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6042835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15-12-10
책 소개
목차
Story 1 외국인 노동자 이야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외국인 노동자의 이해 -012
대전 이주 외국인 무료 진료소 현황과 과제 -028
외국인 노동자들의 다양한 사연 -061
·
Story 2 결혼 이주 여성 이야기
문답으로 알아보는 결혼 이주 여성의 이해 -074
·
Story 3 다문화 레스토랑 ‘I’mAsia’ 이야기
다문화 레스토랑 ‘I’mAsia’ -116
‘I’mAsia’에서 판매 중인 아시안 푸드 이야기 -138
·
Story 4 다문화 가정 자녀 이야기
이웃 손길이 모여 탄생한 어린이 도서관 -146
다문화 사회를 위한 노력 -152
·
Story 5 다문화 사회 이해와 교육 과제
다문화 사회 이해와 현황 -164
다문화 사회 교육 과제 -172
·
Story 6 대전 이주 외국인 종합복지관 이야기
외국인 복지관 이야기 -180
·
Story 7 생활 속 다문화 이야기
우리 삶에 정착한 다문화 -192
세계와 다문화 -196
·
Story 8 다문화 정책 제언
다문화 선교 활성화 방안 -204
다문화 10대 정책 제언 -209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들이 자국에 돌아가서는 다양한 한국살이 경험을 소개하는 홍보대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에게 여러 가지 한국 문화를 경험할 기회를 주는 것은 국익에도 큰 보탬이 되는 일로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쳐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나와 다른 것을 인정하지 못하는 우리의 편협함은 지구촌 시대에 걸맞지 않을뿐더러 수준 높은 선진사회도 아닌 것이다.
‘I’mAsia’에서 꿈을 이루고 있는 이주 여성들은 요리 봉사단을 조직해 매달 소외 계층을 찾아가거나 식당으로 초대해 요리 봉사를 하고 있다. 자시들도 어려울 때 도움 받았던 것을 다시 나눔으로써 더 많은 해피 바이러스가 되기 위해서다. 나는 이것을 내국인과 외국인이 하나 되는 공생의 다문화 사회라고 부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