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어집주 비지 3

논어집주 비지 3

(현토 완역)

박상택 (지은이), 김경국 (옮긴이)
전남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어집주 비지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어집주 비지 3 (현토 완역)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75989964
· 쪽수 : 538쪽
· 출판일 : 2012-02-25

책 소개

『論語集註大全』의 소주(疎註)들을 집대성한 「原本 備旨」본을 국내 최초로 현토(懸吐)와 주석 작업을 한 학술저작이다. 중국 고문(고대산문) 전공자로서 기존의 국내 출판본은 물론, 중국의 역대 주해서들을 널리 참조하였다.

목차

[1권]
<論語> 解題
1. 四書에 대하여
2. <論語>의 由來
3. <論語>의 釋名
4. <論語>의 編者
5. <論語>의 註釋書

論語集註 序說

論語集註
學而 第一
爲政 第二
八佾 第三
里仁 第四
公冶長 第五

부록1. 공자주유열국도(孔子周遊列國圖)
부록2. 孔子年表
색인

[2권]
論語集註
雍也 第六
述而 第七
泰伯 第八
子罕 第九
鄕黨 第十

부록1. 孔子世系表
부록2. 索引

[3권]
論語集註
先進 第十一 19
[11ㆍ1]
子曰 先進이 於禮樂에 野人也요 21
[11ㆍ2]
子曰 從我於陳蔡者ㅣ皆不及門也로다 25
[11ㆍ3]
子曰 回也는 非助我者也로다 29
[11ㆍ4]
子曰 孝哉라 閔子騫이여 31
[11ㆍ5]
南容이 三復白圭어늘 33
[11ㆍ6]
季康子ㅣ問 弟子ㅣ孰爲好學이니잇고 35
[11ㆍ7]
顔淵이 死커늘 顔路ㅣ請子之車하여 以爲之槨한대 37
[11ㆍ8]
顔淵이 死커늘 41
[11ㆍ9]
顔淵이 死커늘 子ㅣ哭之慟하신대 42
[11ㆍ10]
顔淵이 死커늘 門人이 欲厚葬之한대 46
[11ㆍ11]
季路ㅣ問事鬼神한대 49
[11ㆍ12]
閔子는 侍側에 誾誾如也하고 53
[11ㆍ13]
魯人爲長府어늘 56
[11ㆍ14]
子曰 由之瑟을 奚爲於丘之門고 60
[11ㆍ15]
子貢이 問師與商也孰賢이니잇고 64
[11ㆍ16]
季氏ㅣ富於周公이어늘 69
[11ㆍ17]
柴也는 愚하고 73
[11ㆍ18]
子曰 回也는 其庶乎요 屢空이니라 79
[11ㆍ19]
子張이 問善人之道한대 83
[11ㆍ20]
子曰 論篤을 是與면 君子者乎아 色莊者乎아 85
[11ㆍ21]
子路ㅣ問 聞斯行諸잇가 87
[11ㆍ22]
子ㅣ畏於匡하실새 顔淵ㅣ後러니 92
[11ㆍ23]
季子然이 問仲由?求는 可謂大臣與잇가 95
[11ㆍ24]
子路ㅣ使子羔爲費宰한대 103
[11ㆍ25]
子路 曾晳 ?有 公西華ㅣ侍坐러니 110

顔淵 第十二 137
[12ㆍ1]
顔淵이 問仁한대 138
[12ㆍ2]
仲弓이 問仁한대 149
[12ㆍ3]
司馬牛ㅣ問仁한대 153
[12ㆍ4]
司馬牛ㅣ問君子한대 158
[12ㆍ5]
司馬牛ㅣ憂曰 人皆有兄弟어늘 我獨亡로다 162
[12ㆍ6]
子張ㅣ問明한대 168
[12ㆍ7]
子貢이 問政한대 172
[12ㆍ8]
棘子成曰 君子는 質而已矣니 何以文爲리오 179
[12ㆍ9]
哀公이 問於有若曰 年饑用不足하니 如之何오 184
[12ㆍ10]
子張이 問崇德辨惑한대 191
[12ㆍ11]
齊景公이 問政於孔子한대 196
[12ㆍ12]
子曰 片言에 可以折獄者는 其由也與인저 202
[12ㆍ13]
子曰 聽訟이 吾猶人也나 必也使無訟乎인저 206
[12ㆍ14]
子張問政한대 208
[12ㆍ15]
子曰 博學於文이요 約之以禮면 亦可以弗畔矣夫인저 210
[12ㆍ16]
子曰 君子는 成人之美하고 不成人之惡하나니 211
[12ㆍ17]
季康子ㅣ問政於孔子한대 213
[12ㆍ18]
季康子ㅣ患盜하여 問於孔子한대 215
[12ㆍ19]
季康子ㅣ問政於孔子曰 如殺無道하여 以就有道인댄
何如하니잇고 217
[12ㆍ20]
子張ㅣ問 士ㅣ何如라야 斯可謂之達矣니잇고 220
[12ㆍ21]
樊遲ㅣ從遊於舞雩之下러니 230
[12ㆍ22]
樊遲問仁한대 236
[12ㆍ23]
子貢ㅣ問友한대 246
[12ㆍ24]
曾子曰 君子는 以文會友하고 以友輔仁이니라 248

子路 第十三 251
[13ㆍ1]
子路問政한대 252
[13ㆍ2]
仲弓이 爲季氏宰라 問政한대 256
[13ㆍ3]
子路曰 衛君이 待子而爲政하나니 261
[13ㆍ4]
樊遲ㅣ請學稼한대 274
[13ㆍ5]
子曰 誦詩三百하되 授之以政에 不達하며 281
[13ㆍ6]
子曰 其身이 正이면 不令而行하고 284
[13ㆍ7]
子曰 魯衛之政이 兄弟也로다 286
[13ㆍ8]
子ㅣ謂衛公子荊하사되 善居室이로다 287
[13ㆍ9]
子ㅣ適衛하실새 ?有僕이러니 290
[13ㆍ10]
子曰 苟有用我者면 朞月而已라도 可也니 297
[13ㆍ11]
子曰 善人이 爲邦百年이면 亦可以勝殘去殺矣라 하니 299
[13ㆍ12]
子曰 如有王者라도 必世而後仁이니라 301
[13ㆍ13]
子曰 苟正其身矣면 於從政乎에 何有며 304
[13ㆍ14]
?子ㅣ退朝어늘 305
[13ㆍ15]
定公이 問一言而可以興邦이라 하나니 有諸잇가 309
[13ㆍ16]
葉公이 問政한대 318
[13ㆍ17]
子夏ㅣ爲?父宰라 問政한대 321
[13ㆍ18]
葉公이 語孔子曰 吾黨에 有直躬者하니 324
[13ㆍ19]
樊遲ㅣ問仁한대 328
[13ㆍ20]
子貢이 問曰 何如라야 斯可謂之士矣잇고 331
[13ㆍ21]
子曰 不得中行而與之인댄 必也狂?乎인저 338
[13ㆍ22]
子曰 南人이 有言曰 人而無恒이면 不可以作巫醫라 하니 善夫라 342
[13ㆍ23]
子曰 君子는 和而不同하고 小人은 同而不和니라 346
[13ㆍ24]
子貢이 問曰 鄕人이 皆好之면 何如잇고 348
[13ㆍ25]
子曰 君子는 易事而難說也니 351
[13ㆍ26]
子曰 君子는 泰而不驕하고 小人은 驕而不泰니라 354
[13ㆍ27]
子曰 剛毅木訥이 近仁이니라 356
[13ㆍ28]
子路ㅣ問曰 何如라야 斯可謂之士矣니잇고 358
[13ㆍ29]
子曰 善人이 敎民七年이면 亦可以卽戎矣니라 361
[13ㆍ30]
子曰 以不敎民戰이면 是謂棄之니라 363

憲問 第十四 367
[14ㆍ1]
憲이 問恥한대 子曰 邦有道에 穀하며 368
[14ㆍ2]
克伐怨欲을 不行焉이면 可以爲仁矣잇가 371
[14ㆍ3]
子曰 士而懷居면 不足以爲士矣니라 375
[14ㆍ4]
子曰 邦有道엔 危言危行하고 376
[14ㆍ5]
子曰 有德者는 必有言이어니와 379
[14ㆍ6]
南宮适이 問於孔子曰 ?는 善射하고 ?는 ?舟하되 381
[14ㆍ7]
子曰 君子而不仁者는 有矣夫어니와 386
[14ㆍ8]
子曰 愛之인댄 能勿勞乎아 387
[14ㆍ9]
子曰 爲命에 裨諶이 草創之하고 390
[14ㆍ10]
或이 問子産한대 子曰 惠人也니라 394
[14ㆍ11]
子曰 貧而無怨은 難하고 富而無驕는 易하니라 400
[14ㆍ12]
子曰 孟公綽이 爲趙魏老則優어니와 401
[14ㆍ13]
子路ㅣ問成人한대 404
[14ㆍ14]
子ㅣ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411
[14ㆍ15]
子曰 臧武仲이 以防으로 求爲後於魯하니 415
[14ㆍ16]
子曰 晉文公은 譎而不正하고 齊桓公은 正而不譎하니라 418
[14ㆍ17]
子路曰 桓公이 殺公子糾하야늘 422
[14ㆍ18]
子貢이 曰管仲은 非仁者與인저 426
[14ㆍ19]
公叔文子之臣大夫?이 與文子로 同升諸公이러니 433
[14ㆍ20]
子ㅣ言衛靈公之無道也러시니 436
[14ㆍ21]
子曰 其言之不?이면 則爲之也難하니라 440
[14ㆍ22]
陳成子ㅣ弑簡公이어늘 442
[14ㆍ23]
子路ㅣ問事君한대 子曰 勿欺也요 而犯之니라 450
[14ㆍ24]
子曰 君子는 上達하고 小人은 下達이니라 453
[14ㆍ25]
子曰 古之學者는 爲己러니 今之學者는 爲人이로다 454
[14ㆍ26]
?伯玉이 使人於孔子어늘 456
[14ㆍ27]
子曰 不在其位하여는 不謀其政이니라 461
[14ㆍ28]
曾子曰 君子는 思不出其位니라 462
[14ㆍ29]
子曰 君子는 恥其言而過其行이니라 464
[14ㆍ30]
子曰 君子道者ㅣ三에 我無能焉하니 466
[14ㆍ31]
子貢이 方人하더니 469
[14ㆍ32]
子曰 不患人之不己知요 患其不能也니라 471
[14ㆍ33]
子曰 不逆詐하며 不億不信이나 473
[14ㆍ34]
微生畝謂孔子曰 丘는 何爲是栖栖者與오 475
[14ㆍ35]
子曰 驥는 不稱其力이라 稱其德也니라 479
[14ㆍ36]
或曰 以德報怨이 何如하니잇고 481
[14ㆍ37]
子曰 莫我知也夫인저 486
[14ㆍ38]
公伯寮ㅣ?子路於季孫이어늘 491
[14ㆍ39]
子曰 賢者는 ?世하고 其次는 ?地하고 496
[14ㆍ40]
子曰 作者ㅣ七人矣로다 499
[14ㆍ41]
子路ㅣ宿於石門이러니 晨門曰 奚自오 501
[14ㆍ42]
子ㅣ擊磬於衛러시니 503
[14ㆍ43]
子張曰 書云 高宗이 諒陰三年不言이라 하니 509
[14ㆍ44]
子曰 上ㅣ好禮則民易使也니라 513
[14ㆍ45]
子路ㅣ問君子한대 子曰 脩己以敬이니라 516
[14ㆍ46]
原壤이 夷俟러니 521
[14ㆍ47]
闕黨童子ㅣ將命이어늘 或이 問之曰 益者與잇가 524

부록1. 孔子世系表 529
부록2. 索引 533

[4권]
論語集註
衛靈公 第十五 19
季氏 第十六 147
陽貨 第十七 229
微子 第十八 347
子張 第十九 417
堯曰 第二十 501

부록1. 孔子世系表 542
부록2. ≪史記ㆍ仲尼弟子列傳≫ 546
부록3. ≪孔子家語ㆍ七十二弟子解≫ 556
부록4. 索引 560

저자소개

박상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全南大學校 中語中文學科 卒 光州 古典講讀會에서 漢學硏究에 從事 現: 羅州 榮山浦高等學校 漢文敎師 現: (社)湖南古文獻硏究院 理事 저역서 ≪漢文春香傳解≫, ≪農巖集抄解≫, ≪晩翠集雜著解≫, ≪石田集≫,≪白坡集≫ ≪大學章句 備旨≫, ≪論語集註 備旨(Ⅰ)(Ⅱ)(Ⅲ)(Ⅳ)≫, ≪中庸章句 備旨≫, ≪孟子集註 備旨(Ⅰ)(Ⅱ)(Ⅲ)(Ⅳ)(Ⅴ)≫ 등 表紙題字 / 翠亭 任春植 개인전 4회, 초대전 5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서예부문 심사위원 및 심사위원장 역임 광주광역시 미술대전, 전라남도 미술대전 무등미술대전 운영위원및 심사위원 역임 현: 취정서예연구원장
펼치기
김경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全南大 中文科 卒 中國 北京大學 文學博士(中國古典散文) 全南大學校 中國學科 敎授 中國 安徽大學 兼職敎授 誠齋 奉奇鍾先生에게 師事 中國人文學會 會長 歷任 (社)湖南古文獻硏究院 理事長 歷任 (社)韓中言語文化院 理事長 저역서 ≪桐城派姚門五大弟子硏究≫(中), ≪桐城派與明淸學術硏究≫(中), ≪石田集 譯註≫, ≪大學章句備旨 譯註≫, ≪中庸章句備旨 譯註≫, ≪論語集註備旨 譯註(Ⅰ,Ⅱ,Ⅲ,Ⅳ)≫, ≪孟子集註備旨 譯註(Ⅰ,Ⅱ,Ⅲ,Ⅳ,Ⅴ,Ⅵ)≫,≪白坡集 譯註≫,≪答問類編 譯註(Ⅰ)≫, ≪中國, 中國文化≫, ≪中國古典名詩名文鑑賞≫ , ≪中國古典名詩鑑賞≫ 등 논문 <‘文心雕龍·風骨’篇義析論>, <方苞的思想與古文理論硏究>, <劉大櫆的思想與古文理論硏究>, <桐城派的集大成者-論姚鼐及其古文理論>, <論曾國藩的古文理論> 外 수십 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