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8179310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20-09-30
책 소개
목차
중국어 교재 텍스트에 대한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__강병규
1. 들어가며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중국어 교재 텍스트에 대한 기초 통계
4. 어휘 사용의 다양성 분석
5. 어휘 사용 등급 분석: HSK 어휘표와 비교
6. 주요 어휘 범주의 사용 양상
7. 고빈도 정형 표현의 추출과 분류
8. 어휘 분포와 결합 정보에 기초한 중국어 교재의 군집분석
9. 나오며
코퍼스를 활용한 음성 변이 연구 - ‘啊’ 음성 변이를 일례로__김태은
1. 들어가며
2. 어기조사 ‘啊’의 변천 – 문학작품 코퍼스의 활용
3. 보통화의 ‘啊’ 음성 변이 연구
4. 보완을 위한 백업(back-up) 연구
5. 나오며
웨이보 자동 수집(crawling)과 키워드 분석
- COVID-19 관련 어휘를 예시로__박민준
1. 들어가며
2. 무엇을 수집할 것인가? - 살아있는 중국어 빅데이터, 웨이보
3. 어떻게 수집할 것인가? - 웨이보 수집의 실제
4.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 데이터의 저장과 활용 예시
5. 나오며
중국어 구어 코퍼스로의 접근법__박찬욱
1. 들어가며
2. 전사의 특성과 도구
3. 구어 코퍼스로의 접근
4. 나오며
코퍼스 기반 중·한 공문 텍스트의 언어 표현 양상 대조 연구__신근영
1. 들어가며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중·한 공지 텍스트의 어휘 표현 양상 대조
4. 중·한 공문 텍스트의 언어적 표지 대조
5. 나오며
코퍼스 분석에 기반한 중국어 방향보어의 상적 기능 고찰
- 방향보어 ‘下来’와 ‘下去’를 중심으로 __유수경
1. 들어가며
2. ‘下来’, ‘下去’의 상적 자질에 대한 코퍼스 분석
3. ‘下来’, ‘下去’의 상적 기능과 지위에 대한 이론적 해석
4. 나오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ingestion’ 프레임의
한‧중 문화요소 비교 연구__윤유정
1. 들어가며
2. 틀의미론과 프레임넷 및 텍스트마이닝
3. 한‧중 ‘ingestion’ 프레임 문화요소 비교
4. 나오며
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담화문법 연구__정인정
1. 들어가며
2. 중국어 담화문법과 코퍼스
3. 중국어 상표지의 담화 기능
4. 코퍼스를 활용한 담화에서의 중국어 상표지의 선택
5. 나오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중국어 교육 관련 학위 논문 연구 동향 분석__최은재
1. 들어가며
2. 연구설계
3.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4. 분석 결과에 대한 심층적 논의
코퍼스 언어학을 위한 언어자료 수집과 분석방법__하두진
1. 들어가며
2. 언어자료 수집
3. 자료 전처리
4. 분석예시
5. 나오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과 중국에서 제2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국어 교재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그리고 중국어 교재별로 편찬 목적에 따라 어휘 사용, 문장 구성 등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코퍼스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계량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중국어 교재의 어휘 사용빈도·다양성·수준, 어휘 범주, 정형화된 표현 등을 분석하여 교재별로 존재하는 언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소위 ‘대외한어교재’로 불리는 중국어 교재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교재별로 차이가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등을 고찰하였다. 특히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에 비해 한국에서 편찬된 교재 텍스트가 가지는 언어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탐색하였다.
본고는 중국어 교재 텍스트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교재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국내에서 출판된 중국어 교재 35권과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 263권의 자료를 데이터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 교재를 세 종류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 세 부류는 한국인 주저자가 편찬한 교재(A 유형), 중국 교재를 한국에서 편역한 교재(B 유형),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C 유형)이다.
첫 번째로 본고는 중국어 교재 텍스트에서 사용된 단어와 문장의 사용빈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단어의 출현빈도와 유형빈도를 볼 때 ‘A 유형 < B 유형 < C 유형’의 순서를 가진다. 중국어 교재에 사용된 단어의 음절수는 평균 ‘±1.5’음절로서 교재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문장의 평균적인 길이는 교재 유형과 수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교재 유형별로는 A 유형 교재의 문장 길이가 가장 짧고 C 유형 교재의 문장 길이가 가장 길었다. 특히 C 유형 텍스트는 단어의 평균 길이가 14.61로서 확연한 차이가 난다. 수준별로 나누어 보면 초급 교재일수록 문장의 길이가 짧고 중고급 교재일수록 문장이 길어진다. 즉 교재의 수준이 높아지면 단어의 수량도 증가하며 문장도 길고 복잡해진다.
두 번째로 중국어 교재별로 STTR 수치를 조사하여 얼마나 다양한 어휘가 사용되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 A 유형 교재의 STTR 값이 가장 낮고 B 유형 교재가 그 다음이며 C 유형 교재가 가장 높다. STTR 값이 낮다는 것은 사용된 단어가 상대적으로 적고 어휘의 다양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STTR 값이 높으면 교재 텍스트의 다양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어휘 다양성이 높으면 그만큼 어휘 학습량이 증가하고 난이도가 높아지게 된다.
세 번째로 교재별 어휘 사용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HSK 어휘 등급표와 비교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보면 어휘 등급의 비율은 교재 유형별로 큰 차이가 없으나 수준별로는 차이를 보였다. 즉, 교재의 어휘 등급 수준은 교재의 수준에 비례하는 경향이 있었다. 초급 수준의 교재일수록 1급∼3급 어휘의 비율이 높고 중고급 수준의 교재일수록 4급∼5급 어휘의 사용비율이 늘어난다. 한가지 주목할 점은 중국어 교재에 사용된 어휘 중에서 HSK 어휘 목록에 제시되지 않은 비율도 높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저자들이 교재를 편찬할 때 규범적인 어휘 등급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고유명사, 문화 어휘, 신조어, 관용어 등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기본어휘표나 정해진 어휘 규범을 준수해야 하는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사용 양상과는 다른 점이다.
네 번째로 중국어 교재 텍스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휘 범주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어 교재 텍스트에서 인칭대명사, 의문조사, 의문사 등의 키워드 수치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도 각 어휘 범주별로 자주 사용되는 명사류, 동사류, 형용사류 등이 존재한다. 교재 유형별로 보면 A 유형 교재는 한국인의 관점에서 문장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한국적 담화 상황을 반영한 어휘 범주가 특징적으로 사용된 측면이 있다. 이에 비해 B 유형 교재는 중국인의 관점에서 편찬되었기 때문에 중국의 전통문화, 생활방식, 중국의 교육 환경과 관련된 단어들이 자주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섯 번째로 고빈도로 나타나는 2 단어 이상의 어휘 결합을 정형 표현으로 정의하고 중국어 교재에서 자주 사용되는 유형을 정리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중국어 교재 텍스트에도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의 조합이 존재한다. 이들은 문장에서 한 ‘덩어리’를 이루어서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고빈도로 출현하는 정형 표현은 단어보다는 크지만 어휘처럼 학습되고 사용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출현빈도와 생산성이 높은 정형 표현은 중국어 학습의 기초자료가 된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