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춘추좌전 - 하

춘추좌전 - 하

(전면개정판)

좌구명 (지은이), 신동준 (옮긴이)
인간사랑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5% 0원
1,140원
36,860원 >
36,000원 -10% 0원
0원
3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춘추좌전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춘추좌전 - 하 (전면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74187705
· 쪽수 : 896쪽
· 출판일 : 2017-09-30

책 소개

동아시아 역사문화를 이해하는 열쇠 <춘추좌전>. 이번 전면개정판은 두예와 공영달의 주소를 기본으로 하면서 <춘추공양전>과 <춘추곡량전>은 물론 역대 제가의 학설을 모두 참조한 <춘추좌전>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춘추좌전>의 편제에 관한 한 가장 체계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제3부 진초晉楚가 천하를 양분하다 9

제1절 진나라 난서가 반기를 들다 11
제2절 제나라 최저가 제장공을 시해하다 49
제3절 위나라 영희가 주군을 시해하다 71
제4절 오왕 여채餘祭가 횡사하다 118
제5절 주경왕이 아우를 죽이다 155
제6절 거나라 사람이 주군을 죽이다 172
제7절 초나라 공자 위가 찬위하다 191
제8절 초영왕이 오나라를 치다 249
제9절 정나라 자산이 형정刑鼎을 만들다 286
제10절 초나라가 진陳을 멸하다 317
제11절 채나라 태자가 희생으로 사용되다 340
제12절 공자 기질이 반기를 들어 초평왕이 되다 365
제13절 진나라가 선우를 치고 고자를 잡아가다 399
제14절 오자서와 태자 건이 달아나다 434
제15절 송나라 화해·상녕이 반기를 들다 464

제4부 오월吳越이 흥망을 교환하다 485

제1절 오나라가 6국의 군사를 격파하다 487
제2절 오나라 합려가 주군을 시해하고 등극하다 524
제3절 진나라가 기씨와 양설씨를 멸하다 552
제4절 노소공이 간후에서 죽다 571

제5절 오나라가 초나라 군사를 대파하다 601
제6절 초나라가 약으로 천도하다 628
제7절 노나라가 3도三都를 헐다 665
제8절 진나라 조앙이 반기를 들어 집권하다 691
제9절 제나라 진기가 시군해 집권하다 712
제10절 제나라 사람이 제도공을 시해하다 741
제11절 제나라 진항이 제간공을 시해하다 772
제12절 초나라 백공이 반기를 들었다 자진하다 794
제13절 월왕 구천이 오나라를 멸하다 824

부록 1. 열국세계표列國世系表 853
부록 2. 춘추시대 연표春秋時代 年表 861
부록 3. 열국성씨보列國姓氏譜 866
부록 4. 노나라 군주 약사略史 888

참고문헌 891

저자소개

좌구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춘추좌전』과 『국어(國語)』를 집필했다고 알려진 춘추시대 노나라의 유학자이자 사학자. 노나라에서 태사(太史)를 지낸 적이 있으며, 공자와 동시대 사람으로 전해지나, 자세한 일생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사기·12제후 연표서>에서는 “노나라의 군자 좌구명은 제자들이 각각 오류를 범하며, 제각기 주관에 집착하여 그 진의를 잃는 것을 염려하였다. 그래서 그는 공자의 기록에 연유하여 그 구절을 상세하게 논술하여 <좌씨춘추>를 지었다”고 하였다. 공자와는 의기(意氣)와 지취(志趣)의 좋음과 싫음을 같이 하여 『논어·공야장(公冶長)』에서 공자는 "말을 잘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며 공손함이 지나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 원망을 감추고 그 사람과 사귀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고 하였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만년에 시력을 잃은 뒤에 춘추시대 주나라와 노(魯)·제(齊)·진(晉)·정(鄭)·초(楚)·오(吳)·월(越)나라의 역사를 다룬 『국어』를 지었다고 한다. 『춘추좌전』의 지은이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고 명확하지 않다. 또한 좌구명의 좌가 성이고 구명이 이름인지, 좌구가 복성(複姓)이고 이름이 명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한 사람의 온전한 작품으로 보기 어렵고,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사관들이 채취한 사료를 누군가가 체제를 통일하고 선택, 가공, 정리한 작품이라는 견해도 있다.
펼치기
신동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평론가다. 100여 권에 달하는 그의 책은 출간 때마다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많은 독자에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2019년 4월 25일 64세를 일기로 영면했다. 저서 및 역서 『삼국지 통치학』, 『조엽의 오월춘추』, 『전국책』, 『조조통치론』, 『중국 문명의 기원』, 『공자의 군자학』, 『맹자론』, 『순자론』, 『노자론』, 『주역론』, 『대학.중용론』, 『인식과 재인식을 넘어서』, 『열자론』, 『후흑학』, 『인물로 읽는 중국 현대사』, 『장자』, 『한비자』, 『조조의 병법경영』, 『귀곡자』, 『상군서』, 『채근담』, 『명심보감』, 『G2시대 리더십으로 본 조선왕 성적표』, 『욱리자』, 『왜 지금 한비자인가』, 『묵자』, 『고전으로 분석한 춘추전국의 제자백가』, 『마키아벨리 군주론』,『유몽영』, 『동양고전 잠언 500선』, 『관자 경제학』, 『동서 인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서경』, 『제갈량 문집』, 『국어』, 『춘추좌전』, 『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 『풍몽룡의 동주열국지』, 『십팔사략』, 『사서로 읽는 항우와 유방』, 『시경』 수정증보판, 『관자』, 『당시삼백수』 수정증보판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