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71396056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01-05-07
책 소개
목차
1부. 개설서를 통해 본 한국사학사의 전통
1. 한국사 개설서를 통해 한국사학사를 돌아보면서
2. 여명기의 개설서와 안확의 "조선문명사"
3. 미시나 쇼에이의 "조선사 개설"
4. 해방공간의 역사학-한국사학사의 새로운 시작
5. 국사 교육 확대에 따라 출판된 교과서류의 개설서들이 남긴 것
6. 이기백. "한국사신론" - 민족주의와 내재적 발전론의 조화
7. 1980년대 이후 유물사관에 입각한 개설서들의 재등장
8. 요약과 전망
2부. 북한 역사학의 성격
1. 개항 이전 역사의 구분
2. 개항 이후 1945년까지의 역사 서술 체계
3. 해방 이후 현대사의 서술 체계
4. 북한 역사학의 체제
* 전통시대를 바라보는 북한의 역사 인식
1. "한국사 신론"과 비교해서 본 "조선통사(상)"의 서술체제 특징
2. 북한의 전통 시대 역사 서술에 나타난 특징
3. 대외 항쟁사와 농민 전쟁의 강조
4. 전통문화론
5. 사회 발전론과 봉건사회론
6. 북한의 역사 서술을 이해할 때 유의할 몇 가지 것들
* 역사 서술에 투영된 북한의 현실
1. 개화사의 구성과 서술
2. 항일 혁명 투쟁과 "주체사상"의 탄생
3.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창건과 김일성의 역할
4. 한국전쟁에 관한 서술과 북한의 현실
5. 북한의 역사학과 현실의 관계
3부. 남과북-하나의 역사, 두개의 역사학
남북한 역사학의 학문적 통합은 가능한가
1. 남북한 역사학의 유사성
2. 남북한 역사학의 차별성
3. 남북한 역사학의 학문적 통합은 가능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