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교경 연구

유교경 연구

(불유교경론소절요(佛遺敎經論疏節要)에 나타난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

운서주굉, 진수정원 (지은이), 효관 (옮긴이), 지안 (감수)
불광출판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교경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교경 연구 (불유교경론소절요(佛遺敎經論疏節要)에 나타난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479640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1-02-14

책 소개

<유교경 연구>에서 사용한 판본은 <대정신수대장경>에 수록된 본으로 이 판본에는 진수정원의 <논소절요>에 명나라 운서주굉의 보주가 첨부된 본이다. 운서주굉의 보주는 진수정원의 절요에서 미비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더욱 온전한 <논소절요>가 되도록 일조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분명치 않은 과목을 자세히 정리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4
일러두기 …12
해제 …14
1 불수반열반략설교계경 …17
1. 구마라집 …17
2. 중국 찬술의 의심 …19
3. 교판의 어려움 …24
4. 구성과 편찬 의도 …25
5. 주석서 …27
2 불유교경론소절요 …28
1. 전해진 시기 …28
2. 진수정원 …29
3. 운서주굉 …32
4. 내용의 개요 …34
5. 인용된 경론과 저서 …37

Ⅰ. 불수반열반략설교계경佛垂般涅槃略說?誡經
1. 구시나라로 향하는 마지막 여정 …42
2. 불수반열반략설교계경 …45
3. 입멸과정 및 그 후의 상황 …68
Ⅱ. 불유교경론소절요佛遺?經論疏節要
○ 총체적으로 경의 뜻을 서술하다 …73
○ 따로 경문을 풀이하다 …77
一. 경의 제목을 풀이하다 …78
二. 번역자를 드러내다 …83
三. 경문의 뜻을 풀이하다 …87

1장 ·서분 序分
1. 법사성취필경공덕(法師成就畢竟功德) …88
2. 개법문성취필경공덕(開法門成就畢竟功德) …90
3. 제자성취필경공덕(弟子成就畢竟功德) …92
4. 대총상성취필경공덕(大總相成就畢竟功德) …93
5. 인과자상성취필경공덕(因果自相成就畢竟功德)
…94
6. 분별총상성취필경공덕(分別總相成就畢竟功德)
…98

2장 ·수습세간공덕분 修習世間功德分
1. 대치사업공덕(對治邪業功德) …100
1) 의근본청정계(依根本?淨戒) …100
2) 방편원리청정계(方便遠離?淨戒) …105
3) 결시이계능생정혜(結示二戒能生定慧) …128
4) 별신오권수계이익(別伸五勸修戒利益) …131
2. 대치수습지고공덕(對治修習止苦功德) …133
1) 근욕방일고대치(根欲放逸苦對治) …133
2) 다식고대치(多食苦對治) …152
3) 해태수면고대치(懈怠睡眠苦對治) …157
3. 대치수습멸번뇌공덕(對治修習滅煩惱功德) …171
1) 대치진애번뇌(對治瞋?煩惱) …171
2) 대치공고번뇌(對治貢高煩惱) …185
3) 대치첨곡번뇌(對治諂曲煩惱) …190

3장 ·성취출세간대인공덕분 成就出世間大人功德分
1. 무구공덕(無求功德) …194
1) 지각장상(知覺障相) …194
2) 지각치상(知覺治相) …195
3) 지각인과습기상(知覺因果習起相) …196
4) 지각무제장필경상(知覺無諸障畢竟相) …197
5) 지각필경성취상(知覺畢竟成就相) …198
2. 지족공덕(知足功德) …200
1) 대치고인과(對治苦因果) …200
2) 부설청정인과(復說?淨因果) …201
3) 시현삼종차별(示現三種差別) …202
3. 원리공덕(遠離功德) …206
1) 자성원리문체출고(自性遠離門體出故) …206
2) 수습원리문방편출고(修習遠離門方便出故) …209
3) 수용제견문상박고(受用諸見門常縛故) …211
4. 불피권공덕(不疲倦功德) …214
1) 취법문명불퇴(就法門明不退) …214
2) 약유현정태(約?顯精怠) …215
5. 불망념공덕(不忘念功德) …219
1) 명불망(明不忘) …219
2) 변권수(辯勸修) …222
3) 시득실(示得失) …223
6. 선정공덕(禪定功德) …225
1) 명정(明定) …225
2) 권수(勸修) …227
3) 시익(示益) …229
7. 지혜공덕(智慧功德) …232
1) 정명지혜파장(正明智慧破障) …232
2) 유현사종공덕(?顯四種功德) …236
8. 구경공덕(究竟功德) …241
1) 정명희론(正明?論) …241
2) 권수원리(勸修遠離) …243

4장 ·현시필경심심공덕분 顯示畢竟甚深功德分
1. 약명(略明) …246
1) 보살상수공덕(菩薩常修功德) …246
2) 여래설법공덕(如來說法功德) …247
2. 광석(廣釋) …248
1) 상수공덕(常修功德) …248
2) 설법공덕(說法功德) …250

5장 ·현시입증결정분 顯示入證決定分
1. 방편현발문(方便顯發門) …252
2. 법륜성취문(法輪成就門) …254
3. 분별공덕문(分別功德門) …256
1) 경가서(經家?) …256
2) 정분별(正分別) …257

6장 ·분별미입상상증위단의분 ㅍ
分別未入上上證?斷疑分
1. 현시미입상상법(顯示未入上上法) …262
1) 약미판(約未辦) …262
2) 약이판(約已辦) …265
2. 위단피피의(?斷彼彼疑) …267
1) 경가서(經家?) …267
2) 정의단(正斷疑) …268
3. 중설유위무상상(重說有?無常相) …275
1) 정시유위(正示有?) …275
2) 인기작증(引己作證) …277

7장 ·이종종자성청정무아분
離種種自性?淨無我分
1. 대치자성장(對治自性障) …280
1) 정명보혜(正明實慧) …280
2) 권근수습(勸勤修習) …281
3) 삼계무상(三界無常) …282
2. 명청정무아(明?淨無我) …283
1) 권지삼업(勸止三業) …283
2) 시장귀멸(示將歸滅) …285
3) 정현유훈(正顯遺訓) …286
부록
대각국사(大覺國師) 강유교경발사(講遣敎經發辭) …294
대각국사(大覺國師) 유교경파강사(遺敎經罷講辭) …296
진수정원(晋水淨源) 서간문(書簡文) …299
운서주굉(雲棲?宏) 수필(隨筆) …306
우익지욱(藕益智旭) 발문(跋文) …309
당(唐) 태종(太宗) 불유교경(佛遺敎經) 시행칙(施行勅)
…311

참고문헌 …314
마무리 지으며 …316

『불유교경론소절요』 과도표

저자소개

운서주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님의 이름은 주굉(株宏), 스님의 이름은 주굉(?宏), 자는 불혜(佛慧), 호는 연지(蓮池)다. 명나라 가정(嘉靖) 14년(1535)에 고항 인화현에서 태어나 서른한 살 때 무문성천(無門性天)에게 출가하였고 소암덕보(笑巖德寶)의 법을 이었다. 마흔네 살 때 항주 운서산 복호사 옛터에 총림을 이루니 스님의 교화도량인 운서사다. 스님의 교화 방편은 선학을 창도하고 계율을 부활했으며 정토법을 제창하고 살생을 금하고 방생을 권장하였다. 만력 43년(1615)에 돌아가니 세수는 81, 법랍은 50이었다. 청나라 옹정 때 세종이 정묘진수(淨妙眞修)라는 시호를 내리고 법어집이 어선어록(御選語錄)에 편입되어 돌아가신 후에 성광(聖光)이 더욱 빛났다.
펼치기
진수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북송(北宋) 시대의 화엄종 스님으로 자는 백장(伯長), 호는 잠수(潛?)이다. 선대가 진수 출신이었으므로 진수 사문(晉水沙門)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화엄종의 종장이라 하여 의룡(義龍)으로 추대되었다. 화엄종에서는 규봉종밀(圭峰宗蜜) 이후의 장수자선(長水子璿)과 진수정원(晋水淨源)을 이수(二水)라고 일컫기도 한다. 전주의 청량사(淸凉寺), 소주의 보은관음원(報恩觀音院), 항주의 대중상부사(對中祥符寺) 등을 거쳐 마지막에는 항주의 혜인사(慧因寺)에 주석하였다. 이 혜인사에서 고려에서 유학 온 대각 국사 의천(義天)에게 강론하였다. 이곳에는 대각 국사를 모신 왕자전이 있는데, 고려로 돌아간 대각 국사가 금서(金書) 『화엄경』 등의 많은 경전과 금전을 보시하여 화엄종 도량으로서의 면모를 다시 갖출 수 있도록 도왔기 때문이다. 또한 『불유교경론소절요』는 대각 국사를 통해 우리나라에 처음 전해졌다. 저서로 『화엄보현행원수증의(華嚴普賢行願修證儀)』, 『원각도량약본수증의(圓覺道場略本修證儀)』, 『수능엄단량수증의(首楞嚴壇場修證儀)』, 『화엄경소주(華嚴經疏注)』, 『화엄망진환원관보해(華嚴妄盡還源觀補解)』, 『화엄원인론발미록(華嚴原人論發微錄)』, 『주인왕반야경(注仁王般若經)』, 『금사자장운간류해(金獅子章雲間類解)』, 『법화집의통요(法華集義統要)』 등이 있다.
펼치기
효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직지사로 출가하여 동암정우 스님을 은사로, 보성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법주사 승가대학, 실상사 화엄학림에서 경론을 수학하였고, 여러 해 동안 제방선원에서 수행하다가 은해사 승가대학원에서 경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강사로 활동하면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정진하고 있다.
펼치기
지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생으로 1970년 통도사로 출가한 이후 승가 교육 기관인 전통강원에서 불교 경전을 공부했다. 오랫동안 교학을 연구하며 강원의 강주(講主)를 지내고 강사 양성 교육 기관인 조계종 종립 승가대학원장으로 재임했다. 승가 고시위원장을 지냈으며 역경에도 종사했다. 현재는 통도사 반야암에 머물고 있으며 반야불교문화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금강경 이야기》, 《대승기신론 신강》, 《선가귀감 강의》, 《선시산책》 등이 있고, 역서로는 《왕오천축국전》, 《금강경 강해》가 있으며, 산문집으로 《마음의 정원을 거닐다》, 《산사는 깊다》, 《학의 다리는 길고 오리 다리는 짧다》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⑶ 정명이계능생정혜(正明二戒能生定慧)

依因此戒하야 得生諸禪定과 及滅苦智慧니라
이 계율을 지킴으로 인하여 능히 모든 선정과 괴로움을 소멸하는 지혜를 낼 수 있다.

【節要】 依戒得生定慧者는 四禪八定이 由戒而生也니 戒出三塗하며 定出六欲하며 慧出三界할새 故로 滅苦果也니라

‘계율을 의지하여 능히 선정과 지혜를 낸다.’라는 것은 사선팔정(四禪八定)●153이 계율을 말미암아 일어난다는 뜻이다. 계율은 삼악도(三惡塗)●154를 벗어나게 하며, 선정은 육욕천(六欲天)●155을 벗어나게 하며, 지혜는 삼계(三界)를 벗어나게 하므로 괴로움의 과보를 소멸시키는 것이다.

【補註】 首楞嚴에 云하되 因戒生定하고 因定發慧라하니 正此意也니라 然이나 彼但說戒能生定하고 慧自從定而生이어니와 今則戒能生定하고 戒能生慧라 與彼稍別이로다 蓋贊戒之至也니라 四는 別伸五勸修戒利益이라

『능엄경』에 이르길, ‘계율을 인하여 선정이 생기고, 선정을 인하여 지혜가 발한다.’●156라고 하였으니 바로 이러한 뜻이다. 그러나 저기는 다만 계율이 능히 선정만을 내고 지혜는 선정으로부터 생긴다고 설하였지만, 지금은 계율이 능히 선정을 내고 계율이 능히 지혜를 낸다는 뜻이므로 저와는 조금 다름이 있다. 모두 계율을 찬탄하는 지극함이다. 네 번째, 계를 닦고 권하는 이익을 다섯 가지로 따로 펼친다.

●153 사선(四禪)은 색계천의 사선(四禪)이며, 팔정은 색계의 사선(四禪)과 무색계의 사무색정(四無色定)을 합한 것이다. 따라서 팔정(八定)에 사선이 포함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굳이 사선과 팔정을 나란히 이름한 것은 색계와 무색계를 상대한 것으로서 색계는 선(禪)이고 무색계는 정(定)이기 때문이다. 즉, 색계에는 정(定)과 혜(慧)가 균등하지만 무색계에는 다분히 정(定)이 많다. 『구사론』에 의하면, 색계 4선정과 무색계 4선정은 마음부수[尋·伺·喜·樂·心一境性·捨]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으나 다만 대상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밝히고 있다. ⑴ 색계사선(色界四禪)은 ① 초선(初禪), ② 이선(二禪), ③ 삼선(三禪), ④ 사선(四禪)이며, ⑵ 무색계사정(無色界四定)은 ① 공무변처정(空無邊處定), ② 식무변처정(識無邊處定), ③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④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이다.
●154 지옥[火塗], 아귀[刀塗], 축생[血塗]의 세계를 말한다.
●155 욕계 육천인 사왕천(四王天), 도리천(?利天), 야마천(夜摩天), 도솔천(兜率天), 화락천(化樂天),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을 말하는 것으로 이 하늘의 사람들은 모두 욕망이 있으므로 욕천(欲天)이라고 한다.
●156 『楞嚴經』(大正 19卷, p.131), 佛告阿難 汝常聞我毘奈耶中 宣說修行三決定義 所謂攝心?戒 因戒生定 因定發慧 是則名?三無漏學(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항상 내가 ‘계율 가운데 수행의 세 가지 결정된 뜻이 있으니, 이른바 마음을 거두는 것으로 계를 삼고, 계로 인하여 선정이 생기고, 선정으로 인하여 지혜가 드러난다고 선설함을 들었을 것이다. 이것이 곧 이름하여 세 가지 무루학이니라).

- 129~131쪽. 「불유교경론소절요」 중에서


나. 권근차(勸勤遮)

是故로 汝等은 當好制心하라

그러므로 너희들은 마땅히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한다.

【節要】 ?知五欲이 悉由心故로 故勸防制니라 瑞應經에 云하되 得一心則萬邪滅矣라 하니라

이미 오욕이 모두 마음에서 연유한 것임을 알았기 때문에, 따라서 잘 막아 다스리라고 권하신 것이다. 『서응경(瑞應經)』●183에 이르길, ‘일심(一心)을 얻으면 온갖 삿됨이 사라진다.’라고 하였다. ●184

【補註】 制有二니 事制는 則謹守根門하야 不令奔境이며 理制는 則根境本寂하야 念自不生이니라 三의 示障法에 三이니 初는 心性差別障이요 二는 輕動不調障이요 三은 失諸功德障이라 初의 心性差別障이라

다스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현상적인 다스림은 오근의 문을 굳게 지켜 경계에 이끌리지 않도록 삼가는 것이며, 이치적인 다스림은 근(根)과 경(境)이 본래 공적함을 알아차려 생각자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세 번째, 장애의 법을 보이는 것에 셋이니, 첫째는 심성을 차별하는 장애요[心性差別障], 둘째는 가벼이 움직여 조화롭지 못한 장애요[輕動不調障], 셋째는 모든 공덕을 유실하는 장애이다[失諸功德障]. 첫 번째, 심성을 차별하는 장애이다.

●183 『태자서응본기경(太子瑞應本起經)』을 약칭한 것으로 오나라의 지겸(支謙)이 번역하였다. 총 2권
으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 석존의 전신인 유동 보살(儒童菩薩)이 도솔천에 태어나서 성도하기까
지의 8상도(八相圖)와 부처님의 18불공법(十八不共法), 10력(十力), 4무소외(四無所畏)를 얻은
것, 5비구와 가섭을 교화한 일 등을 서술하고 있다.
●184 『瑞應經』(大正 3卷, p.475), 得一心者 則萬邪滅矣.

- 145쪽. 「불유교경론소절요」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