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91187750581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목차
서문 | 동남아시아의 한인 사회: 현지와 동반성장하는 공동체 8
1부 자본주의체제 국가에서 한인 사회의 특징과 전망
1장 싱가포르: 순환이주 주재원 사회에서 글로벌 도시 이민 사회로 ⦁ 김지훈
1. 글로벌 도시국가 싱가포르와 싱가포르 한인 사회: ‘조용하고 치열한’ 사회 41
2. 싱가포르와 동남아 한인 사회의 원형:
순환이주 주재원 공동체와 글로벌 이민 한인 사회 48
3. 글로벌 도시국가 싱가포르의 한인 사회 변화: 한인 사회의 형성과 구성원의 다양화 51
4. 맺음말: 싱가포르 한인 사회의 쟁점과 미래 66
2장 말레이시아: ‘MM2H’를 통해 본 ‘빗장 공동체’로서의 한인 사회 ⦁ 홍석준
1. 머리말 74
2. 말레이시아 이주정책의 특징과 의미: MM2H의 이상과 현실을 중심으로 91
3. 한국인들의 은퇴이주 대상지로서 말레이시아와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의 내부 분화,
그리고 ‘빗장 공동체’로서의 한인 사회 111
4. 맺음말 132
3장 태국: 초국가주의 현상에 따른 체류자 중심 한인 사회 ⦁ 김홍구
1. 머리말 141
2. 한인 사회의 형성과정과 이주 동기 149
3. 일상적 삶과 민족 정체성 154
4. 한인과 현지인 사이 상호인식과 관계 163
5. 초국적 정체성 172
6. 맺음말 184
4장 인도네시아: 오랑꼬레아 백년의 역사 ⦁ 엄은희
1. 1호 수식어가 많이 붙는 한-인도네시아 관계 196
2. 한인 이주의 사회경제적 배경으로서 인도네시아의 변화 203
3. 인도네시아 한인 이주 100년사의 서장: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이주 213
4. 한국 대외투자의 출발지로서 인도네시아 220
5. 분화하는 한인 사회: 2000년대 이후의 변화 232
6. 인도네시아 한인 사회의 현재와 미래 235
5장 필리핀: 한인 동포의 이주 시기별 특성과 국가 정체성 ⦁ 김동엽
1. 머리말 245
2. 한인의 필리핀 이주 시기와 형태 252
3. 필리핀 한인 동포의 국가 정체성 257
4. 맺음말 273
2부 후기사회주의체제 국가에서 한인 사회의 성장과 정체성
6장 베트남: 한인 사회의 계층분화와 문화정치 ⦁ 채수홍
1. 베트남 한인 사회가 주목을 끄는 이유 283
2. 베트남 한인 사회의 성장 동력과 문화정치의 틀 288
3. 베트남 한인 사회의 변화와 ‘우리’ 안의 ‘그들’ 303
4. 베트남 한인과 현지인의 관계 및 상호인식 319
5. 베트남 한인 사회의 미래와 지속가능성 333
7장 캄보디아: 한인 사회의 형성과 변화 ⦁ 이요한
1. 머리말 342
2. 캄보디아 한인 이주사 344
3. 캄보디아 한인 사회의 특징과 변화 353
4. 맺음말 360
8장 라오스: ‘단기체류’에서 ‘장기체류’ 중심으로 전환한 한인 사회 ⦁ 이요한
1. 머리말 365
2. 이주 시기별 특징 367
3. 라오스의 비자제도와 한인 사회: 무엇이 라오스로 이주하게 하였는가? 379
4. 맺음말: 정체와 확산의 갈림길에 서 있는 라오스 한인 사회 385
9장 미얀마: ‘기회의 땅’에서 여는 새로운 삶과 위기들 ⦁ 김희숙
1. 머리말 391
2. 한인의 미얀마 이주 역사와 한인 사회의 시기별 특징 395
3. 한인 사회의 분화와 균열 408
4. 다층적 ‘로컬’ 경험과 한인-현지인 관계 417
5. 맺음말 425
찾아보기 431
이 책을 쓴 사람들 436
저자소개
책속에서
20세기 후반기부터 진행된 세계화의 가속화로 지역 간 상호 연계성과 의존성이 심화하는 현대사회의 맥락에서, 동남아와 한국이 ‘동시적으로 동반성장’해왔다는 것이다. 그 결과 동남아의 한인 사회는 세계 여타 지역의 한인 사회 사례와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진 상향 성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과 동남아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이 두 지역 간 상호의존 속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며 동남아 한인 사회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 『동남아시아 한인: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의 시작은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에서 가능해졌다.
이민 제도와 체계의 변화 역시 한인의 글로벌 이동에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며 동남아 한인 사회의 역동성을 키워왔다. 동남아에는 최근 등장한 신新유형의 한인이 한인 사회의 주요 구성원으로 자리한다. 특히 1990년대와 2000~2010년대에 출현한 이민 유형으로 주목해야 할 몇 가지를 간략히 소개할 필요가 있겠다. 영어와 중국어를 필두로 한 자녀의 언어 습득과 국제학교 교육을 통해 ‘문화 자본’을 추구하는 ‘교육 이주’(Kim 2010; Okazaki and Kim 2018), ‘삶의 질’을 추구하는 ‘은퇴이주’, 새로운 인생의 기회를 추구하는 ‘체류 연장형 이주’가 대표적이다. 물론 이들이 서로 결합한 유형도 존재한다.
서비스직 청년 이주자들은 2000년대 중후반 조기유학 가족의 대규모 유입에 버금가는 규모의 한인 사회 구성원 집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대부분의 호텔, 호텔 내부 식당과 라운지에서 한인 청년들이 일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청년들에 따르면, 대개 주당 5~6일, 하루에 10시간에서 12시간 정도 일하고, 1~2년 차의 경우 추가 근무 수당을 포함하여 1,400~1,600싱가포르달러 수준의 급여를 받고 있다. 싱가포르의 높은 월세와 생활 물가 수준을 고려하면 열악한 수준의 근로 조건으로 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