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고대사
· ISBN : 9788971395752
· 쪽수 : 932쪽
· 출판일 : 2012-03-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과 감사의 글
서론
수정 고대모델을 선호하는 내재적인 근거
이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
각 장의 개요
제1장 왕궁기 이전의 크레타, 기원전 7000~2100년
전파론 대 고립론
기원전 21세기 이전의 크레타
신석기 크레타, 기원전 7000~3300년
전기 청동기시대, 기원전 3300년경~2000년
전기 청동기시대 크레타의 종교
결론
제2장 기원전 3천년기 보이오티아 및 펠로폰네소스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 I
-숭배적· 신화적·전설적 증거-
세멜레와 알크메네
보이오티아의 아테네 시市와 아테나 여신
오기고스, 오그, 고그
알랄코메네
치수자 네이트
네이트 대對 세트의 싸움과 아테나 대 포세이돈의 싸움
포세이돈/세트
델포스와 아누비스
멜라이나/네프티스
아레이온과 페가수스
리비아와의 관련성과 말(馬)
노바타이
세트와 포세이돈, 네브티와 넵튠
포세이돈, 틸푸사, 리비아
아르카디아의 텔푸사
네이트/아테나 그리고 네프티스/에리니스
아누키스/옹카
네이트/아테나 그리고 아누키스/옹카
아테나 옹카와 아테나 알랄코메나
아테나 알랄코메나 그리고 알크메네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의 수메르 원형과 셈 원형
헤라클레스의 이집트 기원
헤라클레스, 헤리셰프 그리고 레셰프
헤라클레스, 콘수, 슈
헤라클레스와 중왕국의 파라오
치수자로서의 헤라클레스
보이오티아에 있었던 중왕국 파라오로서의 헤라클레스
결론
제3장 기원전 3천년기 보이오티아와 펠로폰네소스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 II
-고고학적 증거-
스파르타 고고학: 알크메네의 분묘
암피온과 제토스의 무덤
코파이스의 배수
곡물창고
아르골리스에서의 관개와 정착
아르카디아의 배수와 관개
보이오티아 지명과 아르카디아 지명 사이의 유사점
전기헬라스 시기 그리스의 사회?정치적 구조
에게해권에 남긴 고왕국 이집트의 또다른 고고학적 흔적
전기 청동기시대 ‘높은’ 문화의 끝
결론
제4장 크레타의 옛 왕궁기와 이집트 중왕국, 기원전 2100~1730년
전기미노아 III: 전前왕궁기
납과 나선무늬
크레타의 왕궁들
크레타의 문자체계
전기 왕궁기 크레타의 숭배 상징물
황소 숭배의 아나톨리아 기원론의 가능성
천둥과 성性: 민, 판, 붸제
민과 미노스
이집트의 영향에 반대하는 경우
몬트와 라다만티스
황소 숭배의 존속: 크레타의 보수성
결론
제5장 세소스트리스 I
-그의 정복을 뒷받침하는 그리스의 고고학 및 문헌 증거-
미트 라히네 비문의 발견
중왕국 시기 아시아까지 뻗힌 이집트 제국을 말하는 증거로서 비문의 중요성
센워스레와 세소스트리스
마네토의 세소스트리스
헤로도토스의 세소스트리스
디오도로스의 세소스트리스
세소스트리스 이야기의 사실과 허구
중왕국 이집트의 군사력
배경
기원전 4천년기?3천년기의 이집트 연표
이집트 고왕국의 연표
에블라의 연표
고왕국 이전의 이집트 연표
중왕국의 연대 책정
메소포타미아의 연표
원정을 말해주는 고고학적 증거
초기 아나톨리아: 역사 개요
아나톨리아의 파괴: 퀼테페 II 시기와 카룸 카네시
세소스트리스는 파괴자였는가
토드의 보물
트라키아 및 스키티아의 세소스트리스?
콜키스의 세소스트리스?
미트 라히네 비문이 말하는 세소스트리스 ‘정복’의 증거
결론
제6장 세소스트리스 II
-숭배적·신화적·전설적 증거-
이집트의 전승
세소스트리스 그리고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레반트와 아나톨리아의 전승
트라키아와 스키티아
콜키스: 이집트의 식민지인가
이아손과 황금양털: 콜키스의 흑인 인구에 대한 증거
영적인 지리학
K와 콜키스: 이집트어의 파생어인가
콜키스와 엘람의 흑인들
이집트가 콜키스를 식민화했다는 것에 대한 논쟁의 요약
메소포타미아와 이란
멤논에 관한 그리스 전승과 아나톨리아 정복
멤논의 부모
멤논과 오시리스
저울에 놓인 영웅
이집트의 영혼과 그리스의 영혼
멤논의 북서 아나톨리아와의 연계
멤논의 이집트적 정체성
기원전 1900년경 이집트의 트로이 정복을 지지하는 논거
세소스트리스와 아메넴하트의 정복: 증거의 요약
제7장 테라 폭발: 에게해에서 중국까지
연대 설정에 대한 논쟁
방사성 탄소의 도전
수령연대학의 증거
테라 폭발과 중국
폭발 연도 재측정
연대 재설정의 의미
테라와 칼리스테
?출애굽기?의 화산 비유
멤블리아로스와 어둠의 장막
아틀란티스 신화
아틀란티스와 ‘대서양’
아틀란티스, 아틀라스, 아틀라스 산(맥)
아틀라스와 오션
플라톤의 아틀란티스와 테라의 폭발
아이슬란드의 헤클라 폭발
중국: 역사 서술상의 충격
기축시대의 오류
하 왕조와 상 왕조의 연대기
테라 폭발의 종교적 충격
정치적 충격: 천명
테라 폭발의 세계적 충격
결론
제8장 힉소스
제13왕조의 연대기: 이집트의 혼돈기
제15왕조의 연대기: 힉소스 통치의 시작
텔 엘 다바에 있는 힉소스의 수도
400주년 기념 석비와 세트 신전
연표 요약
힉소스는 어떤 사람들인가
힉소스의 기원과 도래에 관한 다른 견해들
다민족 연합으로서의 힉소스
말과 전차: 후루인과 아리아인
후루인과 힉소스
후루인의 존재를 보여주는 고고학적?언어학적 증거
힉소스와 물질문화
이집트에서의 힉소스와 성서적 포로생활 또는 체류
결론
제9장 기원전 18·17세기 크레타, 테라, 미케네 문화의 탄생
-힉소스의 침입이 원인인가-
크레타의 새 왕궁들
중기미노아 III, 크레타의 무기들
검과 단도에 관한 아프리카아시아어의 어휘
각궁, 말, 전차
천마, 스핑크스, 그리핀
기원전 1730년경 힉소스의 크레타 침입이 있었는가
테라 섬의 힉소스 흔적?
테라에서 나온 고고학 증거
테라 섬의 프레스코
미케네 문명의 기원
수갱묘, 톨로스(돔식 무덤), 투물루스(능)
매장과 부장품
전기 미케네 그리스의 물질문화의 기원
침입에 관한 아리아주의자의 모델
그리스 용병
인도유럽인
아리안모델과 고대모델 사이: 프랭크 스터빙스
결론: 고대모델의 수정
제10장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레반트가 에게해와 접촉하다
-문헌 증거-
에게해를 언급하는 이집트어 지명
멘웨스와 미노스
케프티우, 카프투, 크레타
와즈 웨르 그리고 하우 네부: 에게해와 미케네인
다나안의 어원
후기 청동기시대 이집트와 에게해권의 관계를 보여주는 문헌 증거
이집트 비문과 묘실 벽화에 나타나는 정확성과 혼종
왜 크레타의 군주는 이집트로 공물을 가져갔을까
미케네가 크레타를 지배한 연대
크레타와 미케네가 이집트로 사절을 파견하다
아멘호테프 3세 조각상의 기단
제18왕조 후기부터 제19왕조까지 이집트의 에게해권 접촉
이집트 문헌과 그림의 증거 요약
메소포타미아와 우가릿 문헌
에게해권 문서
선형문자 B
결론
제11장 이집트와 레반트가 에게해권과 접촉하다, 기원전 1550~1250년
―고고학적 증거―
후기 미케네 그리스
기원전 1550~1470년, 에게해권의 상대적인 고립
이집트의 팽창, 기원전 1520년경부터 1420년경까지
펠롭스와 아카이아인: 아나톨리아로부터의 증거
펠롭스, ‘왕세자’?
아카이아인과 다나오이인
아카이아인에 관한 고고학적 흔적
미케네인과 히타이트인
우가릿과 키프로스
미케네의 팽창과 투트모세 3세의 정복
후기 청동기시대 지중해의 상인들?
배스의 도전
뮬리의 응답
야나이의 부정적인 종합
카쉬 난파선: 선원들
이집트의 테베와 미케네, 기원전 1420~1370년
터 매장물: 미케네의 이집트 신전 숭배?
무역 순항 항로
무역의 어휘
에게해권에 대한 이집트의 영향력 쇠퇴, 기원전 1370~1220년
Φ형 및 Ψ형 도기 조각상과 청동퇴로 내려치는 신들
가나안 항아리
상아
결론
제12장 영웅시대의 영웅적 종말
―기원전 1250~1150년 테베, 트로이, 미케네의 종말―
원통형 인장
보이오티아의 테베와 페니키아인의 도래
고대의 연표들
카드모스와 알파벳
카드모스와 다나오스: 힉소스의 지배자들
선형문자 B 쓰기의 문제점
카드메이온의 보물
카시트와의 연계
테베의 파괴
트로이 역사의 개요
트로이 전쟁의 연대
테베와 트로이
미케네 문명의 붕괴
결론
총결론
부록
고대 문자의 알파벳 표기와 소리값
이집트 상형문자의 한글 음역
연표
지도와 도표
역자 도표
역자 해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