득의 특성

제4장 규범 언어학과 역사 언어학
1. 규범 언어학
2. 역사 언어학

제5장 묘사 언어학
1. 페르디낭 드 소쉬르
2. 언어의 자의성
3. 랑그와 파롤
4. 기표와 기의
5. 공시적 연구와 통시적 연구

제6장 인류 언어학
1. 프란츠 보아스
2. 필사와 분류
3. 필사와 분류의 문제점
4. 사피어-워프 가설

제7장 구조 언어학
1. 레너드 블룸필드
2. 구조 언어학의 음운론
3. 구조 언어학의 구문론
4. 구조 언어학의 의미론

제8장 생성 언어학
1. 노암 촘스키
2. 노암 촘스키와 구조 언어학자 간의 언어 연구에 관한 개념론적 차이점
3. 노암 촘스키와 구조 언어학자 간의 언어 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차이점
4. 변형생성 문법
5. 구 구조 규칙, 변형 규칙, 그리고 형태음소 규칙
6. 변형생성 문법의 음운론적 특징
7. 변형생성 문법의 의미론적 특징
8. 노암 촘스키의 언어학설에 대한 전반적 논평

제9장 심리 언어학
1. 심리 언어학에서의 노암 촘스키의 역할
2. 언어 습득
3. 모국어 습득
4. 제2언어 습득

제10장 사회 언어학
1. 윌리엄 라보브
2. 사회 언어학 연구에 대한 분류
3. 의사소통 구성 요소
4. 대화 관습
5. 발화 방식
6. 동작학
7. 방언

제11장 화용론
1. 정보 구조
2. 발화 행위

제12장 언어의 보편성
1. 보편 문법
2. 언어 유형론

제13장 인간과 언어
1. 인간의 존재론적 특성과 언어
2. 언어의 기원
3. 언어의 유형적 분류와 특징

부록
부록 1 발음기호
부록 2 발성기관
부록 3 음성의 묘사
부록 4 모음과 자음
부록 5 언어학 용어해설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로벌 지식경영연구소 소장 경력 학교법인 진산학원 운영본부장 New York University 조교수 New York University 응용언어학 박사 New York University TESOL 석사 저서 TESOL IN ACTION Convention English Retrospecting and Prospecting: Suggestions for Further ESL Research Revision Prosesses of Three Professional ESL Writers 외 다수
펼치기
최주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학 박사 선문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교수 경력 한국어교육학과협의회 회장 한류콘텐츠 개발 연구소 소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사, 감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이사, 감사 한국어교육기관대표자협의회 회장 한중교육교류협회 한국어교육교류위원회 위원장 저서 한국문화교육론(공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교양한국어 1(공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교양한국어 2(공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초급 한국어(공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중급 한국어(공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고급 한국어(공저) 외 다수 논문 한국어 교사 교육 연구 한국 문화 교육 접근 방법 연구 신한류 정책으로서의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사의 육성과 위상 제고 방안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 수업 방안 연구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전통사상 교육 방안 연구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 저자서평

언어는 인간이 창조한 문화유산 중 복잡하고도 유용한 도구 중 하나이다. 자연히 이러한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인 언어학 역시 그 내용이 매우 복잡하여 공부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 책은 언어학이란 무엇인가를 개괄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책으로 특히 언어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보다 쉽게 이 학문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강의실에서 강의를 하는 형식을 빌려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원서의 원문을 괄호 속에 적어 넣어 추후 학생들이 그러한 원문을 접할 때 그 내용을 좀 더 수월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번에는 특히 기존의 「기초 언어학 개론」에 실린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좀 더 돕고자 하는 차원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책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책의 제목도 기존의 「기초 언어학 개론」에서 「언어학 개론」으로 바꾸어 새롭게 출간하였다. 이제 이 책이 저자들의 의도대로 과연 이러한 내용을 갖추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이 책을 읽는 학생들의 몫이라 사료된다.

이제부터 이 책의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 책의 본문에 실은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우선, 제1장 언어학에서는 언어학이란 학문은 무엇이고, 언어의 연구를 위한 접근방법에는 무엇이 있으며, 그리고 언어학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를 밝힌다. 제2장 언어는 언어학의 연구대상인 언어라는 것은 어떤 것이며 언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의 주된 형태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다룬다. 제3장 언어습득에서는 우리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언어를 습득하며 언어습득 과정에 대한 학설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개정판 서문 중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정의가 그렇듯이, 언어학에 대한 정의 또한 매우 다양하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굳이 언어학에 대해 한마디로 정의를 내리자면 언어학이란 인간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즉,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언어학은 언어 자체를 구성하는 기본적 세 가지 요소인 소리(sound), 구조(structure), 그리고 의미(meaning)는 물론, 언어의 실제적인 사용(actual use of language)에 대하여 과학적인 분석과 추론을 통해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보다 더 체계적이고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부터 이러한 언어학의 정의에 입각하여 방금 열거한 언어학의 핵심 내용들을 다루는 각각의 학문 분야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1. 언어학의 연구 분야

우선, 언어를 구성하는 기본적 세 가지 요소인 소리, 구조, 그리고 의미 중에서 소리에 해당하는 연구를 하는 분야는 음성학(phonetics)과 음운론(phonology)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음성학은 어느 한 특정한 음성이 화자(speaker)의 발성기관(speech organs)의 일부인 성도(vocal tract)의 어느 부분에서 어떤 형태로 만들어지는가를 묘사하는 데 그 학문적 초점을 둔다. 그리고 음운론은 이렇게 만들어진 음성이 그 음성의 주변에 있는 다른 음성들과 어우러져 궁극적으로 어떤 소리로 변하며,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소리가 나름대로 독특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하여 어떻게 체계적으로 사용되는가를 파악하는 데 그 연구의 중점을 둔다.

참고로 음성학은 그 학문적 관심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시 조음 음성학(articulatory phonetics), 음향 음성학(acoustic phonetics), 그리고 청각 음성학(auditory phonetics)의 세 분야로 나뉜다. 방금 언급한 바와 같이, 조음 음성학은 화자의 발성기관의 일부인 성도의 어느 부분에서 어떤 형태로 음성이 만들어지는가를 밝히는 학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특성으로 해서 조음 음성학은 또한 생리 음성학(physiological phonetics)으로도 일컬어지며, 일반적으로 음성학이라고 하면 흔히 여기서 언급한 조음 음성학 혹은 생리 음성학을 말한다. 음향 음성학은 화자의 음성이 공기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음파(sound waves)를 물리학적 장치를 이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마지막으로, 청각 음성학은 화자의 음성이 청자(hearer)의 청각기관(auditory organs)에 도달하여 청취되고 우리의 두뇌에서 인지되는 과정을 다루는 학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9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