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방 루트 리포트

북방 루트 리포트

(환동해環東海 네트워크와 대륙철도)

강태호, 강재홍, 박성준, 이창주, 송인걸, 손원제, 최현준, 이성우 (지은이)
돌베개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북방 루트 리포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방 루트 리포트 (환동해環東海 네트워크와 대륙철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정학
· ISBN : 978897199645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4-12-29

책 소개

지금 ‘북방’은 어떤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며, 거기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김대중 정부 이래 박근혜 정부까지 역대 정권들은 왜 북방으로 길을 연결하여 대륙으로 나아가고자 한 것일까. 이 책은 북방으로 가는 길이 어째서 우리에게는 희망일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북방에서 길을 찾다 5


1부 환동해와 북방 협력의 현장을 가다

1장 동해, 변방의 바다에서 동북아 협력의 미래로 25
변방의 닫힌 바다, 동해|탈냉전 흐름으로 지역협력의 싹이 트다|북한 · 중국 · 러시아 3각 협력과 동해|북극해 항로로 가는 관문, 동해|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북방 협력|동해의 미래 비전과 현실의 괴리
Tip 동해와 환동해권|북극해 항로와 북극해 자원

2장 러시아, 동북아 자원과 에너지의 공급기지로 39
먼 거리를 달려온 송유관, 중국 · 태평양으로 향하다|푸틴의 신동방정책이 중국 · 러시아에 미친 영향|북극해 정기항로 상용화의 득실은|악명 높은 러시아 극동의 5대 항만
Tip 환동해의 보석 ‘나진 · 하산 프로젝트’와 남 · 북 · 러 협력
하산, 북한ㆍ중국과 마주 보는 극동 러시아의 남서쪽 끝|자루비노, 중국 · 러시아 교역의 관문으로 도약을 꿈꾸다|코즈미노?러시아 송유관, 1만 리를 달려 태평양과 만나다
전문가 분석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

3장 동해, 중국 동북진흥계획의 출구로 64
동해로 가는 길을 뚫어라|동북 변방 지역의 창구도시, 훈춘|신두만강대교 건설과 전력 공급|동북 변경 지역으로 몰려드는 북한 노동자들|꽉 막힌 남북 관계가 환동해 발전의 걸림돌|조선족 문화의 중심 옌지의 수출 지향 경제구조|투먼, ‘조선공업원구’로 북한과 협력을 강화하다|북한 · 중국 · 러시아 황금 트라이앵글의 중심, 훈춘
전문가 분석 중국 동해 진출의 과거, 현재, 미래

4장 일본 서쪽 항만들과 동북아 수송회랑 네트워크 88
일본 서쪽 항만의 물류허브, 인천과 부산|‘동북아시아의 관문’, 사카이미나토|서쪽 항만들의 거점항구 지정과 국제화|동해 쪽 일본 지방 항만 간의 경쟁과 대륙 운송로
인터뷰 세계의 시장 중국을 겨냥한 ‘일본해’ 횡단항로 추진
전문가 분석 니가타항, 만경봉호가 오고 간 북송사업의 현장

5장 몽골, 중 · 러에 갇힌 내륙국가에서 대륙연결망 국가로 107
몽골 인구의 절반이 모여 사는 수도, 울란바토르|몽골은 축복받지 못한 땅?|몽골의 목줄과 몸통을 쥐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신선新線철도 계획과 ‘트랜짓(내륙 연결) 몽골리아’
인터뷰 몽골 석탄을 러시아와 북한을 거쳐 남한에 수출할 수 있기를
Tip ‘빨간불’이 켜진 몽골 경제
전문가 분석 몽골 최전방 물류와 자원생산의 순망치한

6장 좌담: 동해, 동북아 협력의 블루오션인가 127
21세기의 중심 바다, 동해


2부 대륙의 길과 신대륙주의

1장 대륙의 길과 에너지 협력의 지정학, 신대륙주의로 가는가 137
실크로드는 교류 · 협력의 공간|유라시아와 신대륙주의|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

2장 몽골 · 러시아 · 중국, 3각 에너지 협력으로 145
시진핑과 푸틴, 앞다투어 몽골을 방문하다|중국 · 러시아 협력열차에 탑승해야|내륙국가에서 교통망 국가로 나아가다|사상 최대 석탄 액화 · 가스화 사업|몽골ㆍ중국ㆍ러시아 3국,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하다|시진핑의 주변국 외교방침과 ‘1로드 1벨트’(一路一帶) 구상

3장 몽골과 중국, 협력과 견제의 두 얼굴 161
석탄을 둘러싼 애증관계|중국은 블랙홀이자 최대 시장이다|쌍방향 운송을 하려면|몽골종단철도를 견제하는 중국
Tip 몽골종단철도의 가능성과 한계
인터뷰 몽골종단철도는 한국 · 몽골이 ‘윈윈하는’ 물류노선|중국횡단철도 활성화는 중국의 신실크로드 전략

4장 중국 · 몽골 · 북한 · 러시아 대통로와 동몽골의 꿈 172
왜 지금 동몽골인가|제2의 창지투, 중국ㆍ몽골ㆍ북한ㆍ러시아 대통로|한반도보다 넓은 동몽골의 인구는 20만 명뿐|동몽골 프로젝트는 왜 지지부진한가|동몽골 프로젝트 부활할 때|종착점에 다다른 광궤와 표준궤 논쟁

5장 몽골 · 중국 · 러시아의 경계, 국경도시를 가다 185
몽골ㆍ러시아의 경계, 국경도시 수흐바타르와 에렌차브|수흐바타르역으로 가는 길|수흐바타르 북쪽의 국경지대, 알탄불라크와 캬흐타|초이발산에서 에렌차브로 가는 길|‘통과 비자’로는 통과할 수 없다|중국ㆍ몽골의 경계, 국경도시 얼렌하오터|공룡들의 무덤 고비사막으로 가는 길|몽골의 생명줄, 자민우드|낙후된 국경역, 줄지어 선 트럭들, 친절한 주민들


3부 동북3성과 국제대통로

1장 중국 동북3성, 부활을 꿈꾸다 205
만주를 호령하던 고구려, 바다와 대륙을 연결한 발해|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와 내륙부 개발|랴오닝성에서 시작된 동북3성의 부흥 전략
Tip 동북3성 개괄
황금통로가 될 ‘창지투’ 노선

2장 만주철도에서 대륙철도를 향해 230
만주철도의 역사, 중립화계획과 태평양전쟁|대륙철도로 성장하는 만주철도|동북철도는 4종 4횡의 ‘4륜구동형’|한반도와 대륙을 연결하는 대륙철도, 동북철도

3장 동북3성과 몽골 · 러시아 · 북한을 연결하는 국제 운송로 구축 245
항만ㆍ도로ㆍ철도를 연계하는 서부통로 개발|압록강변은 바야흐로 백화제방百花齊放의 시대|동부통로와 러시아 접경의 철도 네트워크|고속철도로 날개를 단 ‘신실크로드 경제벨트’|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동북아시아 철도 대통로


4부 북한 · 중국 관계, 질적 변화의 단계에 들어서다

1장 세 번의 북 · 중 정상회담과 한 번의 북 · 러 정상회담 261
김일성 주석의 마지막 중국 방문|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마지막 중국 방문|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중ㆍ몽ㆍ북ㆍ러 대통로|창춘 정상회담과 북ㆍ중 협력 강화|6자회담 재개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죽음|김정일의 ‘개혁ㆍ개방’과 원자바오 총리의 방북|중국 4세대 지도부의 동북진흥계획|중국 경제발전의 견인차, 서부대개발과 동북진흥계획

2장 북한 · 중국 · 러시아 · 몽골, 협력과 경쟁의 관계로 297
동해로 가는 출구, 자루비노와 나진 · 선봉|철도로, 바다로, 도로로|동북 지역 네 갈래 대외개방 대통로를 구축하라|북한과 몽골의 협력관계|극동 지역 개발과 동북아 경제권과의 연계|미ㆍ일ㆍ중ㆍ러 그리고 남북의 합종연횡|북ㆍ중 틈새를 파고든 북ㆍ러 협력|러시아 극동전략의 핵심, 동북아시아 에너지 공급망 구축|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나진ㆍ하산 교통 물류 협력|나선특구지대 한눈에 봐도 크게 달라져

3장 훈춘, 북방의 선전深?이 될 것인가 324
점→선→면에서 면→선→점으로|국제화 창구도시, 북방 경제협력의 플랫폼으로 변모하다|저렴한 북한 노동력, 중국으로, 중국으로
Tip 한국에서 유일하게 훈춘에 진출한 포스코현대 국제물류단지


5부 국경의 빗장을 열다

1장 북ㆍ중 경제협력의 두 축, 공동개발ㆍ공동관리 341
중국으로 수입되는 무산 철광석|무산광산의 철광석과 나진항 석탄 수송|지린성의 동해 출구전략과 북한의 광산 개발전략|북ㆍ중 간 마찰의 상징, 혜산청년구리광산|북ㆍ중, 공동개발ㆍ공동관리 합의|정부 주도에서 기업 투자 중심으로 협력 확대 심화|장성택 방중과 북ㆍ중 경제협력|농업 · 유통업 · 수산업 분야로 확대되는 경제협력|황금평특구 2~3년 내 개발 끝나|전력망 연계와 인민폐 결제통화 도입|장성택 처형과 북ㆍ중 경제협력의 불확실성|김일성 사망과 비견되는 사건
Tip 북 · 중 간 국경의 빗장을 열어젖히다|중국 내 북한 노동자 10만 명 시대

2장 북ㆍ중ㆍ러 3국 접경지대의 자유관광 384
북ㆍ중ㆍ러 3국 관광객의 증가|북 · 중 관광의 출발점|3국 관광 확대와 국제 자유관광구 개발|자전거 타고 북한 여행|북한, 관광에서 경제난의 돌파구를 찾다
Tip 백두산의 창바이산화, 중국 관광객 200만 명 돌파
백두산의 ‘천지개벽’|백두산 관광객 200만 명 시대|북ㆍ중, 백두산 동파코스 국경관광 2년 만에 재개|2003년 동북진흥계획과 창바이산(백두산)종합개발계획|백두산은 창바이산이 될 것인가|에베레스트와 초모랑마, 창바이산과 백두산|경의선과 북방한계선

저자소개

강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겨레』 스페셜콘텐츠팀 선임기자. 남북 관계, 북핵 문제, 한반도 정세를 다룬다. 『천안함을 묻는다』(편저, 2010) 등을 쓰고, 『코리안 엔드게임』(공역, 2003) 등을 옮겼다
펼치기
강재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순천에서 태어났다. 나이 서른이 다 되어 청운의 꿈을 안고 도미(渡美), 고학으로 유학생활을 시작하였다. 이 후 십여 년간 뉴욕시 공무원과 대학교수로 안정된 기반을 쌓다가, 1994년 후광 김대중 선생(전 대통령)의 요청으로 급거 귀국하면서 인생의 또 다른 반전을 맞는다. ‘조국의 평화통일과 민주화’라는 이름으로 비교적 안정된 미국에서의 삶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국민의 정부’ 대선공약 및 관련 정책 마련, 항공안전본부 태동에 기여했으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활동 당시엔 건설교통부를 담당하였다. 노무현 대통령 시절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 원장, 대통령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으로 국정에 참여하였다. 통일문제연구협의회 공동의장으로 활동하였고, 항공정책포럼을 설립・운영하였다. 대북협력과 대륙철도사업에 대한관심을 바탕으로, 한국교통연구원 내에 북한교통정보센터 (현 유라시아.북한인프라센터)를 설립한 바 있다. 어린 딸을 위해 시집을 낼 만큼 낭만적이지만, 영어.일어.중국어.몽골어.러시아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노력파이기도 하다. 안타까운 조국의 현실과 역사 속에서도, 한민족의 미래와 통일된 한반도의 꿈을 가슴에 안고, 오늘도 홀로 북방의 길을 열고자 애쓰고 있다. tumenkang@gmail.com [주요 경력] 전남 순천고, 단국대학교 졸업 미국 롱아일랜드대학원(도시학 석사) 뉴저지주립공대(교통학 석·박사) 뉴욕시 교통안전과장(Deputy Chief) 롱아일랜드 대학원 도시학과 교수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원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초빙선임연구위원 부산발전연구원 석좌연구위원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ITS Korea 상근부회장 대통령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교통연구원장(차관급) 몽골 국제대학교 트루먼 행정대학원장/겸임교수 광역 두만강개발계획(GTI) 경영자문위원 (현) 몽골 교통부 자문관(정보통신산업진흥원 퇴직전문가) [지은 책] <오메 이쁜 우리 딸>(시집), <대륙철도의 꿈>(공저), <뉴욕의 꿈, 고양의 미래>, <도로교통법 해설>, <교통안전론>,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연구>(역서, Chiba Yasuhiro), <북방루트 리포트>(공저)
펼치기
박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졸(1990). 미국 몬테레이국제대학원(Middlebu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at Monterey)에서 석사(국제정책학), 고려대 대학원에서 박사(북한학) 학위 취득. 시사 주간지 「시사저널」에서 약 15년간 기자로 일함(1990~2006). 2008년부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며 남북, 한러, 한중 등 주로 남북 해양수산 및 북방 지역 국제물류 협력 분야 연구를 수행함. 재직 기간 중 러시아극동 블라디보스토크 파견(2018~2019. 한러국제공동연구센터장), 중국 상하이 파견(2022~2024. 중국연구센터장) 등 북방 국가 해외 근무 경험이 있음. 연구 성과로 『국가물류기본계획(2021~2030) 수립연구(해운․항만․물류)』, 『극동러 진출 우리 화주물류 기업의 물류 애로사항 분석 및 개선 방안』, 『해양수산 분야 9브릿지 구축방안 연구』, 『남북 해양수산 70년(1945~2015)』 등의 연구보고서․자료집, 『New Maritime Business: Uncertainty, Sustainability, Technology and Big data』(북챕터 집필), 『해상물류』(원제: Maritime Logistics)(송동욱 외. 공동번역), 『북방루트 리포트』(강태호 외. 공저), 『북핵 롤러코스터』(원제: Meltdown) 등의 역․저서, 기타 국․영문 논문이 있음.
펼치기
이창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상하이 푸단대 외교학 박사. KMI 현지연구원,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현재 아주대학교에서 ‘중국정치’, ‘중국의 대외관계’ 등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일대일로의 모든 것』, 『동북아 신 네트워크』, 『시진핑 집권 2기의 이슈와 전망(공저)』,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선택 연구(공저)』, 『갑오: 120년 전 뉴스 일러스트로 본 청일전쟁(역서)』 등이 있다.
펼치기
송인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겨레 사회부 기자
펼치기
손원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겨레 정치부 기자
펼치기
최현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 한겨레신문사에 입사했다. 사회부, 경제부, 탐사보도팀, 법조팀 등에서 일했다. 진경준 전 검사장 뇌물 사건, 강원랜드 채용 비리 등을 보도했다. 2015년 탐사보도팀에서 1년간 일하면서 <아동 학대>를 비롯해, <MB 31조 자원외교 대해부>, <스노든 폭로 2년─인터넷 감시사회> 등 좋은 기획에 참여했다.
펼치기
이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종합정책연구본부장이다. 항만·물류연구본부장과 국제물류연구실장을 지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이자 통일부, 국토부, 산업부, 외교부 물류분야 정책 자문위원이기도 하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도시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린치핀코리아》(2020), 《해상물류》(역)(2018), 《Maritime Business and Economics : Asian Perspectives》(2018), 《항만과 도시》(2013), 《Ports in Proximity: Competition and Cooperation》(2009) 등이 있다. 초기에는 항만 배후단지, 해외 항만물류 개발사업에 관심을 가졌으나, 최근에는 우리 가까이 있는 상품 물류 그리고 북한과 극동러시아 등 우리나라와 인접한 공간과 물류 연결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1997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