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9118775052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서론 말레이시아 한인과 한인 사회의 연구 과정 개요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1
2. 연구 일정 개요 25
3. 기존 연구의 검토 27
4. 연구 방법과 자료 33
1장 말레이시아 한인 이주의 역사와 한인 사회의 형성과 변화
1. 말레이시아 한인 이주의 역사 48
2.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의 형성 과정 51
3.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의 변화와 발전 59
2장 한류가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와 한인 정체성의 형성과 변화에 미친 영향
1. 문화적 다원주의의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도전 69
2. 현지인과 한인 사회의 교류 및 협력관계를 증진시킨 한류 104
3. 무슬림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기업 확대 113
4. 한류 콘텐츠 유입에 따른 양국 간 교류 확대 121
3장 말레이시아의 이주정책과 한인 정체성의 형성과 변화
1. 한국인들의 은퇴이주 대상지로서 말레이시아와 MM2H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징 135
2. 말레이시아 은퇴이주의 특징과 의미: MM2H의 허상과 실제 140
1) MM2H의 특징과 그 변용 140
2) MM2H의 허와 실 149
3. 은퇴이주지로서 말레이시아의 양면성 173
4장 초국가 시대의 재마 한인 사회와 한인 정체성
1. 조기유학 대상지로 부상한 말레이시아 181
2. 영어교육의 글로벌한 현장으로의 이주 189
3. 자녀의 더 나은 교육 기회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기유학을 택한 사람들 206
5장 한인 사회와 한인 정체성의 변화: 암팡에서 몽키아라로
1. 한인 사회 내부의 지리적, 사회경제적, 사회계층적 분화 241
2. 한인 사회 내의 사회계층적 분화의 특징과 의미 247
6장 ‘빗장 공동체’로 인식되는 한인 사회: 한인과 현지인 간 상호 작용의 특징과 의미
1.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의 정착과 발전 265
2.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의 지역적 변이의 특징과 의미 270
결론 코로나19 이후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의 문화변동 275
참고자료 288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동남아 지역은 한국 사회에 밀접하게 다가와 있다. 동남아는 한국에 무역 규모로는 중국에 이어 2위, 투자처로는 미국에 이어 2위, 해외 건설 공사처로는 1위, 노동 인력 교류처로는 중국에 이어 2위, 관광지로는 1위, 그리고 한류 파급력으로는 일본과 중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하는 지역이다. [...] 또한, 그 이주와 정착 형태도 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인해 기존 주류 이주국에서 나타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말레이시아의 한인과 한인 사회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연구는 해외 한인들의 다양한 삶을 소개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기존의 한인 이주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이론들을 새롭게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많은 한국인이 새로운 일거리를 찾아 말레이시아로 들어왔고, 대게 소小 자영업자인 이들은 주로 한인들을 상대로 장사를 했기 때문에 상사 주재원이 모여있는 암팡 한인타운에 자리를 잡았다. 그러자 슈퍼, 식당, 미용실, 비디오 대여점 등 한국 간판을 단 가게들이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했다. 마침 1998년에 1,200세대를 수용할 수 있는 암팡에비뉴가 만들어지면서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주거 환경이 조성되었고, 쿠알라룸푸르와 슬랑오르주 인근 지역에 흩어져 있던 서라벌, 서울정 등의 식당들이 이곳으로 이전해왔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이곳은 점차 한인타운으로서의 형태와 면모를 갖추어나가기 시작했다.
말레이시아는 2018년 61년 만에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 1957년 독립 이후 61년 만에 첫 정권교체에 성공한 것이다. 1957년 영국에서 독립한 뒤 한 차례도 정권을 놓지 않았던 국민전선은 집권 61년 만에 야권으로 전락하였다. 야권연합 희망연대의 승리로 1981년부터 2003년까지 22년간 말레이시아를 통치했던 마하티르 모하맛Mahathir bin Mohamad(이하 마하티르) 전 총리가 다시 총리가 되는 성과를 기록하였다. 지난 총선 결과는 61년 만에 이뤄낸 최초의 정권교체라는 점에서 그 일차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