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4354824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7-02-07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약어표
제1부 서론
제1장 문제와 과제
1. 끝나지 않은 일
2. 현대 비유 해석의 주요 경향
(1) 역사적-종말론적 접근: 도드와 예레미아스
(2) 존스: 예술로서의 비유
(3) 린네만과 비아: 실존적 관점
3. 반응과 평가: 남아 있는 과제
제2장 방법론 (1): 문화적인 문제
1. 기본적인 문제: 문화적인 이질성
2. 문화적인 문제 해결의 유형들에 대한 검토
3. 동양식 주해: 제안
(1) “동양식 주해”란 무엇인가?
(2) 고대 문헌: 고대 문헌의 중요성과 그 문헌을 평가하는 해석자의 문제
(3) 비유의 문화를 재발견하는 도구인 당대의 근동 농부들과 그들의 구전 전승
a. 농부들의 고대 생활양식
b. 근동의 농부에게서 통찰을 얻으려는 과거의 시도들
c. 끝나지 않은 과제: 방법과 장치
(4) 주해를 위한 동양어 역본의 중요성
4. 신학적인 묶음 식별하기
5. 요약과 결론
제3장 방법론 (2): 신약성경에 사용된 네 유형의 문학 구조와 비유 해석에서의 중요성
1. 문학적 구조 탐구 역사 개관
2. 용어 정의
3. 신약성경에 있는 문학 구조의 네 유형
(1) 유형 A - 역행 대구법 산문
(2) 유형 B - 일곱 가지 시 형식
(3) 유형 C - 산문으로 둘러싸인 시
(4) 유형 D - 비유적인 발라드
4. 요약과 결론
제2부 누가복음 예루살렘 여행 기사 속, 비유 네 편과 시 두 편 분석
제4장 예루살렘 여행 기사(예루살렘 문서)의 문학적 개요: 눅 9:51-19:48
제5장 누가복음 16:1-13 주해
1. 불의한 청지기(16:1-8)
2. 재물과 하나님에 관한 시(16:9-13)
제6장 누가복음 11:5-13 주해
1. 밤중에 찾아온 친구(11:5-8)
2. 천부께서 주시는 선물에 관한 비유/시(11:9-13)
제7장 누가복음 15장 주해
1. 잃은 양과 잃은 동전(15:4-10)
2. 아버지와 잃은 두 아들 비유(15:11-32)
결론
부록 A 이 연구에 사용된 동양어 역본에 대한 간략한 설명
부록 B 자료 제공자들
참고 문헌/ 저자 색인/ 성구 색인
리뷰
책속에서
예나 지금이나 학자들은 다방면에서 비유에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진지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는 비유 해석의 두 가지 측면이 있다. 그것은 비유의 문화적인 정황과 문학적인 구조다. 우리 주님의 비유에 반영된 문화는 1세기 팔레스타인의 문화다. 비유와 관련해서 팔레스타인의 정경(scene)과 같은 외적인 측면들은 정확히 분석되어 온 반면에, 사람들과의 관계 및 사고방식과 같은 내적인 측면들은 부정확하게 이해되었다. 누가복음 비유 중에서 중요한 네 가지 비유 이해에 유용한 정보를 주는 동양 문화를 좀 더 정확히 묘사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과제다. 두 번째 측면은 문학적인 구조와 관련이 있다. 비유의 문학적인 구조는 다른 것보다 비교적 덜 주목을 받아 왔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 책에서 선정한 네 가지 비유의 저변에 깔려 있는 문화를 재검토하고 그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그 비유들의 신학을 제시하려고 한다. _ <제1장 문제와 과제> 중에서
다섯 번째 선택은 절망하는 것이다. 이렇게 반응하는 데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첫째는 시간적인 괴리와 관련된 문제다. 우리는 예수님 당시 팔레스타인 농부들의 세계에서 2000년이나 떨어져 있다. 둘째는 거리와 관련된 문제다. 우리는 서양에 살고 있고, 예수님과 그의 청중은 동양인들(팔레스타인에 살았던 사람들)이다. 서양 세계의 주석가들은 그 공간을 “넘고” 시간을 “거슬러” 당대의 공간으로 들어가야 한다. 정보는 얼마 안 되는데도 논의는 계속 진행되고, 과거로 돌아가는 길은 너무 좁다. 팔레스타인 정황에서의 비유의 원래 의미는 상실될 수밖에 없었다고들 한다.
그러나 비유 본문 이해에 정보를 제공하는 동양의 문화는 상당히 체계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결론이다. 1세기 문화 회복 작업을 우리는 “동양식 주해”(Oriental exegesis)라고 부를 것이다. _ <제2장 방법론 (1): 문화적인 문제> 중에서
많은 주석가들은 불의한 청지기 비유(눅 16:1-8)야말로 공관복음서의 모든 비유 중에서도 가장 난해한 비유라고 입을 모은다. 이 비유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토레이는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요약했다. “이 본문[눅 16:8-9]은 악과 타협하는 듯이 보이는 분, 곧 새로운 예수님을 우리 앞에 세운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저급하다고 인정되는 삶의 표준을 독려하면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돈을 이용하여 친구를 사귀라’라고 하시며, 철저하게 이기적인 데 관심 있는 사람을 두둔하는 말씀을 주셨다. 이것은 약과다. 최악은 예수님이 자신이 맡은 다른 사람의 재산을 이용해 제 잇속을 차리며 약삭빠르게 행동한 불한당 이야기를 가르침의 기본으로 삼은 후에 제자들에게 ‘이것을 너희 모델로 삼으라.’라고 말씀하신 듯이 보인다는 것이다.” _ <제5장 누가복음 16:1-13 주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