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437416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고전은 꽤 괜찮은 친구입니다
1. 인간의 운명에 맞서는 고대의 방법을 배웁니다: 《길가메시 서사시》
2. 오뒷세우스는 자연 지배적 주체의 원형입니다: 호메로스, 《오뒷세이아》
3. 사악한 마음의 지배를 받았던 사람들의 지하세계로 가보겠습니다: 단테 알리기에리, 《신곡》 중 〈지옥〉
4. 지배자는 어떤 덕목을 지녀야 할까요?: 니콜로 마키아벨리, 《군주론》_107
5. 권력자는 군중을 장악하려 하고, 군중은 잘못된 권력자를 심판하려 합니다: 엘리아스 카네티, 《군중과 권력》
6. 삶을 살찌우기 위해 무엇이라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빙 고프먼, 《수용소》
7. 맹신의 지배에 대처하는 계몽주의자는 정원을 가꿉니다: 볼테르, 《관용론》
8. 구조적 억압에 맞서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아이리스 매리언 영, 《차이의 정치와 정의》
9. 지배자는 알지 못했던 인디오의 영혼 속 비밀을 밝혀봅니다: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카스트루, 《인디오의 변덕스러운 혼》
10. 독일과 인도의 두 여성이 억압의 복합 체계로부터 탈출을 모색합니다: 마리아 미스, 반다나 시바, 《에코페미니즘》
에필로그: 지배받지 않는 기술은 21세기가 요구하는 처세술입니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전은 고리타분한 책이 아닙니다. 고전을 고리타분하다고 느낀다면, 그건 그 고전 탓이 아니라 고전을 관습적 방법으로 읽어내었던 우리의 지적 불성실이 원인일 수도 있지요. 고전은 변화한 시대에 맞춰 해석도 달라져야 하는 대상 텍스트입니다. 우리는 언제나 그랬듯이 현대적 감각으로 고전을 읽어내고자 합니다. 《오뒷세우스》는 고전을 현대적으로 읽어내는 방법을 연습하기에 최적의 텍스트입니다.─2장 〈오뒷세우스는 자연 지배적 주체의 원형입니다〉 중에서
제가 《군주론》을 읽는 이유는 통치하는 군주가 군주에게 요구되는 덕목을 제대로 갖추었는지, 그가 올바로 행동했는지를 감시하고 비판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려면 통치받는 인민의 관점에서 적절한 군주의 행위양식은 무엇인지에 관한 분명한 입장을 수립해야 하는 것이 전제조건이니까요. 바람직한 군주의 모습에 대한 분명한 생각이 있는 인민이 군주를 감시할 수 있습니다. ─4장 〈지배자는 어떤 덕목을 지녀야 할까요?〉 중에서
좋은 군주, 즉 미래의 군주는 현혹하지 않는 사람이고 미래의 군중은 현혹당하지 않는 존재여야 한다고요. 혹시라도 그때 그 순간은 ‘현혹’되었기에 ‘권력의 내장’ 속으로 빨려들어갔다가 ‘살아남는 자’는 그 잘못된 모든 것을 되돌려놓으려고 저항하는 군중을 형성합니다. 권력자는
군중을 장악하려 하지만, 현혹되지 않은 군중은 잘못된 권력을 심판해왔습니다. 역사는 그렇게 진행되어왔죠. ─5장 〈권력자는 군중을 장악하려 하고, 군중은 잘못된 권력자를 심판하려 합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