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8 : 동남아시아 한인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8 : 동남아시아 한인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김홍구, 김지훈, 채수홍, 홍석준, 엄은희, 김동엽, 이요한, 김희숙 (지은이)
눌민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2,500원
0원
2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8 : 동남아시아 한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8 : 동남아시아 한인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91187750581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브루나이를 제외한 아세안 9개국 한인을 각 동남아 지역 연구 학자들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동안 취재하고 이후 4년에 걸쳐 그 업적을 연구·정리한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의 마지막 권이다.

목차

서문 | 동남아시아의 한인 사회: 현지와 동반성장하는 공동체 8

1부 자본주의체제 국가에서 한인 사회의 특징과 전망

1장 싱가포르: 순환이주 주재원 사회에서 글로벌 도시 이민 사회로 ⦁ 김지훈
1. 글로벌 도시국가 싱가포르와 싱가포르 한인 사회: ‘조용하고 치열한’ 사회 41
2. 싱가포르와 동남아 한인 사회의 원형:
순환이주 주재원 공동체와 글로벌 이민 한인 사회 48
3. 글로벌 도시국가 싱가포르의 한인 사회 변화: 한인 사회의 형성과 구성원의 다양화 51
4. 맺음말: 싱가포르 한인 사회의 쟁점과 미래 66

2장 말레이시아: ‘MM2H’를 통해 본 ‘빗장 공동체’로서의 한인 사회 ⦁ 홍석준
1. 머리말 74
2. 말레이시아 이주정책의 특징과 의미: MM2H의 이상과 현실을 중심으로 91
3. 한국인들의 은퇴이주 대상지로서 말레이시아와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의 내부 분화,
그리고 ‘빗장 공동체’로서의 한인 사회 111
4. 맺음말 132

3장 태국: 초국가주의 현상에 따른 체류자 중심 한인 사회 ⦁ 김홍구
1. 머리말 141
2. 한인 사회의 형성과정과 이주 동기 149
3. 일상적 삶과 민족 정체성 154
4. 한인과 현지인 사이 상호인식과 관계 163
5. 초국적 정체성 172
6. 맺음말 184

4장 인도네시아: 오랑꼬레아 백년의 역사 ⦁ 엄은희
1. 1호 수식어가 많이 붙는 한-인도네시아 관계 196
2. 한인 이주의 사회경제적 배경으로서 인도네시아의 변화 203
3. 인도네시아 한인 이주 100년사의 서장: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이주 213
4. 한국 대외투자의 출발지로서 인도네시아 220
5. 분화하는 한인 사회: 2000년대 이후의 변화 232
6. 인도네시아 한인 사회의 현재와 미래 235

5장 필리핀: 한인 동포의 이주 시기별 특성과 국가 정체성 ⦁ 김동엽
1. 머리말 245
2. 한인의 필리핀 이주 시기와 형태 252
3. 필리핀 한인 동포의 국가 정체성 257
4. 맺음말 273

2부 후기사회주의체제 국가에서 한인 사회의 성장과 정체성

6장 베트남: 한인 사회의 계층분화와 문화정치 ⦁ 채수홍
1. 베트남 한인 사회가 주목을 끄는 이유 283
2. 베트남 한인 사회의 성장 동력과 문화정치의 틀 288
3. 베트남 한인 사회의 변화와 ‘우리’ 안의 ‘그들’ 303
4. 베트남 한인과 현지인의 관계 및 상호인식 319
5. 베트남 한인 사회의 미래와 지속가능성 333

7장 캄보디아: 한인 사회의 형성과 변화 ⦁ 이요한
1. 머리말 342
2. 캄보디아 한인 이주사 344
3. 캄보디아 한인 사회의 특징과 변화 353
4. 맺음말 360

8장 라오스: ‘단기체류’에서 ‘장기체류’ 중심으로 전환한 한인 사회 ⦁ 이요한
1. 머리말 365
2. 이주 시기별 특징 367
3. 라오스의 비자제도와 한인 사회: 무엇이 라오스로 이주하게 하였는가? 379
4. 맺음말: 정체와 확산의 갈림길에 서 있는 라오스 한인 사회 385

9장 미얀마: ‘기회의 땅’에서 여는 새로운 삶과 위기들 ⦁ 김희숙
1. 머리말 391
2. 한인의 미얀마 이주 역사와 한인 사회의 시기별 특징 395
3. 한인 사회의 분화와 균열 408
4. 다층적 ‘로컬’ 경험과 한인-현지인 관계 417
5. 맺음말 425

찾아보기 431
이 책을 쓴 사람들 436

저자소개

김홍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태국의 치앙마이대학교와 까ㅤㅆㅔㅅㅤㅆㅏㅅ대학교 객원교수로 근무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동남아창의융합학부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동남아학회장, 한국태국학회장, 국제지역학회장, (사)한국동남아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장이다. 저서로는 『태국문화의 즐거움』, 『태국 정치입문』, 『한국의 동남아시아연구』(공저), 『동남아불교사』(공저), 『문화로 배우는 타이어 강독』(공저), 『지역연구 방법론』(공역), 『아세안: 경제발전과 경제협력』(공역), 『동남아 정치변동의 동학』(공저), 『한국 기업의 현지화 경영과 문화 적응: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공저), 『동아시아아의 한류』(공저), 『한국 속 동남아 현상』(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의 태국 연구: 동향과 과제”, “태국의 왕위계승연구: 쟁점과 전망”, “태국 승가법과 국가권력”, “재태한인의 특성과 태국에 대한 인식”, “태국의 경제위기와 정치적 선택”, “태국의 선거제도 변화와 정당체제”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석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겸 도서문화연구원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학사와 동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를 거쳐 동대학원 박사과정에서 말레이시아 농촌의 이슬람화와 문화변동이라는 연구로 인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말레이시아의 이슬람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의 사회와 문화, 다문화사회로서의 말레이시아의 역사와 문화, 동남아시아의 노인과 노년문제,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와 이슬람, 동아시아 해양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동아시아 항구도시의 역사와 문화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현재 말레이시아 항구도시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정체성, 말레이시아 전통의 재생과 이슬람화, 말레이시아 한인사회의 역사와 문화, 말레이시아 이슬람과 모더니티, 한-아세안 사회문화 교류와 협력 활성화, 도서해양부 동남아시아 해양세계의 사회적 구성과 문화 혼종성, 섬의 인문학: 인문지형의 변동과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채수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뉴욕시립대학원(CUN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4년부터 베트남의 도시, 산업, 노동의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Wounded Cities, Labor in Vietnam, 『맨발의 학자들』 등의 공저를 출간하였고, 주요 논문으로는 “The Political Processes of the Distinctive Multinational Factory Regime and Recent Strikes in Vietnam”, “호치민시 개혁과정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 “한인 공장매니저의 초국적인 삶”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요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세안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아세안 및 메콩 국제관계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일본의 대 메콩 외교 전략과 협력 거버넌스〉(2020), 〈중국의 일대일로와 란창-메콩 협력 거버넌스: 쿤밍-비엔티안 철도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2022), 〈초국경 댐 개발에 관한 수자원 외교: 메콩강위원회의 역할과 과제〉(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동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리핀국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세안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한-아세안 관계, 필리핀 정치·경제이며, 최근 저서로는 『필리핀: 한인 이주의 역사와 발전, 그리고 정체성』(2021),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2019, 공저), 『나를 만지지 마라 I & II』(2015, 역서), 『동남아의 역사와 문화』(2012,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엄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동남아 지역전문가로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를 주로 연구한다. 저서로 『여성 연구자, 선을 넘다』(공저), 『흑설탕이 아니라 마스코바도』, 『말레이 세계로 간 한국 기업들』(공저)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재외동포의 사회운동과 정치적 역동: 416자카르타촛불행동의 활동을 중심으로”, “재난관리 관점에서 본 필리핀의 코로나19 대응에 관한 비판적 분석” 등이 있다.
펼치기
김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대학원에서 미얀마 새마을운동 ODA 사업에 관한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문한국(HK)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미얀마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각국의 ‘사람’에 초점을 맞춰 노동ㆍ보건ㆍ복지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코로나19에 맞서는 동남아시아』, 『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체계 연구』, 『동남아 문화 돋보기』,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 등을 공저로 출간하였고, 주요 논문으로는 “국제개발프로젝트를 둘러싼 미얀마 농촌마을의 정치과정”, “미얀마 2019: 로힝자 위기 이후 국제관계의 변화와 총선을 향한 정치과정”, “위기와 기회: 미얀마의 코로나19 대응 특징과 정치적 함의”, “싱가포르의 이원적 코로나19 방역 전략과 그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인하대 사회교육과 교수이자 인하대 Center for Global Korean and Asian Studies 센터장, 캘리포니아대 어바인캠퍼스 사회학과 방문연구자이다. 글로벌 도시, 이주, 가족, 교육의 교차점을 주로 연구하며, 동남아시아와 싱가포르 전문가이다. 현재 한국동남아학회 부회장이다. 서강대 동아연구소 조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사회학회(총무이사), 한국비교사회학회(총무이사, 국제이사)에서 봉사했다. 고려대 사회학과에서 문학사와 문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싱가포르국립대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 옥스퍼드대 지리환경학과에서 석사학위,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런던대와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했다.
펼치기
김지훈의 다른 책 >

책속에서

20세기 후반기부터 진행된 세계화의 가속화로 지역 간 상호 연계성과 의존성이 심화하는 현대사회의 맥락에서, 동남아와 한국이 ‘동시적으로 동반성장’해왔다는 것이다. 그 결과 동남아의 한인 사회는 세계 여타 지역의 한인 사회 사례와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진 상향 성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과 동남아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이 두 지역 간 상호의존 속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며 동남아 한인 사회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 『동남아시아 한인: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의 시작은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에서 가능해졌다.


이민 제도와 체계의 변화 역시 한인의 글로벌 이동에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며 동남아 한인 사회의 역동성을 키워왔다. 동남아에는 최근 등장한 신新유형의 한인이 한인 사회의 주요 구성원으로 자리한다. 특히 1990년대와 2000~2010년대에 출현한 이민 유형으로 주목해야 할 몇 가지를 간략히 소개할 필요가 있겠다. 영어와 중국어를 필두로 한 자녀의 언어 습득과 국제학교 교육을 통해 ‘문화 자본’을 추구하는 ‘교육 이주’(Kim 2010; Okazaki and Kim 2018), ‘삶의 질’을 추구하는 ‘은퇴이주’, 새로운 인생의 기회를 추구하는 ‘체류 연장형 이주’가 대표적이다. 물론 이들이 서로 결합한 유형도 존재한다.


서비스직 청년 이주자들은 2000년대 중후반 조기유학 가족의 대규모 유입에 버금가는 규모의 한인 사회 구성원 집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대부분의 호텔, 호텔 내부 식당과 라운지에서 한인 청년들이 일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청년들에 따르면, 대개 주당 5~6일, 하루에 10시간에서 12시간 정도 일하고, 1~2년 차의 경우 추가 근무 수당을 포함하여 1,400~1,600싱가포르달러 수준의 급여를 받고 있다. 싱가포르의 높은 월세와 생활 물가 수준을 고려하면 열악한 수준의 근로 조건으로 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