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7094875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6-07-10
책 소개
목차
1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1-1 남자와 여자는 ‘그냥 친구’가 될 수 없다
1-2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에 관한 진실
1-3 그가 말하는 방식, 그녀가 말하는 방식
1-4 진화는 성차를 불러왔을까?
1-5 남자는 섹스를, 여자는 사랑을 중시한다?
2 현대 세계에서 데이트하기
2-1 디지털 세계에서 데이트하기
2-2 온라인 데이팅의 진실
2-3 리부팅이 필요한 파트너
3 사랑을 찾고 지키기
3-1 데이트라는 게임을 바꾸기
3-2 유머의 간극
3-3 과학을 통한 사랑의 연습
3-4 행복한 커플의 비밀
4 뇌의 섹스와 사랑
4-1 사랑에 빠진 당신의 뇌
4-2 사랑이라는 신경화학적 충격과 강박
4-3 사랑은 어떻게 창의력의 원천이 되는가?
4-4 사랑은 마약 같은 것
4-5 사랑에 빠진 여성이 맛보는 좋은 섹스
4-6 입술과 입술이 만드는 사건
4-7 “내게 전류를 흘려주세요”
4-8 섹스와 비밀신경
4-9 오르가슴 마인드
5 젠더, 섹슈얼리티, 그리고 선택
5-1 당신의 아이는 동성애자입니까?
5-2 동성애자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있을까?
5-3 후속편 : 섹슈얼리티와 선택
5-4 섹슈얼리티에 관한 유연한 사고방식
5-5 제3의 젠더
6 사랑과 섹스의 어두운 면
6-1 남성은 왜 성매수를 할까?
6-2 어두운 성격의 성적 매력을 밝히는 심리학
책속에서
● 소년이나 소녀로서의 성장이 어떻게 뇌를 조형하는가? 이들이 태생부터 다르다는 건 명백하다. 유전적·호르몬적 차이로 인해 남녀는 뇌의 발달 경로가 처음부터 다소 다르다. 그런데 초기 경험이 세포 내 유전자들의 화학 구성과 기능을 영구적으로 변화시켜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맥길대학의 신경과학자 마이클 미니(Michael J.Meaney)와 동료들을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은 모자보건의 질이 태아의 뇌세포 생성부터 스트레스 반응의 변화와 기억 기능 등에 다양한 신경적·심리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발견했다. 부모가 아들딸의 양육 방식을 달리하는 것 역시 발달 중인 뇌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 (1-2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에 관한 진실’ 중에서)
● “외로워하면서도 누군가와 가까워지기 두려울 때 기계와의 관계는 외톨이면서도 결코 혼자가 아니게 해줍니다. 우정의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 동반자의 존재는 환상적입니다. 축하할 일은 아닙니다. 로봇과의 관계에 이끌린다는 건 인간관계에서 무언가 결핍되어 있다는 뜻이니까요.” (2-3 ‘리부팅이 필요한 파트너’ 중에서)
● 유머가 지성의 좋은 지표임을 보여주는 연구는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한다. 지성은 모두 우러러보는 좋은 특성이며 유전되기도 한다. (…) 여성이 임신 가능성이 높은 배란기에 무엇을 원하는지 알면 유머를 성선택으로 설명하는 가설을 한층 섬세하게 검증할 수 있다. 대규모 연구 결과, 배란기 여성은 단기적 파트너를 찾을 때 신체 균형, 남성적 이목구비, 지배적 행동 등의 좋은 유전자 신호를 보이는 남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장기적 파트너를 찾을 때는 신체 사이클이 어떤 상태든 앞서의 선호를 전혀 보여주지 않았고, 자원(요즘 같은 시대에는 돈)이 풍부하고 성격이 가정적인 남성을 택했다. 달리 말해 좋은 아빠를 찾았다. 만약 유머가 창의력과 지성의 신호이고 질 좋은 유전자의 지표라면, 재미있는 남자들은 배란기 여성에게 호감을 살 것이다.(3-2 ‘사랑을 찾고 지키기’ 중에서)
● 사랑과 섹스가 단지 사랑하는 사람이나 욕망에 대한 생각뿐 아니라 모든 것에 관한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다른 실험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증명했다. 사랑에 빠진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의 여러 가지 특성을 구분하기 어려워한다. 예를 들면 “그렇게 잘생긴 사람은 틀림없이 성격도 다정할 거야!”라는 식으로 한 가지 특성을 통해 다른 특성까지 멋대로 짐작한다. 흔히 후광효과(halo effect)라 불리는 현상이다. (4-3 ‘뇌의 섹스와 사랑’ 중에서)
● 왜 부모는 자녀가 혹시 게이일까봐 그토록 우려하는 걸까? 특별한 조건이 없는 한 실제로 동성애자 자녀를 선호하는 부모를 찾기는 힘들 것이다. 진화적으로 말하면 부모가 호모포비아(homophobia : 동성애 혐오)를 보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게이 아들과 레즈비언 딸은 생식을 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별다른 수가 없다면). 그렇지만 부모들은 이 점을 염두에 두시라. 여러분 자녀는 그 흔한 유성 생식이 아닌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유전자의 전반적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1-5 ‘젠더, 섹슈얼리티, 그리고 선택‘ 중에서)
● 성매수 남성은 대체로 심리적 문제가 있고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이 만손의 견해다. 스웨덴의 많은 성매수 남성이 이와 유사하게 자신의 성적 행동을 ‘통제 불가’ 또는 ‘심리적 중독’으로 본다. 일부 과학자는 그러한 자기규정을 인정하지 않는다. 일반적 의견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성매매 금지국인 미국 등의 나라에서 성매수 남성에게 범죄자 낙인을 찍고 이들을 정신이 불안정한 사람으로 몰아가는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남성에게 얼마나 중독적 행위이건 심각한 상처를 받는 쪽은 여성이다. 성매매 여성은 최소한 친밀감을 상품으로 팔 수 있도록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려 애쓰며 심리적 고통을 겪는다. 게다가 성매수 남성에게 육체적 학대를 당하는 일도 종종 일어난다. (6-1 사랑과 섹스의 어두운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