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73665693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5-12-31
책 소개
목차
국문요약 1
ㅣ제1장ㅣ서론(홍영오.연성진) 21
제1절 연구의 목적 2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27
1. 연구내용 27
2. 연구방법 30
ㅣ제2장ㅣ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홍영오.연성진) 45
제1절 데이트폭력의 개념 및 유형 47
1. 데이트 폭력의 개념 47
2. 데이트폭력의 유형 48
제2절 이론적 논의 50
1. 데이트폭력에 대한 이론 50
2. 데이트폭력과 관련된 요인 54
ㅣ제3장ㅣ공식범죄통계 상의 피해실태와 범죄자특성 및 상담통계 상의 피해실태(홍영오) 59
제1절 공식범죄통계상의 피해실태 및 범죄자 특성 61
1. 범죄유형별 피해실태 61
2. 연인 대상 범죄자 특성 76
3. 범죄유형별 범죄자의 특성 91
4. 범죄유형에 따른 피해자 범죄자 관계별 범죄자의 특성 비교 108
제2절 상담통계상의 피해실태 125
1. 전국 성폭력상담소 125
2. 한국성폭력상담소 127
3. 한국여성의 전화 성폭력상담소 134
제3절 소결 136
1. 공식범죄통계상의 피해 실태 136
2. 상담통계상의 피해 실태 138
ㅣ제4장ㅣ청구전조사서 기록조사(홍영오) 141
제1절 연인 대상 살인범죄의 특성 143
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43
2. 형법적 특성 148
3. 범죄피의자 특성 149
4. 피해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61
5. 범행특성 163
6. 범행방법 183
7. 검거과정 및 혐의사실 인정여부 195
제2절 연인 대상 성폭력 범죄의 특성 198
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98
2. 범죄피의자의 특성 206
3. 범행장소 및 시간 220
4. 범행 시 피의자와 피해자의 상태 226
5. 피해결과 238
제3절 소결 241
1. 연인대상 살인범죄의 특성 241
2. 연인 대상 성폭력 범죄의 특성 244
ㅣ제5장ㅣ데이트 폭력 실태조사 결과(홍영오.연성진) 247
제1절 데이트 폭력피해 실태 249
1. 조사대상자의 특징 249
2. 데이트 폭력피해 실태 255
3. 결별 후 상대방의 반응 및 생활변화 286
4.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288
제2절 데이트 폭력가해 실태 290
1. 조사대상자의 특징 290
2. 데이트 폭력가해 실태 295
3.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312
4. 폭력가해자와 비가해자의 특성 비교 313
5. 가해자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315
제3절 성 및 폭력에 대한 인식 322
1. 성에 대한 인식 322
2. 연인간 폭력에 대한 태도 323
3. 폭력허용도에 대한 성별 차이 325
4. 연인간 폭력의 대응에 대한 태도 차이 326
제4절 소결 327
ㅣ제6장ㅣ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의 피해자 보호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주승희) 331
제1절 영국 333
1. 서론 333
2. 영국 가정폭력전과공개법, 일명 클레어법의 제정 배경 및 경과 334
3. 가정폭력전과공개제도(Domestic Violence Disclosure Scheme)의 주요 내용 336
4. 가정폭력 개념의 재정립 344
제2절 미국 345
1. 개요 345
2. 연방차원의 대응: 여성폭력방지법 346
3. 주(州) 차원의 대응: 아리조나 주(State of Arizona) 356
제3절 독일 359
1. 개요 359
2. 독일에서의 가정폭력이나 성폭력 등 여성에 대한 폭력의 발생 현황 360
3. 연방차원의 대응: 폭력보호법 364
4. 주(州) 차원의 대응: 메클렌부르그-포어폼메른(Mecklenburg-Vorpommern)주 366
제4절 세계보건기구(WHO)의 친밀한 관계에서의 파트너에 의한 폭행과
여성에 대한 성범죄에 대한 대응에 관한 지침서 368
1. 개요 368
2. 각 항목별 권고 내용 및 권고 정도 370
제5절 소결 382
ㅣ제7장ㅣ결론(홍영오.연성진)385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387
1. 공식범죄통계상 및 상담소통계상의 피해 실태 387
2. 설문조사에 나타난 피해 및 가해 실태 389
3. 청구전조사서 기록조사에 나타난 범행 및 범죄자 특성 392
4. 비교법적 분석 결과 396
제2절 정책제언 399
1. 전과정보공개제도 도입 검토 400
2.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통한
데이트폭력피해자 보호 402
3.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전환 403
4. 폭력에 대한 태도 전환 교육 조기 실시 404
5. 폭력의 순환성 방지 및 치료 406
6. 피해자 지원 강화 406
7. 미디어를 통한 피해 대처방안 안내 407
8. 연구 지원 408
참고문헌 409
Abstract 427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