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0912006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20-08-2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3
추천사 (이재명 경기도지사)
추천사 (모종린 연세대학교 교수)
프롤로그 - 새로운 삶의 패러다임, 로컬
협력과 연대의 공동체로 섬과 세상을 잇다 - 강화 청풍 협동조합
지금, 우리가 함께 할 시점 - 강화 책방 시점
우리가 살고 싶은 마을을 빚다 - 시흥 월곶 빌드
생산자와 소비자가 어우러진 라이프스타일 생태계 - 광주 무등산 브루어리
공간에 깃든 역사와 자연의 가치를 지키다 - 속초 칠성 조선소
순창에서만 만날 수 있는 세상 하나뿐인 그 무엇 - 순창 방랑싸롱
세상의 중심에서 로컬을 외치다 - 남원 사회적 협동조합 지리산 이음
청년, 고향의 품에 안기다 - 목포 괜찮아 마을
섬과 같던 청년 사업가들이 모여 군도를 이루다 - 군산 로컬라이즈 군산
잊히고 사라지는 것들을 기억하고 기록하다 - 수원 더 페이퍼 & 잡지 사이다와 행궁동 골목박물관
북성로 시간과 공간의 재생 그리고 사람 - 대구 북성로 사회혁신 클러스터
촌에서 배우는 로컬의 미래 - 청주 촌스런
낭만 가족의 제주살이 - 서귀포 솔앤유 독립출판사 & 어썸 제주
보론 - 로컬을 살리는 해법을 어떻게 만들어낼까
에필로그 - 우리는 로컬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방’이란 말에는 ‘변두리’란 뜻이 담겨 있다. 사전에도 ‘서울 이외의 지역’이란 설명이 붙는다. 말에서부터 뿌리 깊은 편견이 담겨 있는 셈이다. 그래서 ‘로컬(local)’이란 말을 쓰기로 했다. 멋을 부리려는게 아니다. 편견을 덜어내고 서울과 별다를 것 없는, 우리나라를 이루는 똑같은 지역 가운데 하나로 읽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프롤로그_새로운 삶의 패러다임, 로컬> 중에서
그동안 강화 청년들은 큰 도시로 나갈 생각만 했으니 이러한 움직임은 결코 작지 않은 변화다. 강화군의 평균 연령은 55세로 높은 편이다.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고 있지만 퇴직한 장년층과 고령층이 많아 모두를 생산인구로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제는 카페, 식당, 공방 등 강화 청년들이 새롭게 연 가게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2017년부터는 이렇게 하나둘씩 자리를 잡아 온 청년들이 서로에게 손을 내밀기 시작했다. 이곳 강화에서 청년들의 공동체가 처음으로 싹을 틔운 것이다. 서점과 같은 생활문화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민과 함께 하는 문화활동도 하나둘 선을 보이고 있다. 청풍은 청년 가게들을 돌면서 문화 공연을 하는 ‘읍내 안 라이프’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하루는 이 가게, 다음 날은 저 가게를 돌았다. 아직은 서로 큰 부담이 없을 만큼 거리를 두고 있는 느슨한 공동체다. 목적을 앞세우다 관계를 망치고 싶지 않아서다.
<협력과 연대의 공동체로 섬과 세상을 잇다_강화 청풍 협동조합>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