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현대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74182465
· 쪽수 : 201쪽
· 출판일 : 2008-04-3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머리말
감사의 말,그리고 머리말
개설槪設
1.우주의 주인들
1.1 세계화 논쟁
1.2 정치의 한계
1.3 "신경제"라는 신화
2.도덕의 수호자들
2.1 도덕으로 돌아가서
2.2 배반당한 평등주의
2.3 사이비 공동체
3.인류의 구원자들
3.1 세계경찰 노릇 하기
3.2 패권이라는 갑옷
3.3 제국들의 충돌
4.대안
4.1 시장 걷어차기
4.2 9개 반자본주의 명제
후기後記
주(誅)
책속에서
좌파의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세계화에 대한 논쟁의 초점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1. 지난 1세기 동안 세계적 경제통합의 질적인 심화가 이루어졌는가?
2. 위 질문에 대한 답이 "그렇다"이면 정치적 행동이 세계 자본주의를 변형은 고사하고 통제도 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하는가?
질문 1과 관련하여 1세기라는 기간은 긴 시간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허스트와 톰슨 같은 핵심 회의론자들의 주장을 감안하면 그와 같이 장기적인 역사적 시각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사람들은 세계적 경제통합의 수준-이것은 선진국들의 대외무역과 국제 금융시장에 대한 의존도로 측정한다-은 20세기 말과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이라는 두 시점에서 비교가 가능하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가 세계화되고 있는 경제 속에서 살고 있다는 의식은 1914년부터 1945년까지의 위기 기간에 세계시장이 자급자족적인 몇 개의 블록으로 쪼개졌고, 이로 말미암아 1914년 이전에 이루어졌던 국제통합의 수준이 약간 낮아졌다는 역사적 사실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이다. (41쪽, '1장 우주의 주인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