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88972977124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14-04-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한국사회 불평등과 분노의 숫자
1. 세 살 불평등 언제까지?
붉은 여왕의 나라에서 살아남기
최저 출산율의 사회
아동가족복지, OECD 최하위
아이 낳아 대학까지 보내는 데 드는 돈, 3억 1,000만 원
교육 수준은 최고, 행복은 최하위
청소년 사망자 10명 중 3명은 자살
2. 청춘 잔혹사
엄마, 성공하지 못해 미안해요
등록금을 쌓아 두는 대학, 적립금만 11조 7,000억 원
청년, 주거 빈민이 되다
20대 청년 고용률 55.8%, 문제는 눈높이가 아니다
3. 워킹푸어 권하는 사회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이유
대기업 노동자 임금의 반도 못 받는 중소기업 노동자
최저임금도 못 받는 노동자, 208만 8,000명
임시직 노동자 비율 OECD 최고, 23.76%
노조 조직률 10.3%, OECD 최하위
325시간 더 일하는 대한민국 노동자
4. 여자라서 행복하세요?
한국에서 여성 노동자로 살아가기
성별 임금격차 37.4%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자
여성 경제활동, 결혼과 함께 사라지다
맞벌이 부부, 집안일은 여자가?
5. 가계 부채라는 시한폭탄
어느 부자(父子)의 저녁
저소득층 가계 부채, 연소득의 2배
가계 부채 부담, OECD 국가들의 2배
제2금융권에서 돈 빌리는 가계, 50%
서민 상대 돈 장사, 대부업체 이자만 2조 8,000억 원
6. 커지는 파이, 나눠지지 않는 파이
우리 동네 골목 풍경
부자 기업, 가난한 가계
삼성전자 임원 연봉, 노동자 연봉의 137배
몰락하는 자영업
주식 부자 상위 1%가 시가총액의 81.8% 소유
7. 대기업 공화국
갑과 을의 탄생
10대 대기업 현금 창고엔 123조 7,000억 원
세금은 국민이, 혜택은 대기업이
삼성 스마트폰 10대 중 1대만 국내 생산
4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한 기업형 슈퍼마켓
8. 이상한 나라의 집값
나락으로 떨어지는 무주택자의 삶
저축만으로 집 사는 데 걸리는 시간, 27년
아파트 전세 가격 상승률, 소득 증가율의 2.5배
저소득층 주거비 부담, 고소득층의 6배
9. 당신은 건강하십니까?
가난한 당신, 아파서도 안 된다
저소등측 의료비 부담, 고소득층의 10배 이상
건강보험 흑자의 비밀
수술공화국 대한민국
10. 벼랑 끝 사회, 빈곤은 죄다
각자도생하는 경쟁사회
빈곤을 경험해 본 가구, 35.1%
극심한 사회안전망 사각지대
고소득층 낮은 세금, 저소득층 낮은 복지
보험시장 세계 2위, 그러나 지급률은 반토막
10명 중 3명만 신뢰하는 불신사회
11.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노후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노인 자살률 세계 1위
가장 오래 일하면서도 가장 가난한 노후
여성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 74.9%
노인들에게 치명적인 기초연금의 후퇴
에필로그 - 2020년 대한민국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출생에서 대학 졸업까지, 자녀 1명을 양육하는 데 평균 3억 1,000만 원이나 드는 사회다. 여기에 부모의 소득이 높을수록 학업 경쟁에서 유리해지고 있다. 더 이상 개천에서 용 나기 어려운 안타까운 상황이 쳇바퀴 돌듯 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경쟁 구도를 완화하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도록 큰 틀에서 사회를 변화시키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경쟁사회에서는 부모도 아이도 행복할 수 없다.” (아이 낳아 대학까지 보내는 데 드는 돈)
“대학가 주변 임대료는 일반적 주택 임대료에 비해서도 지나치게 높다. 민달팽이유니온과 대학생주거권네트워크에서 2012년 서울시 대학가 밀집 지역 11개 구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자취, 하숙, 고시원의 평당 임차료는 15만 2,685원이었다. 한편 2012년 10월 네이버 부동산 시세에 따른 타워팰리스 평당 임차료는 11만 8,566원이었다. 대학가 고시원의 평당 임차료가 타워팰리스의 평당 임차료보다 1.28배 더 비싸다. 고가의 주상복합아파트보다 최저 주거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고시원의 평당 임차료가 더욱 비싼 것이다.” (청년, 주거 빈민이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