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본 불교

근본 불교

(붓다의 원음)

이중표 (지은이)
불광출판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900원 -10% 590원 10,120원 >

책 이미지

근본 불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본 불교 (붓다의 원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74799540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21-11-12

책 소개

붓다의 원음, 모든 불교의 뿌리, ‘근본불교’를 말한 책이다. 불교의 원류를 찾아가는 길을 제시한다. 중도·연기·열반 등 불교 핵심 교리를 왜곡 없이 붓다의 원음으로 통찰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1장_근본불교란 무엇인가
1 근본불교는 소승불교가 아니다

2장_근본불교의 이해를 위한 기초
1 불교의 목적
2 인간의 근원적 괴로움
3 불교의 진리-4성제(四聖諦)
4 올바른 세계관-정견(正見)
5 붓다의 침묵과 중도(中道)

3장_붓다 당시의 사회와 사상
1 당시의 인도 사회
2 육사외도(六師外道)의 사상
3 자이나교의 사상

4장_근본불교의 중도설(中道說)
1 사견의 근원과 멸진
2 자작타작중도(自作他作中道)
3 단상중도(斷常中道)
4 일이중도(一異中道)
5 유무중도(有無中道)
6 고락중도(苦樂中道)
7 수정주의(修定主義)와 8정도(八正道)

5장_업설(業說)과 연기설(緣起說)
1 업보(業報)와 연기(緣起)
2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
3 무아(無我)와 업보(業報)
4 중생의 세계
5 업설(業說)과 연기설(緣起說)
6 삼종외도(三種外道) 비판
7 업보(業報)와 마음

6장_12입처(十二入處)
1 참된 나
2 거짓된 나
3 6입처(六入處)와 6근(六根)
4 6입처(六入處)와 6근(六根)의 관계

7장_18계(十八界)
1 18계(十八界)와 촉(觸)의 발생
2 식(識)과 명색(名色)
3 18계(十八界)와 6계(六界)

8장_5온(五蘊)
1 근본불교의 존재론적 입장
2 5온(五蘊)의 근원
3 5온(五蘊)의 발생과 성립
4 5온(五蘊)의 의미

9장_12연기(十二緣起)와 4성제(四聖諦)
1 유전문(流轉門)과 5온(五蘊)
2 환멸문(還滅門)과 8정도(八正道)
3 연기(緣起)의 의미

10장_열반(涅槃)의 세계
1 법(法)과 법계(法界)의 의미
2 중생의 5취온(五取蘊)과 여래의 5분법신(五分法身)
3 3독심(三毒心)과 보리심(菩提心)
4 무아(無我)와 열반(涅槃)

저자소개

이중표 (편역)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 후 동 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위촉됐다.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소장, 범한철학회 회장,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불교 신행 단체인 ‘붓다나라’를 설립하여 포교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불경』, 『인간 붓다』, 『정선 디가 니까야』, 『정선 맛지마 니까야』, 『정선 쌍윳따 니까야』, 『정선 앙굿따라 니까야』, 『붓다의 철학』, 『니까야로 읽는 금강경』,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 『담마빠따』, 『숫따니빠따』, 『불교란 무엇인가』,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 『근본불교』, 『현대와 불교사상』 외 여러 책이 있으며, 역서로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불교와 양자역학』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고익진 선생님의 연구는 일본 학자들의 연구와 크게 다른 특징을 지닌다. 일본 학자들은 12연기, 4성제, 8정도, 5온, 12처, 18계와 같은 개념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고익진 선생님은 붓다의 깨달음이 어떤 구조와 체계로 우리에게 설해지고 있는지에 주목했다. 즉, 12처, 18계, 5온, 12연기 등은 낱낱의 개별적인 교설이 아니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하나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근본불교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것이며, 이후 근본불교 연구에서 한국불교의 특징이 되었다.


예를 들면 ‘용은 청색인가 황색인가’라는 말은 용이 실재해야 의미 있는 말이 된다. 그러나 용은 실재하지 않으므로, 즉 의(義)에 상응하지 않으므로 이 말은 무의미하다. 붓다는 ‘세상은 영원한가, 영원하지 않은가’ 하는 문제를 마치 ‘용은 청색인가, 황색인가’라는 문제처럼 무의미한 말장난으로 본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4799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