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선 쌍윳따 니까야

정선 쌍윳따 니까야

이중표 (지은이)
불광출판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100원 -10% 0원
1,950원
33,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7,300원 -10% 1360원 23,210원 >

책 이미지

정선 쌍윳따 니까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선 쌍윳따 니까야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4799175
· 쪽수 : 788쪽
· 출판일 : 2021-04-12

책 소개

한국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이중표 명예교수(전남대 철학과)의 『니까야』 번역 시리즈, 그 세 번째 『쌍윳따 니까야』가 출간됐다. 마음 작용의 원리를 밝히고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에 이르는 길에 관한 방대한 내용을 축약하여 한 권의 책으로 담았다.

목차

머리말

1 『게송품(偈頌品, Sagātha-Vagga)』
해제
제1 「천신(天神) 쌍윳따(Deva-Saṃyutta)」
제2 「천자(天子) 쌍윳따(Devaputta-Saṃyutta)」
제3 「꼬쌀라 쌍윳따(Kosala-Saṃyutta)」
제4 「마라 쌍윳따(Māra-Saṃyutta)」
제5 「비구니 쌍윳따(Bhikkhunī-Saṃyutta)」
제6 「범천(梵天) 쌍윳따(Brahma-Saṃyutta)」
제7 「바라문(婆羅門) 쌍윳따(Brāhmaṇa-Saṃyutta)」
제9 「숲 쌍윳따(Vana-Saṃyutta)」
제10 「야차(夜叉) 쌍윳따(Yakkha-Saṃyutta)」

2 『인연품(因緣品, Nidāna-Vagga)』
해제
제12 「인연(因緣) 쌍윳따(Nidāna-Saṃyutta)」
제13 「이해(理解) 쌍윳따(Abhisamaya-Saṃyutta)」
제14 「계(界) 쌍윳따(Dhātu-Saṃyutta)」
제15 「무시이래(無始以來) 쌍윳따(Anamatagga-Saṃyutta)」
제16 「깟싸빠 쌍윳따(Kassapa-Saṃyutta)」
제17 「재물과 공경 쌍윳따(Lābhasakkāra-Saṃyutta)」
제18 「라훌라 쌍윳따(Rāhula-Saṃyutta)」

3 『온품(蘊品, Khandha-Vagga)』
해제
제22 「온(蘊) 쌍윳따(Khandha-Saṃyutta)」
제23 「라다 쌍윳따(Rādha-Saṃyutta)」
제24 「견해(見解) 쌍윳따(Diṭṭhi-Saṃyutta)」
제25 「들어감 쌍윳따(Okkantika-Saṃyutta)」
제26 「나타남 쌍윳따(Uppāda-Saṃyutta)」
제27 「더러운 때 쌍윳따(Kilesa-Saṃyutta)」
제28 「싸리뿟따 쌍윳따(Sāriputta-Saṃyutta)」

4 『입처품(入處品, Āyatana-Vagga)』
해제
제35 「6입처(六入處) 쌍윳따(Saḷāyatana-Saṃyutta)」
제36 「느낌[受] 쌍윳따(Vedanā-Saṃyutta)」
제42 「촌장(村長) 쌍윳따(Gāmaṇi-Saṃyutta)」
제43 「무위(無爲) 쌍윳따(Asaṅkhata-Saṃyutta)」

5 『대품(大品, Mahā-Vagga)』
해제
제45 「도(道) 쌍윳따(Magga-Saṃyutta)」
제46 「각지(覺支) 쌍윳따(Bojjhaṅga-Saṃyutta)」
제47 「염처(念處) 쌍윳따(Satipaṭṭhāna-Saṃyutta)」
제48 「근(根) 쌍윳따(Indriya-Saṃyutta)」
제56 「진리[諦] 쌍윳따(Sacca-Saṃyutta)」

저자소개

이중표 (편역)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 후 동 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위촉됐다.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소장, 범한철학회 회장,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불교 신행 단체인 ‘붓다나라’를 설립하여 포교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불경』, 『인간 붓다』, 『정선 디가 니까야』, 『정선 맛지마 니까야』, 『정선 쌍윳따 니까야』, 『정선 앙굿따라 니까야』, 『붓다의 철학』, 『니까야로 읽는 금강경』,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 『담마빠따』, 『숫따니빠따』, 『불교란 무엇인가』,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근본불교』, 『현대와 불교사상』 외 여러 책이 있으며, 역서로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불교와 양자역학』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쌍윳따 니까야』는 이렇게 천신들이 붓다의 깨달음을 찬탄하고 찬송하게 함으로써 이 세상에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선언하면서 시작된다. 천신들이 계속해서 출현하여 게송의 형식을 빌려 해탈의 의미를 천명하고, 삼보(三寶)를 찬탄한다. 이어서 천자(天子), 왕(王), 바라문(婆羅門), 마라, 범천, 야차, 제석천 등 당시 인도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각양각색의 인물과 신들이 등장하여 대화의 형식으로 당시의 종교 사상과 대비되는 불교의 특징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고행은 헛되이 몸만 괴롭힐 뿐이라는 것을 깨닫고 보리수 그늘에서 반야(般若)로 12연기를 통찰하여 깨달음을 성취한다. 머물지 않았다는 것은 현실에서 도피하여 선정 가운데 머물지 않았다는 것이고, 애쓰지 않았다는 것은 혼란스러울 뿐인 고행을 애써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붓다는 어떻게 열반을 성취했는가? 이 경은 붓다가 선정에 빠지지 않고, 고행을 버리고, 세간의 애착에서 벗어남으로써 열반을 성취했다고 이야기한다.


신들과 인간들이 이 세상이나 저세상에서
만약에 그렇게 해탈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면
선을 행한 사람들 가운데서 가장 훌륭한
그 사람을 존경하는 사람들은 칭찬받아 마땅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