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817743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9-03-05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음운론과 발음 교육론 개관
2장 음운론 기초 이론
2.1. 음성학과 음운론
2.2. 한국어 모음과 자음 체계
2.3. 한국어 음절 구조
2.4. 한국어의 음운 결합 규칙
2.5. 한국어 표준발음법과 음운론
2.6. 한국어의 운율 요소
3장 발음 교육론 기초 이론
3.1. 언어 교수법에 따른 발음 교육의 위치
3.2. 표준한국어 교육과정과 한국어 발음 교육
3.3. 발음 교육의 활동 유형과 수업 모형
3.4. 초급, 중급, 고급 단계의 오류 분석과 발음 교육
3.5. 대조적 오류 분석과 발음 교육
4장 발음 교육 실습
4.1. 모음과 자음 발음 교육
4.2. 음절 발음 교육
4.3. 음소 변동에 따른 발음 교육
4.4. 운율 요소 교육
4.5. 발음 교육 실습
참고 문헌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음운론과 발음 교육론의 관계는 무엇일까? 이 문제의 답을 찾기 위해 먼저 음운론은 무엇이며 발음 교육론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 융합의 유효성을 주목하며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모색하는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그 중 한 종류가 이론과 응용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음운론 이론과 발음 교육 현장의 응용이 바로 이러한 융합적 특징을 띠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질적인 전문 분야 간의 창의적 융합을 창출하고자 하는 현대사회의 지향에 비하면, 음운론과 발음 교육론은 뿌리가 같은 유사 분야가 만나는 것이긴 하지만, 그래도 이 둘 사이의 융합 관계를 창의적으로 생각하며 학습을 하면 좋을 것이다.
음운론이란 사람들이 말을 할 때 내는 소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람들이 말을 할 때에 어떤 소리를 사용하는지, 소리와 소리가 만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언어권별로 각기 다른 특징적인 소리로 어떤 것이 있는지 등 사람의 말소리와 관련된 주제를 연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발음 교육론이란 외국인들이 한 언어를 배우고자 할 때, 그들이 잘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육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한 언어권의 소리를 어떤 순서로 가르치는 게 좋을지, 어떤 점을 특히 중요하게 가르쳐야 하는지, 교사는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고 숙달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활동을 하면 좋을지 등 사람이 말을 배우는 데에 필요한 주제들을 연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발음 교육론의 선수 학습이 음운론이다. 음운론을 모르면 발음 교육론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한국어 교원이 외국인들에게 발음 교육론을 잘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음운론 이론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외국인 학습자에게 가르쳐야 할 내용은 한국어 음운론 이론 자체가 결코 아니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론을 가르치는 것은 부적합하다. 이에 적절한 교육 이론이 따로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발음 교육론이다. 음운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발음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데, 무조건 따라하라고 하는 식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 한국어 발음이므로 교사가 교육에 활용할 적절한 교육론이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음운론을 전공으로 공부하지 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외국인에게 한국어의 모음과 자음을 가르칠 수 있다. 그런데 모음과 자음을 가르치는 것은 그야말로 소리의 가장 기본 조각을 가르치는 것이면서 동시에 한글 문자를 가르치는 일이 병행된다. 이러한 기본 단계를 지나면 이제 한국어 단어를 발음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동시에 한글로 적힌 한국어도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단어를 이어서 한국어 문장도 말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한글 문자가 한 두 개가 아니고 한국어 문장도 한 두 개가 아니니 그 어마어마한 국어 자료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외국인에게 학습하게 할까 하는 고민을 아니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면 음운론과 발음 교육론의 정의와 목표를 각각 정리해보기로 한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이 책의 각 부분에서 더 확장된 내용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