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74799540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21-11-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_근본불교란 무엇인가
1 근본불교는 소승불교가 아니다
2장_근본불교의 이해를 위한 기초
1 불교의 목적
2 인간의 근원적 괴로움
3 불교의 진리-4성제(四聖諦)
4 올바른 세계관-정견(正見)
5 붓다의 침묵과 중도(中道)
3장_붓다 당시의 사회와 사상
1 당시의 인도 사회
2 육사외도(六師外道)의 사상
3 자이나교의 사상
4장_근본불교의 중도설(中道說)
1 사견의 근원과 멸진
2 자작타작중도(自作他作中道)
3 단상중도(斷常中道)
4 일이중도(一異中道)
5 유무중도(有無中道)
6 고락중도(苦樂中道)
7 수정주의(修定主義)와 8정도(八正道)
5장_업설(業說)과 연기설(緣起說)
1 업보(業報)와 연기(緣起)
2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
3 무아(無我)와 업보(業報)
4 중생의 세계
5 업설(業說)과 연기설(緣起說)
6 삼종외도(三種外道) 비판
7 업보(業報)와 마음
6장_12입처(十二入處)
1 참된 나
2 거짓된 나
3 6입처(六入處)와 6근(六根)
4 6입처(六入處)와 6근(六根)의 관계
7장_18계(十八界)
1 18계(十八界)와 촉(觸)의 발생
2 식(識)과 명색(名色)
3 18계(十八界)와 6계(六界)
8장_5온(五蘊)
1 근본불교의 존재론적 입장
2 5온(五蘊)의 근원
3 5온(五蘊)의 발생과 성립
4 5온(五蘊)의 의미
9장_12연기(十二緣起)와 4성제(四聖諦)
1 유전문(流轉門)과 5온(五蘊)
2 환멸문(還滅門)과 8정도(八正道)
3 연기(緣起)의 의미
10장_열반(涅槃)의 세계
1 법(法)과 법계(法界)의 의미
2 중생의 5취온(五取蘊)과 여래의 5분법신(五分法身)
3 3독심(三毒心)과 보리심(菩提心)
4 무아(無我)와 열반(涅槃)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익진 선생님의 연구는 일본 학자들의 연구와 크게 다른 특징을 지닌다. 일본 학자들은 12연기, 4성제, 8정도, 5온, 12처, 18계와 같은 개념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고익진 선생님은 붓다의 깨달음이 어떤 구조와 체계로 우리에게 설해지고 있는지에 주목했다. 즉, 12처, 18계, 5온, 12연기 등은 낱낱의 개별적인 교설이 아니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하나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근본불교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것이며, 이후 근본불교 연구에서 한국불교의 특징이 되었다.
예를 들면 ‘용은 청색인가 황색인가’라는 말은 용이 실재해야 의미 있는 말이 된다. 그러나 용은 실재하지 않으므로, 즉 의(義)에 상응하지 않으므로 이 말은 무의미하다. 붓다는 ‘세상은 영원한가, 영원하지 않은가’ 하는 문제를 마치 ‘용은 청색인가, 황색인가’라는 문제처럼 무의미한 말장난으로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