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5814891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4-09-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사랑이란?
1. 사랑의 근원
2. 사랑의 본성
3. 사랑의 삼각형 이론(사랑의 3요소)
2장 사랑의 발달에 대한 이론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2.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
3. 반두라의 학습이론
4.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
5. 매슬로의의 욕구위계이론
3장 자기애와 개인의 욕구
1. 자기심리학
2. 개인의 욕구
4장 열등감과 자기사랑
1.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열등감 이론)
2. 자아존중감
3. 자기를 사랑하기
5장 사랑의 유형과 과정
1. 사랑의 6가지 유형
2. 이성관계의 시작, 발전 및 종결
6장 육체적 관계 및 동성애
1. 사랑과 육체적 관계
2. 동성애
7장 남녀 차이 및 사랑의 함정
1. 남녀의 차이
2. 사랑의 함정
8장 결혼의 이해
1. 결혼이란?
2. 결혼의 결정
3. 결혼생활
9장 부부갈등 및 해결
1. 부부갈등의 원인
2. 부부갈등의 해결
10장 가족 간 사랑
1. 가족의 의미 및 기능
2. 가족의 변화
3. 가족 문제
4. 가족 간 의사소통
11장 친구 간 사랑
1. 친구관계
2. 친구의 선택
3. 친구관계의 발전 및 해체
4. 대학생의 친구관계
12장 사제 간 사랑
1. 사제간 사랑의 부재
2. 선생님과 제자
13장 사랑의 확장
1. 사랑의 확장의 필요성
2. 인류애의 실천
3. 존재애
참고문헌
책속에서
사랑의 확장의 궁극적 귀결은 “존재에 대한 사랑”으로 귀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우리가 발 디디고 숨 쉬며 살아가는 공간인 지구는 인간 뿐 아니라 동식물과 미생물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존재들이 함께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다. Lovelock(1990)은 이러한 지구를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대지의 여신인 가이아(Gaia)라 칭하며, 지구는 생명계와 무생물계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도록 형성 및 조절하는 복잡한 유기체이자, 하나의 생명 실체라는 주장을 펼쳤다. 유기체적 관점 하에서, 모든 존재는 거대한 인과의 그물 하에서 상호 의존 및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인류는 지구의 지배자가 아닌 단지 그 그물망에 속한 무수히 많은 존재들 중 하나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