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297072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01-3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후퇴의 시기’를 살아가는 법
1장 안티페미니스트 백래시란 무엇인가
1 개념과 양상
2 여성혐오와의 차이
3 감정의 기제
4 교차성의 작동
↘ 깊이 읽기: 백래시
2장 백래시, 그 낯설고 익숙한 세계사
1 근대 페미니즘의 출현부터 제1물결 페미니즘까지
2 제2물결 페미니즘부터 수전 팔루디의 《백래시》까지
3 정치적 보수주의와의 연합
4 트럼피즘과 남성 피해자론
5 유럽을 뒤흔든 반젠더 캠페인
6 국가별 백래시 현황
↘ 깊이 읽기: 《백래시》의 빛과 그림자
3장 정치가 된 혐오, 한국의 백래시
1 2000년대 이후의 여성혐오
2 정치세력으로의 확장
3 지역사회에서의 전개
4 ‘젠더 갈등’이라는 말
↘ 깊이 읽기 : 청년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젠더의식
4장 민주주의의 위기와 백래시 대응
1 탈민주화와 여성운동 213
2 민주주의의 퇴보 219
3 백슬라이딩 사회의 여성운동 222
4 여성운동의 새로운 모델 228
5 페미니스트 프로젝트의 위기와 도전
6 안티페미니스트 백래시 대응 전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부딪히는 여성에 대한 무시나 폄훼, 공격의 대부분은 여성혐오에 기반을 둔다고 할 수 있는데, 백래시의 경우 동일한 젠더 세력관계를 토대로 하면서도 훨씬 더 정치적이고 조직화된 양상을 띠며, 거시적인 제도·정책·집단을 목표물로 삼는다.
다시 생각해봐야 할 점은, 페미니즘과 여성운동에 대한 공격을 사회적으로 허용하거나 인정하는 정치적 맥락의 중요성이다. 이런 공격을 용인하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안티페미니스트 백래시는 힘을 갖는다. 따라서 그러한 정치적 조건이 존재하지 않을 때, 즉 어떤 정치세력도 이런 공격을 도덕적으로 정당화하거나 정치적 주장으로 승인하지 않을 때, 안티페미니스트 세력도 존재감을 드러내기 어려울 것이다.
‘백래시’에는 진보적 사회 변화에 대한 반격이라는 뜻이 담겨 있지만, 이런 갈등과 폭력은 민주주의 제도와 문화가 후퇴할 때 더욱 강력해진다. 반대로 백래시가 민주주의의 약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21세기 들어서도 많은 국가에서 특정 지배세력이나 소수 엘리트 집단이 국가권력을 독점하는 현상은 계속 발생해왔고, 사회경제적 불평등도 확대되어왔다. 이러한 정치적·경제적 민주주의의 약화는 사회집단들 사이의 혐오와 차별, 폭력이 자라날 토양을 제공하며, 백래시가 지속되도록 양분을 공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