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76461117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00-09-30
책 소개
목차
[ 공자의 철학 ]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말
서론
제1장 공자의 생애와 예찬
제1절 생애
제2절 공자의 도
제3절 공자에 대한 예찬
제2장 공자의 문화적 공헌
제1절 내재적 인격 세계의 계발
제2절 보편적 인간 이념의 제시
제3절 교육과 학문하는 방법의 제시
제4절 문헌 정리와 재해석
제5절 도통의 재정립
제3장 공자 철학의 형성과 확대
제1절 이론 발생의 배경
제2절 이론 형성의 핵심
제3절 이론의 확대와 응용
제4장 인의 실질적 의미
제1절 "논어"에서 말하는 인의 형식적 고찰
제2절 인의 실천성
제3절 인을 실천하여 성인이 되는 방법
제4절 인의 진정한 의미
제5절 인의 기본 특성
제5장 인과 여러 가지 덕목
제1절 모든 덕목은 인에서 나온다
제2절 인과 오륜의 덕목
제3절 인과 입신처세의 덕
제4절 인과 외왕사공의 덕
제5절 인과 중도 및 광견의 덕
제6장 성과 천도
제1절 천명위성의 사상적 추이
제2절 성은 서로 비슷하다에서 성의 의미
제3절 성과 천도
제4절 지천명 및 천도에 대한 묵계
제7장 의와 명
제1절 "논어"에서 말하는 의의 의미
제2절 명의 두 가지 의미
제3절 의와 명은 하나이다
제8장 종교 . 의무 및 자아의 문제
제1절 원시 종교에 대한 공자의 태도
제2절 유가의 종교성
제3절 인륜의 도
제4절 자아 문제
제9장 공자의 제자와 그 유파
제1절 공자 문하의 제자들
제2절 증자가 도를 전한 것의 의미
제3절 공문의 유파
[ 맹자의 철학 ]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말
제1장 맹자의 생애와 인격
제1절 생애
제2절 대인의 기상
제3절 시대적 사명과 인격의 전형
제2장 맹자의 심성론
제1절 성선의 삼단계 논증
제2절 불선으로 성선을 반증함
제3절 심선으로 성선을 논증함
제4절 심.성.정.재의 의미
제3장 인의내재
제1절 인의내재
제2절 인에 살고 의를 따르다.인의를 따라 행하다
제3절 군자의 성과 명
제4절 일차적 의미의 성과 이차적 의미의 성
제4장 진심지성으로 천을 알다
제1절 심성천은 하나다
제2절 지나가는 곳은 교화된다.하늘과 더불어 덕을 합하다
제3절 천.명.천도
제5장 맹자의 수양론
제1절 상지와 상우
제2절 존양과 확충
제3절 선을 명학히 알고 자신을 성실히 하다.형색을 실천하여…
제6장 지언과 양기
제1절 지언
제2절 양기
제3절 지언.양기로부터 부동심에 이르다
제7장 맹자의 가치관과 윤리관
제1절 천작과 인작
제2절 의리와 생사
제3절 독선.겸선과 광견
제4절 친치를 친히 하고 백성을 인하게 하고 만물을 사랑함
제8장 맹자의 정치 사상
제1절 인심을 미루어 인정을 실행하다
제2절 민본정치
제3절 정권 이양의 원칙
제4절 민본에서 민주에 이르다
제9장 맹자의 학술 비평
제1절 고자는 성과 의를 알지 못했다
제2절 양주와 묵적을 비판함
제3절 허행이 나란히 하여 똑같이 한 것은 천하를 어지럽힌…
제4절 자막은 중도를 고집하였지만 균형을 잡지 못하였다
[ 순자의 철학 ]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말
제1장 순자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제1절 생애
제2절 전국시대의 물질지상주의
제3절 유학에 대한 순자의 공헌
제2장 순자의 천론
제1절 자연을 의미하는 하늘
제2절 하늘과 인간은 각기 자신의 본분을 가지고 있다
제3절 하늘을 낳고 인간은 완성한다
제4절 하늘을 다스리고 이용함과 하늘을 섬김
제3장 순자의 성론
제1절 성의 세 가지 의미
제2절 성의 내용
제3절 본성을 변화시켜 인위를 일으키다
제4절 마음으로 본성을 다스리다
제4장 순자의 심론
제1절 지식으로 심을 인식하다
제2절 심의 주재성
제3절 허일정과 대청명
제4절 폐와 해폐의 방법
제5장 순자의 명론
제1절 명의 분류
제2절 명칭 제정의 세 가지 표준
제3절 명칭 제정의 규칙
제4절 개념.명제.논변
제6장 순자의 예의지통론
제1절 예의를 받들고 시서를 그 다음으로 하다
제2절 법선왕과 법후왕
제3절 통류와 예의지통을 알다
제4절 예의와 변별.직분.사회
제7장 순자의 도덕 수양론
제1절 도덕과 예악
제2절 학문과 수양
제3절 유자의 분류
제8장 순자의 군주론
제1절 천자는 선양이 없다
제2절 군주론의 네 가지 뜻과 군주의 도덕적 책임
제3절 장교 분리의 문제
제4절 순자의 정치 사상
제9장 순자 철학의 새로운 평가
제1절 순자 철학의 성격
제2절 순자와 주희의 비교
제3절 순자 철학의 시대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