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철학사
· ISBN : 9788971395738
· 쪽수 : 1004쪽
· 출판일 : 2012-01-10
책 소개
목차
글 싣는 순서
머리말
1장 일반성의 철학을 위하여
1. 철학에서 문화로, 문화에서 철학으로
2. 전통 ‘기(氣)’ 개념에 대한 재해석의 필요
3. 일반성의 철학으로서의 존재론
2장 인류학적 철학의 반론
1. 보편성과 일반성의 유착에 대하여
2. 메타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3장 천지인 사상과 존재론의 고금소통
1. 한국 기층문화로서의 밝() 문화에 대한 검토 ― 샤머니즘에 대한 존재론 및 기호론적 분석
2. 전불(前佛) 시대와 무교의 상관관계 ― 무불습합(巫佛褶合)을 중심으로
4장 가부장 사회가 철학에 끼친 영향
1. 문명은 가부장 사회
2. 음(陰)의 철학으로서의 음양론(陰陽論)
3. 성(性)에 대한 맹자와 고자의 대화
4. 권력, 말 : 마음과 몸을 다스리는 것
5. 가부장 사회와 이름 짓기
5장 이중성의 진리와 세계에 대하여
1. 존재는 이중적이다 : 존재자와 존재 ― 동양의 전통 음양 사상을 중심으로 생활과 활생 논의
6장 최한기의 ‘기학(氣學)’과 예술인류학의 ‘기(氣)’
1. 최한기의 기학에 대한 구조주의적 재해석
2. 예술인류학과 최한기 기학의 비교
3. 원효의 심(心)과 퇴계의 이(理)의 활용
7장 서양 철학사에 대한 반성 1 ― 소크라테스에서 들뢰즈, 데리다까지
1. 서양의 에피쿠로스적 전통에 대한 환기
2. 자연주의 철학과 이성주의 철학
3. 존재(being)와 생성(becoming) I
8장 서양 철학사에 대한 반성 2 ― 천지인·음양 사상으로 해체철학 읽기
1. 존재(being)와 생성(becoming) II
2. 라캉과 들뢰즈를 통한 토론
3. 들뢰즈의 종합적 유물론 : 욕망, 신체, 기계
4. 되기(-becoming)와 생성(becoming)
5. 데리다의 문자학과 해체철학
6. 데리다의 해체철학을 해체하다
7. 인류학적으로 본 페미니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