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앙생활
· ISBN : 9788971081693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06-02-24
목차
■ 서언: 전례의 개혁 - 세기의 과제
■ 전례 - 하느님과 인간과의 대화
1. 전례라는 말은 원래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2. 왜 우리는 파스카 신비를 언급하는가?
3. 전례 예식에 속하는 것은 대체 무엇인가?
4. 교회 공동체의 과제들 가운데 전례는 어떤 위치를 점하는가?
5. 동료적 유대감이 미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아닐까?
6. 우리는 그리스도의 재림도 생각하는가?
■ 전례의거행자
7. 대체 누가 전례의 거행자에 속하는가?
8. 전례에서 성령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9. 평신도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10. 부제는 평신도 ‘이상’일 수 있을까?
11. 전례에서 사목적 보조자들은?
12. ‘능동적 참여’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전례와 종교적 삶
13. 신앙과 전례의 관계는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14. 영성과 전례는 어떤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가?
15. 우리에게 전례 지식이 결여된 것은 아닐까?
16. 전례에 보다 큰 경외심이?
■ 전례 예식의 다양성
17. 전례에 통일성이, 아니면 다양성이?
18. 전통과 개혁은 상반된 대립인가?
19. 교회 개혁이 없이 전례의 개혁이 존재하는가?
20. 자발적으로, 아니면 규정된 규칙에 따라서?
21. 주어진 상황에 맞게, 아니면 규정에 따라서?
22. 전례에 더 많은 자유를, 아니면 더 많은 규정을?
■ 전례 개혁의 요소들
23. 전례적 표징들은 아직도 이해 가능한 것일까?
24. 축제와 예식은 충분히 표현되고 있는가?
25. 기쁨은 전례의 본질적인 요소인가?
26. 전례에서 동작과 춤은?
27. 놀이로서의 전례는?
28. 성가와 음악 - 전례의 요소인가?
29. 어떤 형태의 음악이 존재하는가?
30. 전례에 시청각 매체는?
■ 그 밖의 중요한 문제들
31. 축복이 아직도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32. 언제 그리고 어떻게 축복받는가?
33. 성지 순례 - 아직도 시대에 적합한 것일까?
34. 묵주 기도 - 전례 예식의 기도일까?
35. 전례의 개혁 - 반(反)교회적인 것인가?
36. 전례에서 교회 일치가 고려되었던가?
37. 무엇이 우리를 동방 교회의 전례와 연결시켜 주는가?
38. 유다인의 전례는 우리에게 있어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 옮기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