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8893743138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5-09-26
책 소개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들어가는 말
제1부 불안해하는 남성들
제1장 소녀들이 지배한다: 소년들이 학업에서 뒤처지고 있다
제2장 워킹맨의 우울: 남자들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
제3장 소외감을 느끼는 아빠들: 아버지가 먹여 살리던 시절은 끝났다
제2부 이중의 굴레
제4장 드와이트는 왜 안경을 쓸까: 인종차별에 성차별이 더해지다
제5장 유리 천장보다 계급 천장: 가난한 남자는 더 외롭고 더 불행하다
제6장 응답 없는 사람들: 소년과 남자들은 기회를 잡지 않는다
제3부 남성성이라는 신화
제7장 어떤 남자로 만들 것인가: 본성도 중요하고 양육도 중요하다
제4부 남성을 위한 정치는 없다
제8장 외면하는 진보: 좌파는 논의 자체를 거부한다
제9장 화만 내는 보수: 우파는 시계를 거꾸로 돌리려고 한다
제5부 어떻게 해야 할까
제10장 입학을 미루는 소년들: 남학생들에게는 1년이 더 필요하다
제11장 미래의 유망 직업으로: 남자도 간호사가 될 수 있다
제12장 새로워진 아빠 역할: 아이들에게는 아버지도 필요하다
에필로그
감사의 말
주
책속에서
여성은 신체적으로 더 강해지고 있다. 1985년을 기준으로 30대 초반 남성은 평균적으로 비슷한 나이의 여성들보다 약 13.6킬로그램 더 많은 힘으로 손을 꽉 쥘 수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 남녀의 악력은 거의 비슷하다.
미혼 남성은 기혼 남성보다 건강도 더 나쁘고, 취업률도 더 낮으며, 사회적 네트워크도 약하다. 약물 복용으로 사망한 미혼 남성은 2010년부터 10년 새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여성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남편감이 되고 싶은 남자들은 더 높은 기준을 넘어야 한다. 여자들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남자와 파트너가 되느니, 차라리 혼자 살아갈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