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공황 2.0

대공황 2.0

(수퍼버블의 붕괴)

아사쿠라 케이 (지은이), 김웅철 (옮긴이)
매일경제신문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공황 2.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공황 2.0 (수퍼버블의 붕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4425647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09-03-31

책 소개

일본에서 경제·금융 애널리스트로 활동하며 만들었던 리먼, 베어스턴스 몰락 등 경제리포트의 예측이 착착 맞아떨어지면서 유명세를 타게 된, 일명 일본의 미네르바 '아사쿠라 케이'가 세계적인 수퍼버블의 붕괴를 경고하며 대공황을 예고한다. 리먼브라더스, AIG, GM 위기와 몰락, 그 내막을 파헤친다.

목차

제1장 세계는 이제껏 경험치 못한 대공황에 돌입하고 있다
세계 경제의 대혼란은 앞으로 더 참혹한 사태로 발전한다
대량살상무기로 변한 파생상품, 전문가들조차 눈치 채지 못했다
CDS마저 무너지면 세계는 파멸할 수밖에 없다
AIG 파산, CDS 거액손실이 치명상이 됐다
서브프라임 문제는 봄날 공원에서 산책하는 수준이다
중앙은행은 전지전능해 모든 것을 해결해준다?
기업파산은 물론 전 세계에서 연쇄 국가파산이 시작됐다
FRB의 자산 부실화는 언제 달러폭락의 방아쇠를 당길 것인가
시가회계 포기는 SIV라는 시한폭탄을 은폐하기 위한 것이다
시가회계 동결, 예금전액보호 조치만으로는 어찌 해볼 도리가 없다
경상(輕傷)이라는 일본 금융기관도 앞으로 심각한 사태를 맞이한다
대마불사(大馬不死)에서 대마불구(大馬不救)의 시대로
미국정부가 씨티그룹에 막대한 지원을 한 속사정은?
기세등등 브릭스(BRICs), 어느새 브릭스(Bricks, 자갈)가 돼간다
10년 전 일본의 대증요법을 답습하는 미 금융당국
세계 1위 GM은 왜 도산직전까지 몰렸을까
헤지펀드의 종언이 다가오고 있다
왜 영국은 전례 없는 초저금리 조치를 취해야 했을까

제2장 수퍼버블의 붕괴는 더 이상 누구도 막을 수 없다
임시처방만 반복한 폴슨 재무장관의 죄와 벌
이제는 더 이상 피할 수 없게 된 아마겟돈 시나리오
임시변통의 해결로 끝난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의 구제책
막다른 골목에 들어간 미 정부 정책
리먼 쇼크가 금융공황에 불을 붙였다
리먼브라더스는 파산하도록 내버려뒀으면서 왜 AIG는 구제했을까
미국의 대응이 빠른 게 아니고, 위기의 진행속도가 빨랐던 것이다
부실채권 매입은 문제의 해결책이 아니다
엄청난 양의 공적자금 투입이 약발이 안 먹히는 이유
버블 붕괴의 진원지, 미국 주택가격은 롤러코스트처럼 급락한다
오바마는 비극의 대통령이 될 수밖에 없다

제3장 자본주의의 붕괴는 지금부터다
<임종의 자본주의> 예언은 적중했다
LTCM은 파생상품 붕괴의 예언자였다
엔론, 스스로 만든 버블에 빠져 들었다
헤지펀드와 SIV는 은행의 별동대였다
LTCM 파산은 이번 금융위기를 예언했다
로봇의 반란으로 대혼란에 빠진 금융시장
트랙킹 에러를 일으킨 로봇 트레이딩
세계의 돈이 쇄도하는 상품선물, 인덱스펀드시장을 교란하고 있다
9·11테러는 21세기 세계에 대한 메시지였다
그루지야 문제는 심각한 대립시대의 전조다
세계는 2대 세력이 격돌하는 시대에 돌입했다
임종의 고통에 신음하는 자본주의

제4장 일본은 세계와 함께 침몰하는가
54년 만에 발생한 2가지 대 사건
미쓰비시UFJ의 어이없는 모건스탠리 출자
투자은행이라는 비즈니스모델은 붕괴의 길을 걷고 있다
무모한 투자 직후 증자에 나서는 뻔뻔한 대형은행들
CDO는 휴지조각이 되고 있다
일본 금융기관의 막대한 손실이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주가대폭락 속에서도 홀로 엄청난 돈을 버는 헤지펀드가 있다
계속되는 엔고행진은 앤캐리 자금의 유턴 때문이다
급속한 경기악화로 실업이 폭발적으로 늘어간다
모든 경제지표가 대불황을 증명하고 있다
국가파산의 물결이 밀려오는데 한가하기만 한 사람들
이미 세계는 대공황을 초월하는 영역으로 들어섰다

제5장 대공황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시장을 읽는 감이 없으면 손해만 본다
낙관론에 목 매는 것은 스스로 자기 발목을 잡는 것이다
58조 달러 규모의 CDS문제가 터지는 것은 지금부터다
역사적인 대폭락은 큰 투자기회다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생존법은 달라진다
보험에 든다는 생각으로 베어마켓펀드도 눈여겨보자
투자와 인연이 없다면 현금을 보유하면서 생필품을 사둬라
서로 돕고, 공존 공생하는 길을 모색하라

저자소개

아사쿠라 케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메이지대학교 정치?경제학부를 졸업했다. 증권회사에서 3년간 경험을 쌓은 후 독립하여 현재 일본에서 경제·금융 애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고객들에게 발행하는 경제리포트의 예측들이 최근 수년간 잇따라 맞아떨어지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일본 최고의 경제컨설턴트 후나이 유키오(船井幸雄)가 자신의 저서에서 아사쿠라를 ‘당대 초특급 프로 애널리스트 K’라고 소개하면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펼치기
김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상명대에서 ‘액티브 시니어의 지역 참여 활성화’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게이오대 경제학부에서 연구원 자격으로 수학했다. 1995년 매일경제신문 기자로 입사해 도쿄 특파원, 국제부장, 매경미디어그룹 계열사 ㈜매경비즈 대표를 역임했다. 현재 경제방송 EBC 대표로 일하며 고령화가 몰고 올 사회 변화와 ‘젊은 노인’들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초고령사회 일본에서 길을 찾다》 《연금밖에 없다던 김부장은 어떻게 노후 걱정이 없어졌을까》 《일본어 회화 무작정 따라하기》, 번역서로는 《대과잉 시대가 온다》 《2014년 일본파산》 《대공황 2.0》 등이 있다. 서울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 도쿄 어학연수를 시작으로 일본 대학 연구원, 언론사 특파원과 국제부장, 일본 고령화 문제 저자로 지금까지 일본과 인연을 이어 오고 있다. 스스로 ‘일본통通’이라고 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고 말하지만,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그의 곁에 항상 일본이 있었던 건 분명하다. 2011년 ‘은퇴 매거진’ 창간을 준비하던 한 금융회사로부터 일본의 고령사회에 관한 칼럼을 요청받았다. ‘한국의 고령화 양상도 일본과 비슷할 것이고, 그런 만큼 일본은 좋은 참고서’일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그의 역할은 우리보다 약 10년 앞서 대량 은퇴와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것이었고, 일본 도쿄에서 특파원 생활을 했던 경험을 살려 칼럼을 쓰기 시작했다. 이 책은 그로부터 10년 넘게 이어온 일본 고령화에 관한 연구와 관심의 결과물이다. 초고령화라는 인류 미증유의 상황에 직면한 일본 정부와 기업, 개인의 대응 경험이 이 책에 담겨 있다. 한국에도 타산지석이 될 것이라 감히 여긴다.
펼치기

책속에서

2008년 3월 베어스턴스를 구제한 폴슨 재무장관은 당시 몇 번이고 “금융위기는 끝났다”고 말했다. 실제로 각국의 주식시장도, 2008년 3월 17일 베어스턴스에 대한 구제금융을 계기로 V자형 반전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8년 3월 시점에서는 자산유동화상품의 투매가 멈추질 않았다. 결산기를 앞두고 이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되는 한편, 이대로는 자산유동화상품의 유동성이 막혀 대부분이 투매로 인한 가격폭락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연말까지도 갈 필요도 없이 금융시장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 제1의 피해자가 베어스턴스라고 말할 수 있다.
FRB는 TSLF에 의해 증권화 상품의 투매에서 비롯될 대혼란을 봉합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문제해결을 뒤로 미루는 미봉책이었다. FRB는 1개월짜리 증권화상품을 인수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새로운 문제가 계속 발생할 것이고 혼란은 더 심화될 것이다. - 제2장: '임시처방만 반복한 폴슨 재무장관의 죄와 벌' 중에서


CDS시장에 투명성을 부여한다면 CDS시장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게 되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이 거액의 CDS시장의 손실은 경기악화로 인해 계속 부풀어 오르고 있다. 더구나 CDS상품을 인수했던 헤지펀드들의 자산가치다 1조 8,000억 달러임을 감안할 때, 이들에게는 결제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지만 대출대상 원금만 약 58조 달러다. 세계 1위의 보험회사인 AIG가 겨우 국가의 힘을 빌어 결제불능을 모면할 정도인데, 어떻게 사기업인 헤지펀드가 그 거액을 결제할 수 있겠는가. 헤지펀드가 CDS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60%가 넘는다. 더구나 2005년 철수한 AIG와 달리 그 이후(2005년 이후)에도 헤지펀드는 CDS 거래를 계속했다. 손실은 천문학적인 규모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지금 이 괴물의 실체를 밝히는 것은 불가능하다. 실체를 드러내는 순간 금융시장은 물론 중앙은행, 국가까지도 파탄을 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제1장: 'AIG 파산, CDS 거액손실이 치명상이 됐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