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88968240720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7-08-30
목차
제1장 수산업의 개요 1
제1절 수산업의 의의 3
1. 수산학 / 3
2. 수산업 / 4
제2절 수산업의 특성 6
1. 수산업의 특성 / 6
2. 우리나라의 수산업 / 6
제2장 바다와 환경 13
제1절 바다의 구조 15
1. 지형학적 구조 / 15
2. 해수의 성질과 구조 / 20
3. 해수의 밀도와 수괴 / 26
4. 빛과 소리 / 29
제2절 해류 및 순환 34
1. 해류와 순환의 중요성 / 34
2. 해류의 발생원인 / 35
3. 대양 순환계: 흐름 분포와 특성 / 42
4. 용승, 엘리뇨, 전선 / 48
제3절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특성 52
1. 우리나라 근해의 지형 구조 / 52
2. 우리나라 근해의 해황 / 53
제4절 해양의 오염 67
1. 오염원 / 67
2. 오염 현상 / 80
제3장 수산자원 81
제1절 수산자원 생물 83
1. 수산자원 생물의 정의 / 83
2. 수산자원의 특징 / 84
제2절 수산자원의 단위 86
1. 계군 / 86
2. 계군의 식별방법 / 87
3. 분포와 회유 / 88
4. 계군의 속성 / 95
제3절 수산자원의 조성 100
1. 성 조성 / 100
2. 체장 조성 / 100
3. 연령 조성 / 102
4. 유전자 조성 / 103
제4절 수산자원의 변동 104
1. 자원량 변동의 기초 / 104
2. 가입 / 104
3. 성장 / 106
4. 사망 / 110
제5절 수산자원과 어획 112
1. 자원량 추정 / 112
2. 어업 자원의 변동 / 112
3. 어획의 영향 / 113
4. 적정 어획 / 115
5. 남획 / 120
제6절 어황 123
1. 어황의 변동 요인 / 123
2. 어황의 변동 경향 / 125
3. 어황의 예보 / 125
제7절 자원 관리 128
1. 가입의 관리 / 128
2. 성장의 관리 / 130
3. 자연 사망의 관리 / 131
4. 어획의 관리 / 131
5. 환경의 관리 / 132
제4장 어 업 135
제1절 어장 137
1. 어업과 어장 / 137
2. 어장의 형성 요인 / 146
제2절 어구의 구성 151
1. 어구의 재료 / 151
2. 그물실의 규격 / 153
3. 줄의 구조와 규격 / 161
4. 낚시 어구의 구성 / 163
5. 그물 어구의 구성 / 166
제3절 어구와 어법 177
1. 어로의 과정 / 177
2. 어구와 어법의 분류 / 180
제4절 어업 기기 186
1. 어업 기기의 분류 / 186
2. 수중 정보 수집장치 / 187
3. 어구 조작용 기계장치 / 197
제5절 우리나라의 주요 어업 202
1. 동해안의 어업 / 202
2. 서해안의 어업 / 209
3. 남해안의 어업 / 213
4. 원양어업 / 217
제5장 양 식 227
제1절 양식의 개요 229
1. 양식의 개념 / 229
2. 양식의 현황과 전망 / 229
제2절 양식 방법과 시설 231
1. 양식의 분류 / 231
2. 양식장의 적지 선정 / 232
3. 양성법과 시설 / 234
제3절 양어 사료 239
1. 양어 사료의 특징 / 239
2. 어류의 섭이와 소화 · 흡수 / 239
3. 사료의 보존과 급이 / 242
제4절 양성과 관리 245
1. 수용량과 생산량 / 245
제5절 수확과 출하 250
1. 수확과 선별 / 250
2. 절식과 축양 / 250
3. 수송 / 251
제6절 수산 동물의 질병 253
1. 수산동물(어류)의 특성 / 253
2. 질병의 원인 / 253
3. 어류 질병의 특징 / 254
4. 어류 질병의 발생 메카니즘 / 255
5. 어류의 생체 방어 / 255
6. 질병의 종류 / 257
제7절 주요 산업종의 양식 267
1. 유영동물 양식 / 267
2. 유영성 저서동물의 양식 / 270
3. 부착성 동물의 양식 / 271
4. 포복성 동물의 양식 / 274
5. 비부착성 동물의 양식 / 275
6. 해조류 양식 / 276
제6장 수산 가공 291
제1절 수산 가공의 개요 293
1. 식품 원료로서의 수산물의 특성 / 293
제2절 수산물의 성분 특성 295
1. 어육의 조직 / 295
2. 보통육과 적색육 / 297
3. 수산물의 주요 성분 / 297
4. 어패류의 사후 변화와 선도 판정 / 301
제3절 수산 가공품 305
1. 건제품 / 305
2. 염장품 / 309
3. 훈제품 / 310
4. 발효 제품 / 312
5. 연제품 / 314
6. 통조림 식품 / 319
7. 냉동식품 / 322
8. 해조 가공품 / 328
제4절 수산 식품 위생 335
1. 식중독 / 335
2. 어패류의 독 / 337
3. HACCP / 338
제7장 수산 경영 349
제1절 수산 경영의 개요 351
1. 수산 경영의 뜻 / 351
2. 수산 경영의 특성 / 351
제2절 수산 경영의 형태 354
1. 어가경영 / 354
2. 개인경영 / 356
3. 협업경영 / 358
제3절 인사관리 361
1. 인사관리의 뜻 / 361
2. 어업노동의 특수성 / 361
3. 종사자의 확보(고용) / 362
4. 노사관계 / 364
제4절 생산관리 366
1. 생산관리의 뜻 / 366
2. 생산 계획 / 366
3. 생산조직 / 369
제5절 재무관리 373
1. 재무관리의 뜻 / 373
2. 재무관리의 기능 / 374
3. 수산 금융 / 380
제6절 판매관리 382
1. 판매관리의 뜻 / 382
2. 수산물 판매 경로 / 383
3. 수산물의 물적 유통 시스템 / 384
4. 어시장의 기구 / 387
5. 수협의 공동판매제도 / 389
6. 수산물의 유통 전략 / 390
찾아보기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