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타 악티바
· ISBN : 9788970137063
· 쪽수 : 5쪽
· 출판일 : 2008-12-05
책 소개
목차
1권
1장 인권과 시민권이란 무엇인가
왜 인권인가
인권
시민권
시민권과 함께 발전한 인권
2장 근대 이전의 인권과 시민권 - 고대 자연법사상과 시민권의 형성
1.자연법사상
2.고대의 시민권
3장 근대 인권 사상 및 시민권 제도의 발전
1.근대 인권 사상 및 시민권 제도의 사회적.역사적 조건
2.근대 인권 사상의 발전
3.근대 시민권 제도의 발전
4장 현대 인권 - 시민권 이론의 발전
1.영국 시민권의 발전 과정 - 사회권의 탄생
2.여성의 인권과 시민권
3.문화적 권리의 문제와 다문화 시민권
5장 지구 공동체의 지구 시민권을 꿈꾸다
인권과 시민권의 범위
지구화와 지구 시민권
개념의 연표 - 인권
2권
1장 왜 다시 아나키즘인가
1.오래된 미래, 아나키즘
2.아나키즘이 우리에게 던지는 물음들
2장 아나키즘이란 무엇인가?
1.왕을 부정하고 대동을 꿈꾸다
2.국가의 중심에서 자유를 외치다
3.세계의 아나키즘
3장 아나키스트의 목소리 - 책으로 만나는 아나키즘
1.프루동의 《소유란 무엇인가》
2.바쿠닌의 《국가주의와 아나키》
3.크로포트킨의《빵의 쟁취》
4.머레이 북친의《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5.신채호의《조선혁명선언》
6.유자명의《한 혁명자의 회억록》
4장 진화하는 아나키즘, 논쟁의 역사
1.내가 선택하는 삶의 중요성
2.공생공락의 삶을 꿈꾸며
5장 아나키즘의 길 아나키스트의 길
국가 없는 삶은 가능할까
이미 실현되고 있는 코뮌의 꿈들
아나키즘 | 개념의 연표
3권
1장 시민 - 개념과 이념
1.땅콩과 시민
2.왜 시민인가
3.개념사와 사회사
2장 시민의 개념사, 시민의 사회사
1.고대와 중세의 시민
2.프랑스 대혁명과 근대적 시민권
3.시민 계급 : 부르주아와 교양 시민
4.시민,시민 사회 : 현대적 재발견
3장 시민과 인접 개념들
1.시민과 국민
2.시민과 계급
3.시민과 세계시민
4장 시민의 이념
1.자유로운 시민
2.연대하는 시민
3.참여하는 시민
5장 한국의 시민과 시민 사회
개념의 연표 - 시민
4권
1장 왜 아직도 계급이 중요한가
1.사회적 불평등의 원인을 탐구하다
2.계급 관계의 이해 - 인간답고 행복한 삶의 기초
2장 계급이란 무엇인가
1.계급의 역사
2.오늘날의 계급론
3장 그들은 계급을 어떻게 말했나
1.신분과 계급
2.프롤레타리아, 고통 받는 다수
4장 계급을 둘러싼 논쟁
1.노동자 계급은 새로운 사회를 건설할 수 있을까
2.경제결정론 - 자본의 모순이 계급 의식을 낳다
3.서구 마르크스주의 - 경제결정론에 반대한다
4.들뢰즈 - 계급론 폐지와 자본주의 변혁
5.신베버주의 - 중간 계급에 주목하다
5장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계급 이론
1.계급 투쟁의 물질적 조건 - 노동자의 자기 생산
2.상호 모순적으로 통일되어 있는 자본주의 경제 영역의 두 계기
3.주체로서의 계급 형성의 출발점 - 여성주의 문제의식의 공유
개념의 연표 - 계급
5권
1장 아방가르드, 전투의 선봉에 서다
1.전재의 전위 부대
2.예술사의 전위 부대가 등장하다
2장 예술, 마침내 자율성을 획득하다
1.예술사, 자율을 위한 투쟁
2.근대적 예술 세계의 등장
3장 아방가르드, 예술에 반기를 들다
1.예술, 위기에 직면하다
2.아방가르드, 도발을 선언하다
3.아방가르드, 새로운 미래 예술을 실험하다
4장 아방가르드 운동, 그 이후
1.아방가르드, 마침내 인정받다
2.아방가르드, 인정받았기에 실패에 빠지다
새로움은 더 이상 도발이 아니다
3.우리 시대의 아방가르드는 어디에 있는가
5장 아방가르드, 성공과 실패의 역설
성공과 실패의 역설
문제는 성공이 아니라 성공 이후
도움 받은 자료들
연표로 보는 아방가르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