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71328521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2-06-07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는 이에게 · 5
제1장 나의 조국 대한민국
1. 대한민국의 탄생 · 19
1)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대한국민… · 19
2) 21세기―인류문명의 주역으로 · 23
2. 우리 민족의 뿌리 · 25
제2장 오늘의 대한민국, 기적인가
1. 우리는 큰일을 해냈다 · 31
2. 대한민국의 위상 변화 · 36
3. 코리아 판타지―온 세계를 놀라게 하다 · 41
제3장 자랑스러운 저항의 발자취
1. 문명사의 大쓰나미 · 49
1) 서세동점의 실상 · 49
2) 일본의 상황논리―분열에서 통일로 · 51
2. 독립운동에 얽힌 사연들 · 54
1) 3·1운동의 세계사적 의미 · 54
2) 〈식민지 시혜론〉의 기만성 · 58
3) 유림儒林을 위한 변명 · 61
3. 투쟁 속에도 살아 있는 선비정신 · 65
1) 구원久遠의 성자聖者 안중근 의사 · 65
2) 도산 안창호 선생의 도덕성 · 68
제4장 선구자의 영예와 비애
1. 우당友堂 일가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 73
1) 여섯 형제가 함께 망명길에 오르다 · 73
2) 항일무장투쟁의 본산 〈신흥무관학교〉 · 75
2. 六堂의 ‘조선주의·조선정신’ · 90
1) 선각자들의 지적知的 네트워크 :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 · 91
2) 연작燕雀이 큰 뜻을 어찌… · 95
3) 만년소묘晩年素描 : ‘망하기는 흥하기보다 더 어렵다’ · 103
4) 〈여록餘錄〉 · 105
3. 인촌仁村과 수당秀堂의 우국애족 · 112
1) 인촌의 경세가적經世家的 민족사업 · 113
2) 수당이 지향한 ‘과학입국’의 꿈 · 118
4. 일본군 육군중장 홍사익洪思翊 · 126
1) 홍사익, 그는 누구인가? · 126
2) 죽음의 길―남방행 · 127
3) ‘여기에 참사람이 있다’ · 128
4) 홍사익의 〈忠〉 · 130
제5장 역사를 보는 눈
1. 단재丹齋의 역사관과 소동파의 현실인식 · 135
1) 단재의 자주사관 · 135
2) 소동파의 적벽부赤壁賦 · 138
2. ‘과거사’ 문제―친일청산, 어떻게 할 것인가? · 142
1) ‘죄 없는 자 돌로 쳐라’ · 142
2) 항일과 친일 · 144
3. 역사는 엄숙한 것 · 147
1) 삼전도비三田渡碑가 세 번 세워진 내막 · 147
2) 6·25는 ‘전쟁’이 아니다. · 149
제6장 남북분단은 어디서 왔는가
1. 민족사의 정통성 · 155
1) ‘김일성 민족’, ‘김일성 조선’ · 155
2) 건국대통령 이승만 · 158
3) 자립경제를 이룬 박정희 대통령 · 161
2. ‘분단’의 원인과 책임 · 167
1) 우리 민족 자책론 · 169
2) 일본 원죄론 · 170
3) 소련 야욕론 · 172
4)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 · 174
3. 우리에게 미국은 무엇인가? · 178
1) 한·미관계 140년 · 178
2) 은恩과 원怨의 두 얼굴 · 181
3) 역사상 한반도 분할획책 · 184
4) 소홀했던 ‘역사교육’ · 186
제7장 한국·한국인을 말한다
1. 한국인의 원초적인 심성 · 191
1) 죽으면 신神이 되는 한국인 · 191
2) 펄 벅이 본 한국인의 마음 · 193
3) 스웨덴 기자가 본 100년 전 ‘코레안’ · 195
4) 호텔이 없는 나라 · 199
2. 도덕적 정당성과 논리적 합리성 · 201
1) ‘문민우위文民優位’의 전통 · 201
2) 우리에게만 서책반출을 금禁한 중국 · 205
3. 쇄국과 무능이 나라를 망쳤는가? · 209
1) 대원군 재평가 · 209
2) 고종은 무능한 임금이었나? · 213
제8장 우리와 일본인, 어떻게 다른가
1. 일본인이 본 조선 사람 · 219
1) 〈동화정책〉―300년은 걸린다 · 219
2) 조선 지식인의 용일론用日論 · 221
3) 조선민족의 ‘사대사상’ · 224
4) 순역順逆이 무상한 민족 · 226
2. 한국과 일본의 인성人性 비교 · 228
1) 일본의 본보기 · 228
2) 두 가지 일화 · 230
3) 넉넉함과 모자람 · 232
4) 남의 불행을 대하는 시각 · 233
제9장 문화대국은 적을 만들지 않는다
1. 사랑의 문화―평화의 문화 · 239
2. 베풀기와 갚기 · 244
1) 700년 만에 돌아온 《명심보감明心寶鑑》 · 244
2) 연변延邊―통일의 교두보 · 246
3) 중화中華 패권주의 · 249
4) 터키에 부끄럽다 · 251
5) 베풀기의 두 마음 · 255
3. 불화不和에서 협화協和로 · 257
4. 정치사관학교 설립의 꿈 · 259
제10장 제3의 사상적 대안을 찾아서
1. 인간상실에서 인간회복으로 · 265
1) 사회주의 혁명 10년론 · 265
2) 인간의 얼굴 찾기 · 268
3) 동양회귀론東洋回歸論 · 271
4) ‘역사의지’와 ‘인간의지’ · 274
2. 한국이 주도하는 ‘아시아 공동체’ · 280
1) 창조적 〈신新통일론〉 · 280
2) 통일과 세계화는 하나 · 284
3) 통일로 가는 길 · 288
3. 중국이라는 나라와 더불어 살기 · 291
1) ‘이소사대以小事大’의 역逆발상 · 291
2) 〈동북공정東北工程〉 대응은 ‘쿨―’하게 · 296
3) 연변대학 〈발해사潮海史연구소〉 설립 · 299
4) 중국어사전 편찬과 역사의식 · 303
제11장 한국인의 생활철학
1. 공존의 지혜―우리 민족의 생존비결 · 313
2. 좋다면 뭐든지 수용 · 317
3. 제사와 추도식 · 320
제12장 문화영토시대 : 맺음하기
1. 한국문화의 세계화 · 325
1) 새로운 영토개념 · 325
2) 우리 문화공간의 부침浮沈 · 329
3) 한류 열풍의 의미 · 332
4) 종교를 통해 본 문화대국의 자질 · 333
5) 불세출 발레리나 최승희의 탄생 · 336
6)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 338
7) 세계로 뻗어나가는 새마을운동 · 340
8) 한국의 노벨평화상을 지향하는 선학평화상 · 341
2. 〈신新인본주의〉 선언 · 345
1) 한국인의 ‘인간 중심사상’ · 345
2) 신격화神格化된 ‘한국 어머니’ · 347
3. 인류구원救援의 철학 · 350
1) 효孝의 본질 · 350
2) 현대인의 고독 · 353
3) 국민교육의 근본은 ‘효孝’ ·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