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3690152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24-03-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07
제1장 생태신학의 유형
I. 범재신론적 유형 /025
1. 맥페이그(Sallie McFague) /026
2. 몰트만(Jurgen Moltmann) /031
3. 범재신론적 유형 요약 /037
II. 탈범재신론적 유형 /040
1. 맥다니엘(Jay B. McDaniel) /041
2. 류터(Rosemary R. Ruether) /044
3. 탈범재신론적 유형 요약 /048
III. 신중심적-청지기적 유형 /049
1. 스타센(Glen H. Stassen)과 거쉬(David P. Gushee) /050
2. 신중심적-청지기적 유형 요약 /053
IV. 비교와 종합적 평가 /055
1. 하나님에 대한 이해 /055
2.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성 /057
3. 세계의 존재들 사이의 관계성 /058
V. 맺는말 /060
제2장 생명에 관한 간문화적 탐구와 생태적 공동의 기반 모색
I.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069
1. 생명에 대한 기본 이해 /069
2. 생명과 윤리적 신비주의 /074
II. 유교: 『주역』을 중심으로 /076
1. 『주역』의 생명 이해 /076
2. 자연 생명과 인문 생명의 관계성 /080
II. 서남동 /084
1. 서남동의 생명 이해 /084
2. 생태학적 윤리의 모색 /088
IIV. 비교와 종합적 평가 및 공동의 기반 모색 /093
1. 비교와 평가 /093
2. 공동의 기반 진술/102
V. 맺는말/104
제3장 생태적 사랑의 모색
1. 생태적 사랑의 당위성에 대한 신학적 근거 /110
II. 동등배려와 생태적 적용 /114
1. 동등의 관점과 생태적 사랑 /115
2. 배려의 관점과 생태적 사랑/118
III. 내쉬(James A. Nash)의 생태적 사랑론 그리고'생태적 동등배려'론과의 비평적 대화 /120
1. 내쉬의 생태적 사랑 이해 /120
2.'생태적 동등배려'론과의 비평적 대화 탐색 /130
IIV. 맺는말 /133
제4장 기후위기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응답
1. 기후위기 인식과 경고 그리고 기본적인 대응 자세 /141
1. "기후변화의 현실을 부인하지 말라” /141
2.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우리의 취약성을 내면화하라" /143
3. “기후변화의 결과를 직시하라” /144
4. “행동할 방법을 찾아라" /145
II. 기후위기와 신학적·윤리적 응답 /148
1.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규범적 방향성과 자연법적 신학과 윤리 모색 /148
2. 인간과 창조세계의 존재론적 특성과 기독교적 응답/161
3. 신자유주의 경제에 대한 비평적 성찰과 생태적 전환을 위한 성서적·신학적 대안 /171
III. 맺는말 /186
제5장 동물 신학과 윤리 탐구
I. 동물신학의 한 모색: 린지 (Andrew Linzey)를 중심으로 /193
1. 동물에 대한 전향적 자세와 신학적·윤리적 기반 /193
2. 기독교 전통 사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새로운 방향성 탐색 /199
II. 린지의 동물신학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응답 /210
1. 린지의 '동물에 대한 위(胃)중심주의적 관점과 접근에 대한 도전'에 관한 몰트만(Jurgen
2. 린지의 '인간중심적 창조론과 구원론을 넘어서는 다중성의 강조'에 대한 마우(Richard J. Mouw)의 신칼뱅주의적 창조와 구원 이해로부터의 응답 모색 /217
3. 린지의 '하나님 형상에 대한 전향적 해석과 동물을 포함한 만물에서 배우는 영적 무위(無爲)의 제안'에 관한 스택하우스(Max L. Stackhouse)의 하나님 형상 이해로부터의
응답 모색 /221
III. 맺는말/227
제6장 생태적 통일정책과 기독교적 응답: '그린 데탕트' 정책과 '생명의 숲'
신학을 중심으로
I. '그린 데탕트' 정책 개요 /234
1. 개념 해설 /234
2. 산림협력의 주요 정책 과제와 그 의미 /237
II. 평화통일 신학의 생태 신학적·윤리적 토대로서의 '생명의 숲' 신학과 '그린 데탕트'
평가 /244
1. 창세기 2장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신중심적 삶 안에서 이타적 실천에 힘쓰라! /244
2. 에스겔 37장의 '나무 막대기': 갈라지고 찢긴 공동체 안에서 평화의일군이 되라! /250
3. 로마서 11장의 '돌감람나무와 참감람나무': 자연 질서를 뛰어넘어 새로운 질서를 창출하시 는 신적 역사에 충실하게 응답하라! /253
4. 열왕기상 4장의 '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 이 땅에 평화와 번영의 시대가 오게 하라! /257
5. 요한계시록 22장의 '생명나무': 우주적·생태적 회복의 이상을구현하라! /259
III. 맺는말/262
제7장 종말론과 세계의 미래
I. 민중신학/266
1. 역사적 실재로서의 하나님 나라 /266
2. 세계의 미래에 대한 전망 /268
II. 리츨(Albrecht Ritschl)/270
1. 하나님 나라의 도덕적 현재화 /270
2. 세계의 미래에 대한 전망 /274
IIII. 바르트(Karl Barth)/276
1. '마지막 그분'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기독교 종말론/276
2. 세계의 미래에 대한 전망 /278
IV. 몰트만(Jurgen Moltmann) /279
1. '오시는 하나님'의 종말론/279
2. 전체 창조세계의 지평에서 본 하나님의 섭리적·구원적 사랑/282
3. 세계의 미래에 대한 전망 1286
V. 맺는말/287
참고문헌/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