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남아시아 지역의 한국인 범죄피해실태와 보호방안 :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의 한국인 범죄피해실태와 보호방안 :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연구총서 13-AA-09)

홍석준, 장준오, 최호림, 이완수 (지은이)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남아시아 지역의 한국인 범죄피해실태와 보호방안 :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남아시아 지역의 한국인 범죄피해실태와 보호방안 :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연구총서 13-AA-09)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3660117
· 쪽수 : 603쪽
· 출판일 : 2014-02-01

책 소개

이 연구는 2010년 필리핀.태국 연구의 후속연구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거주 재외국민의 안전한 삶을 위해 이들이 겪고 있는 범죄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범죄피해예방 및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23

제1장 서론(장준오) 35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7
제2절 연구방법 40
1. 연구내용 및 범위 40
2. 문헌연구 41
3. 설문조사 42
4. 면접조사 49

제2장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사회에 대한 개관(최호림?홍석준) 51
제1절 베트남 사회에 대한 이해 53
1. 베트남 개관 53
2. 범죄발생과 연관된 베트남의 현황과 특징 61
제2절 말레이시아 사회에 대한 이해 106
1. 말레이시아 개관 106
2. 범죄발생과 연관된 말레이시아의 현황과 특징 116

제3장 재외국민 현황과 범죄 가해 및 피해 실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장준오) 143
제1절 재외국민의 현황 145
1. 전체 재외국민 145
2.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재외국민 148
제2절 국외 범죄가해 및 피해 실태 153
1. 전체 재외한국인 범죄가해 및 피해 실태 153
2. 베트남에서의 한국인 범죄가해 및 피해 실태 157
3. 말레이시아의 한국인 범죄가해 및 피해 실태 165
4. 국내 범죄 가해 및 피해 실태와의 비교 168

제4장 베트남의 범죄피해 설문조사 결과분석(이완수?장준오) 173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5
1. 사회인구학적 특성 175
2. 베트남 거주 관련 사항 177
제2절 베트남 국민에 대한 태도 181
1. 베트남 국민에 대한 인식 181
2. 베트남 사람들과의 관계 185
제3절 범죄피해 관련 요인 191
1. 베트남의 범죄발생 동향 191
2. 안전도 인식 195
3. 베트남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 197
4. 지역사회 환경(무질서) 200
5. 이웃과의 관계 206
제4절 범죄인식 211
1. 베트남에서 발생하는 범죄 인식 211
2. 베트남에서 한국인이 당하기 쉬운 범죄 213
3. 베트남에서 한국인이 저지르기 쉬운 범죄 215
4. 범죄사건 소식이나 내용을 인지하는 경로 217
제5절 범죄피해 경험 218
1. 범죄피해 경험 218
2. 지난 1년간 범죄유형별 피해경험 221
제6절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247
1. 행위자별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247
2. 범죄유형별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252
제7절 응답자가 인식하는 범죄예방 대책 261
1. 개인의 범죄예방 행동 261
2. 범죄예방을 위한 필요한 정책 271
제8절 소결 278

제5장 베트남 재외국민 대상의 면접조사 결과(이완수) 285
제1절 면접대상자의 특성 287
제2절 교민 대상 면접조사 결과 289
1. 베트남에 대한 태도 289
2. 베트남 국민에 대한 태도 292
3. 베트남에 거주하게 된 동기 및 한인 거주 지역 294
4. 베트남 생활의 어려움 296
5. 범죄피해 및 가해 경험 299
6. 범죄피해에 노출되는 이유 317
7. 대사관에 대한 요구 사항 321
8. 한인회의 역할 강화 및 활성화 기대 324

제6장 말레이시아의 범죄피해 설문조사 결과분석(장준오) 327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9
1. 사회인구학적 특성 329
2. 말레이시아 거주 관련 사항 331
제2절 말레이시아 국민에 대한 태도 337
1. 말레이시아 국민에 대한 인식 337
2. 말레이시아 사람들과의 관계 341
제3절 범죄피해 관련요인 348
1. 말레이시아 범죄발생 동향 348
2. 안전도 인식 352
3. 말레이시아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 354
4. 지역사회 환경(무질서) 358
5. 거주지 이웃들의 관계 363
제4절 범죄에 대한 인식 368
1.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하는 범죄 인식 368
2. 말레이시아에서 한국인이 당하기 쉬운 범죄 371
3. 말레이시아에서 한국인이 저지르기 쉬운 범죄 373
4. 범죄사건 소식이나 내용을 인지하는 경로 375
제5절 범죄피해 경험 377
1. 범죄피해 경험 377
2. 지난 1년간 범죄유형별 피해 경험 379
제6절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407
1. 행위자별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407
2. 범죄유형별 피해에 대한 두려움 410
제7절 응답자가 인식하는 범죄예방대책 417
1. 개인의 범죄예방 행동 417
2. 재외국민이 원하는 범죄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책 427
제8절 소결 433

제7장 말레이시아 재외국민 대상의 면접조사 결과(장준오) 441
제1절 면접대상자의 특성 443
제2절 말레이시아 거주 한인 대상 면접조사 결과 445
1. 말레이시아에 대한 태도 445
2. 말레이시아 국민에 대한 태도 447
3. 말레이시아에 거주하게 된 동기 449
4. 말레이시아 적응상의 어려움 451
5. 범죄피해 및 가해 경험 453
6. 범죄피해에 노출되는 이유 469
7. 대사관 및 정부에 대한 요구 사항 472
8. 한인회의 역할 강화 및 활성화 기대 475

제8장 결론 및 대책(장준오) 479
제1절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거주 재외국민의 범죄피해 조사 결과 비교 481
1. 체류 국가 국민에 대한 인식 481
2. 체류 국가 국민과 자신과의 관계 482
3. 체류 국가의 범죄 발생 동향 483
4. 체류 국가의 지역 안전도 인식 483
5. 체류 국가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 484
6. 체류 국가 지역사회 환경 484
7. 체류 국가 이웃과의 관계 485
8. 체류 국가의 심각한 범죄 및 가?피해 위험 범죄 486
9. 범죄피해 경험 487
10.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488
11. 개인의 범죄예방 행동 489
12. 재외국민이 원하는 범죄예방을 위해 필요한 정책 490
13. 범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491
제2절 재외국민의 범죄피해 예방을 위한 제언 496
1. 피해대상자를 위한 대책 496
2. 기관을 대상으로 한 대책 506
3. 관련주재국을 대상으로 한 대책 512
4. 범죄행위를 대상으로 한 대책 515
제3절 결론 521

참고문헌 523

Abstract 535

부록
부록 1. 재외국민의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의견 조사(말레이시아, 베트남 편) 549
부록 2. 범죄예방매뉴얼 예시 577

저자소개

홍석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겸 도서문화연구원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학사와 동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를 거쳐 동대학원 박사과정에서 말레이시아 농촌의 이슬람화와 문화변동이라는 연구로 인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말레이시아의 이슬람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의 사회와 문화, 다문화사회로서의 말레이시아의 역사와 문화, 동남아시아의 노인과 노년문제,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와 이슬람, 동아시아 해양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동아시아 항구도시의 역사와 문화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말레이시아 항구도시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정체성, 말레이시아 전통의 재생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 한인사회의 역사와 문화, 말레이시아 이슬람과 모더니티, 한-아세안 사회문화 교류와 협력 활성화,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혼종성, 섬의 인문학: 인문지형의 변동과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최호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HK조교수.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동남아학회 연구이사, 한국동남아연구소 총무부장, 전남대학교 연구교수,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전통의례, 문화정책 등 베트남 사회문화에 관한 연구와 함께, 이주노동, 관광, 전쟁 기억 등에 관한 주제의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논저로는 Southeast Perceptions of Korea(2011, 공저), <동남아의 초국가적 이슈와 지역 거버넌스>(2010, 공저), ?베트남의 동남아연구의 구성과 제도화 과정: 베트남 내부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2011), ?Cultural Politics of Communal Festivals in Ha Noi?(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이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소년희망재단 연구사업본부장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