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73278497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3-04-15
책 소개
목차
▷ 프롤로그⋅3
▷ 학습 진행개요⋅6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1장 군사혁신의 개관(槪觀)
제1절 개 요 23
1. ‘일반 혁신’과 ‘군사혁신’에 관한 의미 이해⋅23
2. ‘군사혁신’과 유사 용어의 의미 및 범위 이해⋅29
3. ‘군사혁명’과 ‘군사혁신’에 관한 일반적 개념과 변천(變遷)⋅32
4. ‘군사혁신’의 전제(前提)와 대상, 그리고 3대 효과⋅39
제2절 역사적인 ‘군사혁신’의 사례 59
1. 개 요⋅59
2. 시대별 ‘군사혁신’ 사례⋅61
3. 군사과학기술과 정보과학혁명이 전쟁 양상에 끼친 영향⋅83
제3절 논의 및 시사점 89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2장 정보기술(IT)-정보전(IW)-정보작전(IO)의 상관성
제1절 개 요 99
제2절 전장(戰場)의 성격과 정보기술(IT)의 상관성 102
1. 개요⋅102
2. 전장(Battle-field)의 성격이 변화하는데 필요한 3요소⋅104
제3절 정보전(IW)의 일반적인 의미와 형태 110
1. 개요⋅110
2. 정보전(IW)의 일반적 의미와 속성, 유형과 특징⋅113
3.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는 정보전(IT)의 일반적인 형태⋅122
4. 정보전(IT)의 방향성(directivity)⋅127
제4절 정보작전(IO)이 개념과 일반적인 의미 이해 134
1. 개요⋅134
2. 정보작전(IO)의 환경과 종류⋅139
제5절 논의 및 시사점 142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3장 ‘군사혁신’과 ‘항공력’의 상관성
제1절 개 요 149
제2절 전쟁의 본질적 형태와 항공력의 관계 151
제3절 ‘전략적 마비’와 항공력의 상관성 154
1. 개요⋅154
2. 현대적 의미에서 ‘전략적 마비’를 달성하기 위한 네 가지 요건⋅156
3. 존 R. 보이드(John R. Boyd)의 전략적 마비 사상과 ‘우다 루프(OODA Loop) 모델’⋅158
4. 존 A. 와든 Ⅲ세(John A. Warden Ⅲ)의 전략적 마비 사상과 ‘동심원(Five Strategic Rings) 모델’⋅164
5. 존 R. 보이드와 존 A. 와든 Ⅲ세가 주창하는 전략적 마비 사상의 차이점 비교⋅171
제4절 ‘병행전(Parallel Wafare)’과 항공사상과의 상관성 172
1. 개요⋅172
2. 제퍼리 R. 쿠퍼(Jeffery R. Cooper)의 병행전에 관한 이해⋅174
3. 병행전의 장⋅단점과 실효성을 발휘하기 위한 요건⋅177
4. 병행전을 무력화(無力化)시키는 방법⋅179
제5절 논의 및 시사점 181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4장 ‘군사혁신’과 ‘지휘 통제체계(C4I)’의 상관성
제1절 개 요 189
제2절 지휘 통제체계(C4I)의 일반적 정의 및 개념 192
1. 지휘 통제체계(C4I)의 일반적인 정의⋅192
2. 지휘통제(C4I)와 정보기술의 상관성 이해⋅196
제3절 정보 문명 시대와 지휘 통제(C4I)의 관계 200
1. 미래전(Furture Warfare)의 특징⋅200
2. 지휘 통제(C4I) 조직을 편성 간 효율성을 위해 고려하여야 할 사항⋅205
제4절 합동전략(Joint Strategy)과 지휘 통제(C4I)의 관계 206
1. 개요⋅206
2. 합동작전(Joint Operation)의 변천과정 이해⋅209
3. ‘합동전략(Joint Strategy)’과 지휘 통제(C4I)의 상관성⋅211
제5절 논의 및 시사점 215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5장 주요 국가의 군사혁신 사례
제1절 개 요 221
제2절 미국의 ‘군사혁신(RMA)’ 사례 222
1. ‘군사혁신(RMA)’을 추진하게 된 배경⋅222
2. ‘군사혁신(RMA)’의 전제 조건과 추구(追求) 방향⋅225
3. ‘군사혁신(2001~2005) 목표’에 대한 차이점 이해⋅227
4. ‘군사혁신(RMA)’에 대한 환경진단과 추진 노력⋅234
5. ‘군사혁신(RMA)’에 대한 분석 및 평가⋅244
제3절 프랑스의 ‘국방개혁(DR)’ 사례 245
1. ‘국방개혁(DR)’을 추진하게 된 배경⋅245
2. ‘국방개혁(DR)’의 추구(追求) 방향⋅248
3. ‘국방개혁(DR)’을 위한 환경진단과 추진 노력⋅251
4. ‘국방개혁(DR)’에 대한 분석 및 평가⋅265
제4절 중국의 ‘군사변혁(RMA)’ 사례 268
1. ‘군사변혁(RMA)’을 추진하게 된 배경⋅268
2. ‘군사변혁(RMA)’의 구성요소와 추구(追求) 방향⋅274
3. ‘군사변혁(RMA)’의 6대 추진 방향⋅277
4. ‘군사변혁(RMA)’에 대한 분석 및 평가⋅291
제5절 논의 및 시사점 300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6장 한국의 ‘군사혁신(RMA)’ 이해
제1절 개 요 305
제2절 ‘군사혁신’에 대한 기본 개념의 이해 307
1. 국가의 기본전략과 안보전략이란?⋅307
2. 국가 안보전략과 국방정책의 관계⋅309
제3절 국방개혁에 관한 이해 311
1. 국방개혁의 변천사(變遷史)⋅311
2. 국방개혁에 대한 기본 인식의 틀⋅314
제4절 국방의 6대 운영 중점과 국방전략 추진에 관한 개념 이해 317
1. 국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6대 중점⋅317
2. 국방전략의 추진 개념⋅320
3. 한국 안보의 주요 변수⋅324
제5절 ‘군사혁신’의 추진 중점과 방향성에 관한 이해 326
1. ‘군사혁신’의 4대 추진 중점⋅326
2. ‘군사혁신’을 추진 시 필요한 기본 Frame 설정⋅326
3. 정보⋅지식에 기반한 ‘군사혁신’의 방향⋅327
4. ‘군사혁신’의 추진에 필요한 2대 접근 전략⋅329
제6절 논의 및 시사점 330
1. 지정학⋅지경학적 현실을 직시하여 ‘군사혁신’의 방향성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330
2. ‘군사혁신’을 추진할 때 선제적으로 요구되는 실천 항목⋅335
▷ 에필로그⋅339
▷ 약어정리⋅341
▷ 참고문헌⋅346
▷ 찾아보기⋅349
▷ 저자소개⋅3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