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71842430
· 쪽수 : 332쪽
· 출판일 : 1999-06-22
책 소개
목차
1. 서론 : 마르크스 정치이론의 재구성을 위하여
2. 마르크스주의의 현대적 쟁점 : 경제결정론과 역사유물론
3. 마르크스 정치이론의 형성과정 : 정치경제학 비판과 권리 정치이론의 마주침
`청년 마르크스`라는 신화/ <라인신문> 활동/ 근대국가 및 부르주아적 권리체계 비판/ 근대 정치경제학과의 마주침/ `노동`과 `실천`에 대한 새로운 문제 설정/ `마르크스의 초기 권리 정치이론과 정치경제학 연구의 의의
4. 자본주의적 생산과정의 시간기획
마르크스 정치이론의 과학성 / 시간의 두 가지 차원/ 근대 부르주아 사회와 전근대 사회의 생산원리 차이/ 자본의 근대 프로젝트/ `노동`과 `실천`에 대한 새로운 문제 설정
5. 부르주아적 시간기획의 현상학 : 근대사회의 노동양식
가내 수공업/ 메뉴팩처 : 공장제 수공업/ 기계제 생산 : 근대적 공장제도/ 사회적 생산력 발전과 권리정치의 동학 : 현대의 자동화된 생산체제/ 현대 노동이론 비판
6.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과 `권리 정치이론`
권리 정치이론의 제 성분/ <자본>에 대한 정치적 독해 : 노동자와 자본의 권리투쟁/ 권리정치의 구조 변동 : 생존권, 생활권의 역동적 구성/ 이행의 정치학/ 마르크스 권리 정치이론의 새로운 지평
7. 결론 : `생산의 정치`에서 `권리의 정치`로
저자소개
책속에서
상술한 관점을 근거로 이 글의 핵심주장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자본의 노동시간에 대한 지배를 통해 관철되는 착취권 기획과 이에 맞선 노동자 계급의 사회적 권리기회간의 투쟁에 대한 과학적 규명이 마르크스 정치이론의 요체라는 것이다.
이때 노동자 계급의 사회적 권리가 작동하는 논거는, 정확히 근대 부르주아 사회의 시민권과는 전혀 다른 맥락의, 상이한 기원과 근거를 갖는 것으로, 그것은 부르주아 사회의 사적 소유의 권리들과는 양립할 수 없는 생존, 생활의 권리들로 구성된다.
이런 한에서 우리는 근대 부르주아 사회에서 발생한 진보적 형태의 사회 변동이, 주요하게는 노동자 계급 스스로 권리투쟁을 통해 자신의 사회적, 정치적 영토를 끊임없이, 그리고 역동적으로 확정하고 변경하려는 권리정치적 실천에서 비롯되었음을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