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74115050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7-04-27
책 소개
목차
제1부 경판본 소설의 대중성과 사회의식
1장 _ 서론
2장 _ 경판본 소설의 대중화 배경과 과정
1. 경판본 소설의 대중화 배경
2. 경판본 소설의 대중화 과정
3장 _ 경판본 소설의 대중화 양상
1. 남성 중심적 서술 시각의 형성과 부각
2. 유교 이념 강화와 지배 질서의 옹호
3. 초경험적 질서의 개입과 역할의 강화
4. 인물의 행동 방식 변모와 전형화
4장 _ 경판본 소설의 대중적 성격
1. 문제의식의 약화와 선정적 장면 부각의 통속성
2. 관념론적 도덕의 강화와 중세 지향적 보수성
3. 서사의 유기적 전개와 욕망 실현의 환상성
4. 이상적 인물 유형의 변모와 독자 지향의 심미성
5장 _ 경판본 소설의 대중성에 내포된 사회의식
1. 서민 문학의 확대와 소설 향유층의 의식 퇴보
2. 실천 윤리를 통한 계층 화합적 연대 의식 표출
3. 논리적 사고의 성장과 현실 긍정 의식 강화
4. 봉건 지배 질서에 대한 모순된 인식
6장 _ 경판본 소설 대중성의 소설사적 의의
7장 _ 결론
제2부 경판본 소설의 대중화 양상과 후대적 변모
1장 _ 경판 <임경업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의미
1. 서론
2. 경판 <임경업전>의 대중화 배경
3. 경판 <임경업전>의 대중화 양상
4. 경판 <임경업전>의 대중화 양상에 드러난 의미
5. 결론
2장 _ 경판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1. 서론
2. <전우치전>의 이본 계열과 대중성의 연관성
3. 경판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
4. 경판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에 내포된 소설사적 의미
5. 결론
3장 _ 경판 <쌍주기연>의 대중화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1. 서론
2. 경판 <쌍주기연>의 대중화 배경과 원인
3. 경판 <쌍주기연>의 대중화 양상
4. 경판 <쌍주기연>의 대중화 양상에 내포된 소설사적 의미
5. 결론
4장 _ 경판 <소대성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향유 의식
1. 서론
2. 경판 <소대성전>의 출간 양상과 대중성의 상관관계
3. 경판 <소대성전>의 대중화 양상
4. 경판 <소대성전>의 대중화 양상에 내포된 향유 의식
5. 결론
5장 _ 경판 17장본 <홍길동전>의 간행 양상과 소설사적 위상
1. 서론
2. 경판 17장본 <홍길동전>의 간행 배경
3. 경판 17장본 <홍길동전>의 간행 양상
4. 경판 17장본 <홍길동전>의 소설사적 위상
5. 결론
6장 _ 경판본 소설의 후대적 변모 양상 연구
1. 서론
2. 경판본 소설 후대 이본의 존재 양상과 출간 과정
3. 경판본 소설의 후대적 변모 양상
4. 경판본 소설의 후대적 변모 양상에 내포된 소설사적 의미
5. 결론
7장 _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과 그 소설사적 의미
1. 서론
2.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간행 동인과 배경
3.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
4. 한남서림의 경판본 소설 대중화 방안의 소설사적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