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일시대 변화의 현장에서 본 북한

통일시대 변화의 현장에서 본 북한

설용수 (지은이)
미래문화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통일시대 변화의 현장에서 본 북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일시대 변화의 현장에서 본 북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7299428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9-25

목차

서문·4
평화통일시대를 열기 위하여·17
평양의 가로수 살구나무·17
북한에는 영자와 순자가 없어·21
산천은 변함없는데 사람은 변해 있어·24
보통강호텔의 만찬장·24
공화국을 모독한 일기장·28
주체농법과 농업전선·31
농토는 농민에게 주어야 하는데·31
산하는 벌거벗겨져 있고·33
주체농법의 한계와 개인농업 확대·36
농민시장의 양성화·36
청천강변의 염소 두 마리·37
‘주체의 나라, 우리식 사회주의’·4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1
‘우리식으로 살아갑니다’·44
영생을 꿈꾸는 금수산태양궁전·46
김일성 주석은 영생하는가?·46
등소평이 남긴 교훈·48
절대권력과 상징물·51
절대 권력은 절대 망한다·51
다이너스티 승용차에 얽힌 에피소드·53
국제 친선 전람관·54
‘고난의 시기’에‘세 가지 기적’을 만들고·58
맨손으로 일구어낸 청년영웅도로·58
금강산댐에 얽힌 사연·59
조선전사와 고려연방공화국·62
조선전사와 조선통사·62
시조 단군과 동명왕·64
북의 3대헌장기념탑에 얽힌 사연·67
3대헌장 기념탑과 통일이념·67
기린맥주와 오징어·69
넓은 하늘을 날아 보아야·71
‘혁명전사들’과 컴퓨터·73
금강산을 자가용 타고 간다·73
‘가격 투쟁도 하시라요!’·76
‘장군님 모시고 행복합니다’했는데·78
선군정치와 체제유지·81
군을 전 인민의 향도에 세우고·81
전광판에 비치는 풍요로운 영상·84
주한미군과 강성대국론·88
민족자주성과 주한미군·88
“나에게 어떤 변화도 바라지 말라”·91
김일성 주석의 유훈과 비핵화·95
무서운 무기와 한반도 평화·95
프랑스 인공위성에 포착된 핵시설·98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핵·100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103
재앙 불러 올 핵무기·103
한반도 비핵화 선언·105
핵개발은 대미협상용이다·107
핵문제 해법은 없는가·110
채찍과 당근·110
평화적 핵 이용은 인정되어야·113
동북아 평화가 세계평화로·114
‘락원백화점’과 대성수출품 전시장·116
북한산 비아그라 양계론·116
평양 시가지의 자전거 행렬·119
평양 최대의 통일시장·121
만경대와 태양절이 갖는 의미·125
태양은 오직 하나라는데·125
주석은 사회주의 조선의 시조·129
‘수령님’을 향한 흠모로 가슴 불태우며·130
김일성 회고록《세기와 더불어》·132
에프터스크의 밀영·132
보천보 전투의 재해석·134
역사는 누가 기록하는가?·136
탈북자 행렬과 베를린 장벽·139
북한을 이탈한 새터민들의 행렬·139
베를린 장벽을 다시 쌓자·141
‘평양으로 다시 가고 싶다’·144
봉수대교회와 묘향산의 보현사·148
봉수대교회·148
“왜 교회를 자주 갑니까?”·152
보현사의 고려대장경·154
‘장군님을 영도자로 모시고 있어 행복합니다’·157
어린이 사랑하는 마음·157
사람이 중심되는 주체사실주의·160
월드컵과 아리랑·162
민족공조와 통일논의·165
느슨한 단계의 연방제·165
‘우리 민족은 하나입니다’·167
두만강 개발(UNDP)과 개성공단·171
토문강은 송화강 상류에 있었다·171
두만강 개발 계획(UNDP)·173
남북 경협의 실험장 개성공단·174
북한 식량난, 해결책은 없나·178
텃밭과 협동농장·178
뙈기밭이 주는 교훈·181
농업이 주공主攻전선이다·183
북한식 농가 청부생산·186
농가 청부생산 방식이 시급하다·186
자영적 농업경영은 확대할수록 좋다·189
식량자원은 인도적 문제·190
북한의 협동농장에 남한에서 영농기술 지원키로·192
‘우리식 사회주의’의 교육과 학습·194
청소년들의 학습과 교육·194
모든 것이 무상입니다·197
‘영광스러운 조선로동당’·201
엘리트 의식을 가질 만하다·201
조선노동당 기旗의 뜻·204
‘수령은 인민을 믿고 사랑하며’·205
흔들리는 봉건왕조 병영국가·209
돈과 물건에 유혹되어서는 안 된다·209
군내부에 자본주의적 요소가·213
‘전당, 전군, 전민이 일심단결하라’·215
북한 청소년들 정치의식과 사회화 과정·218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218
붉은 휘장과 혁명적 대사변·222
조선사회주의 로동청년동맹·224
북한 청소년들의 사회의식과 여가생활·226
‘아바이놀이를 아시나요?’·226
사상성을 강조하는 영화는 인기 없어·228
전혜영의 휘파람과 최진희의 사랑의 미로·231
북한의 세시풍속과 명절·234
코걸이 좀 거두시라우!·234
높아지는 조상숭배 의식·237
전통을 지키는 민속놀이·240
카드놀이와 포커게임·243
관혼상제는 민족동질성 회복의 이정표·246
충성의 한길에서 영원한 부부·246
혼수품은 5장 6기를 준비해야·248
60청춘 90회갑이라는데·250
되돌아온 제사祭祀·252
민족통일을 생각하며 평화와 번영을·254
북한을 바로 알아야·254
상호주의보다 기능주의를·257
남과 북이 함께 살아야·261
통일은 민족 문제이자 국제 문제·261
남과 북이 갈라져 살아야 할 이유 없어·265
평양을 떠나면서·269
주체공화국의 의미·269
주한미군을 그대로 두시오·273
한민족 평화와 번영을·275
에필로그·278
민족문제는 민족 모두가 책임져야·278
남북 공존의 길은 열리고·280
통일이 민족의 생존이고 국가의 완성이다·282

저자소개

설용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2년 전북 순창에서 출생했으며, 상지대 경영학과, 연세대 행정대학원 외교안보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워싱턴대.미국 남가주대.서울대.연세대에서 AMP과정과 고려대 언론대학원.중앙대 산업대학원.한양대 경영대학원에서 MBA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 유인대에서 경영학박사와 선문대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제승공연합 중앙연수원장, 국가비상기획위원회 전임교수, 육해공군대학 초빙교수, 국방정신교육원 교수, 경찰대학교 행정학 교수, 중국 연변대학?길림대학 객원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도덕성회복국민운동본부 부총재, 세계일보 사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남북사회문화연구소 이사장, (사)남북청소년교류평화연대 대표이사, (사)통일교육협의회 상임공동의장,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공동대표, 행정안전부 민방위자문위원, 선문대학교 겸임교수, 노고지 총동창회장, 선학장학재단 이사, (재)중앙노동경제연구원 이사장, 세계일보 고문직을 맡고 있다. 저자는 다년 간 전국 각지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통일 안보, 의식개혁과 직업윤리, 노사관계 및 산업정보 분야의 강의를 2만여 회나 해 오면서도 틈틈이 세계 각국의 석학과 지도자들을 만나 미래세계에 대한 진지한 토의를 해온 그야말로 동분서주하는 전천후 시테크 활동가이다. 국민포장 및 국민훈장 석류장 등 3백 여 회의 각종 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제1회 노사관계발전대상과 통일문화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저서로는 《전환시대의 위기관리》 《남과 북이 함께 사는 길》 《격동의 시대 총체적 위기, 그 실상과 대안》 《노사관계 매듭 풀기》 《작은 거인의 세상 보기》 《재중동포 조선족 이야기》 《전변의 현장에서 본 북한》 《중국인의 지혜 우화 유머》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