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75813528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08-09-05
목차
들어가기 전에
들어가는 말
「빨간모자」
어린 시절 총애동화와 공포동화
치료 사례
동화
해석의 가능성
도덕적 상부구조
순진한 희생양과 간교한 늑대
심층심리학적 해석
내담자의 이야기와 동화의 연관성
동화치료
「용감한 꼬마재단사」
동화
자의식과 과대망상
상징으로 풀어보기
동화치료
「눈의 여왕」
치료 방법
치료 사례
모티브들
동화
동화 글쓰기
동화 글쓰기의 의미
「사랑하는 로란트」
동화
만남 1
만남 2
적극적 상상과 그림그리기
만남 3
만남 4
만남 5
그룹치료 과정을 마치며
「흰 셔츠, 무거운 칼, 황금반지」
치료 사례 1
동화
유혹
전망
어머니와의 첫 대립
노인과의 첫 대결
공주와의 첫 만남
여관 주인
어머니, 노인, 왕자
사자굴 235
사자굴에서 빛의 세계로
위기 극복
홍옥
사자굴에 갇혀
해결
치료 사례 2
「불행한 공주님」
치료 사례
동화
치료 과정
운명 바꾸기
동화치료
적극적 상상
마무리글
번역을 마치며
책속에서
그림 동화 「사랑하는 로란트」는 그룹별 동화치료의 사례로 활용된다. 그룹별 동화치료는 동화의 세계를 일정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체험하도록 하고, 이를 통한 다양한 정신적 변화를 심리치료와 연계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동화에 나타나는 계모와 두 딸, 앞치마, 마술봉, 마술신, 오리, 호수, 가시울타리, 바이올린 연주, 길 가의 돌, 꽃, 양치기, 흰 천, 상자, 노래 등은 매우 익숙한 모티브이자 동화상들이다. 카스트는 그룹별 역할극과 적극적 상상, 동화 글쓰기 등으로 이러한 동화상을 통해 드러나는 문제의 심리적 짜임구조와 그 속에서 떠오르는 형상들이 인간의 보편적인 문제들과 결부되어 있고, 그것이 동화가 궁극적으로 제시하려는 의미구조와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적극적 상상이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아직 떠오르지 않는 내면의 상들을 환기시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떠오른 상들은 변화 가능하고, 독자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의 내적인 상들과 그 상들 속에 떠오르는 형상들은 보다 구체화된다. 적극적 상상을 통해 상상하는 내용에 추가요소가 덧붙여지며, 이를 통해 자아 인격체로서의 인간은 상상 속에서 나타나는 형상들과 관계를 맺게 된다. 그러는 가운데 형상들도 변화하고, 자아 콤플렉스도 변화한다. 정서나, 상태에 따른 분위기도 변화한다.
동화 다시쓰기는 그것 자체로 치료적 가치를 띤다. 동화 한 편을 쓰면서 우리는 우리의 판타지에 자유의 날개를 달아 마음껏 상상하면서, 어떤 형식에 이르게 된다. 마치 일상적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이 소망과 불안이 점점 더 분명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적극적 상상을 쓰는 과정에서 우리는 어떤 인물이나 또 다른 인물과 동일시하면서 그 인물에 친근감을 느끼거나 거리감을 둘 수 있다. 동화를 쓰는 과정에서 보편적 동화의 구조가 결정된다. 동화 글쓰기는 언제나 어떤 위급한 문제적 상황에서 출발하며, 이러한 문제를 풀기 위한 과정 가운데 실제적으로 놀라운 전회가 일어나며, 그리고 이러한 전회들은 궁극적으로 창조적 결말로 이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