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801297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개정판 머리말 006
초판 머리말 008
들어가는 글 013
1부. 나는 ‘좋은’ 교사가 되고 싶지 않다
아이들을 무서워할수록 아이들은 무서워진다 032
나는 왜 두발 자유에 집착하는가? 038
호랑이 굴에서 인권을 고민하다 048
‘참교사’, 불가능한 꿈 063
교사의 다섯 가지 유형 071
교사는 친구인가, 조정자인가, 멘토인가? 078
계급장 떼고 만나는 즐거움 083
2부. 학생들의 목소리를 공부하자
아이들의 꿈을 응원해 줄 수 있을까? 102
“학교 오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요” 109
아이들로부터 진실을 배운다 113
토론 수업이 내게 가르쳐 준 것들 131
누가 아이들을 ‘무서운 10대’로 만드는가? 137
어린 ‘2등 시민’의 체념 141
인권이 학교에 질문하는 것들 144
학생인권이 바꾸는 학교의 풍경들 160
3부. 교사의 권리와 학생의 권리는 이어져 있다
학교 권력의 풍경 172
나는 ‘매우 만족’ 평가를 받는 교사일까? 179
스승의 날을 우울하게 만드는 제도 186
교사를 위해서도 체벌 금지는 필요하다 189
체벌 금지 이후, 학교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202
자치 활동 코스프레는 이제 그만 215
‘학급공동체’에 대한 동상이몽 228
교사로서 내가 해방되기 위해서 241
4부. 학생과 함께 정치하다
촛불을 든 아이들 254
나의 1인 시위 이야기 265
학교에서 시민교육이 잘 되지 않는 이유 277
묻어갈 수 없는 시대,
금지가 있는 곳에서 정치가 시작된다 281
하야를 하야라 말하지 못하고 290
촛불 주역 옭아매는 80년대식 교내 징계 297
대통령 선거 날 교복 입고 투표한 이유 300
청소년 참정권 농성장에서 배운 것 303
‘교실의 정치화’가 걱정되신다고요? 310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이들에게 설문을 했다. 왜 이렇게 내 수업 시간에 떠드는지, 그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써 보라고 했다. 때려라, 점수 깎아라, 부모에게 전화하라, 여러 가지 해결책이 쏟아졌다. 그중 두 아이의 문제 분석이 내 뒤통수를 때렸다. 한 아이는 공부를 제법 하는데, 학원에서 다 들었다고 수업을 안 듣고 방해하는 얄미운 아이였다. 그 아이의 쪽지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나는 학교가 끝나면 바로 학원에 갔다가 새벽 1시에 온다. 학원에서는 매일 시험을 보고 그 기준을 넘지 못하면 남아서 공부하거나 맞는다. 선생님에게는 미안하지만 국어 시간은 그나마 유일하게 떠들 수 있는 시간이다.””
- 들어가는 글 〈나는 어쩌다 ‘평생 학교에 다닐 결심’을 했을까?〉 중에서
“아이들은 믿을 만한 어른을 필요로 한다. 스스로 판단하기에 어느 것이 믿을 만한 정보인지, 자신이 꿈꾸는 것이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 묻고 싶은 게 많기 때문이다. (……) 담임이 이러한 어른이 되려면 담임의 권력을 내려놓아야 한다. 아이들의 안전을 보장할 의무를 다하기 위해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위험한 행동은 못 하도록 규제하는 권력을 행사하느라 진을 빼지 말고, 의무의 내용으로 점철된 권력을 내려놓고 아이들의 삶의 영역을 아이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 〈교사의 다섯 가지 유형〉 중에서
“나는 사실 그 아이에게 똑같은 말을 하고 싶었다. 이렇게 중요한 시기에 학교에 와서 잠만 자면 어떻게 하냐고. 너희 부모님은 네가 이렇게 학교에 와서 자는 걸 알고 계시냐고. 그런데 그 아이는 이미 알고 있었다. 매일 자기의 소중한 시간이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 누구보다도 절실하게 느끼고 있었다. 이 아이가 잠을 자는 것은 그냥 졸려서가 아니라 어떤 집요한 ‘선택’이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자기가 배우고 싶은 것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입시에 나오는 것만 가르치는, 그래서 입시에 관심이 없는 자기와 같은 사람에게는 필요 없는 수업에 대한 일종의 준법 투쟁.”
- 〈“학교 오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