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산 정약용의 <역학서언>, <주역>의 해석사를 다시 쓰다

다산 정약용의 <역학서언>, <주역>의 해석사를 다시 쓰다

(고금의 역학사를 종단하고 동서 철학의 경계를 횡단하다)

방인 (지은이)
예문서원
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1,750원 -5% 0원
1,860원
59,890원 >
61,750원 -5% 0원
0원
61,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9,000원 -10% 1950원 33,150원 >

책 이미지

다산 정약용의 <역학서언>, <주역>의 해석사를 다시 쓰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산 정약용의 <역학서언>, <주역>의 해석사를 다시 쓰다 (고금의 역학사를 종단하고 동서 철학의 경계를 횡단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88976464064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다산 정약용의 '역학서언'을 바탕으로 역학사상사를 바라보는 다산의 관점을 재구성한 책이다. 다산 역학의 주제를 여덟 개의 범주로 설정한 뒤 20편의 논문들을 그 유형적 특성에 맞게 나누어 배치하였고, 마지막에는 보론補論으로 한 편의 글을 추가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천명을 묻다
제1장 청명請命ㆍ품명稟命ㆍ순명順命
제2장 우연성ㆍ결정론ㆍ자유의지
제2부 춘추관점에서 '주역' 서법의 원형을 찾다
제3장 「춘추관점보주」의 하상지구법설
제4장 출토문헌의 시각에서 본 다산의 춘추관점 이해
제3부 한역에서 추이설과 효변설의 계보를 추적하다
제5장 「한위유의론」의 역학 비평
제6장 「당서괘기론」을 통해서 본 벽괘설의 근원
제7장 다산역의 관점에서 본 경방의 벽괘설
제8장 다산역의 관점에서 본 경방의 효변설
제9장 우번의 괘변설과 다산의 추이설의 비교
제4부 역학사의 이단자들을 꾸짖다
제10장 왕필과 그 후계자들의 잘못을 나무라다
제11장 소옹의 선천역이 근거가 없음을 비판하다
제5부 송ㆍ명ㆍ청대의 역학 대가들을 비평하다
제12장 역리사법이 마치 주자로부터 온 것처럼 말했으나, 실제로 주자로부터 취한 것은 많지 않다
제13장 내지덕을 역가易家의 하승下乘이라고 혹평하다
제14장 이광지가 제왕의 세勢를 끼고 유종의 지위를 차지한 것을 비난하다
제6부 역학 선배들로부터 한 수 배우다
제15장 오징으로부터 양호작괘법을 배워서 실험하다
제16장 모기령을 심하게 비난하였으나 몇 가지 중요한 개념들을 빌려 오다
제7부 동서를 가로질러 역리를 논하다
제17장 유럽 예수회 선교사들의 '주역' 이해
제18장 다산의 우주발생론에 미친 마테오 리치의 영향
제8부 다산역의 변증법과 토폴로지
제19장 다산역의 변증법
제20장 '주역'과 풍수 담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토폴로지
〈보론〉 초의 수초본 '주역사전'의 '여유당집' 권수卷數의 문제
끝맺는 말

저자소개

방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태현(太賢)의 유식철학(唯識哲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철학과에서 30년 이상 재직하였으며, 지금은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다산 정약용의 「주역사전(周易四箋)」, 기호학으로 읽다』, 『다산 정약용의 「역학서언(易學緖言)」, 「주역」의 해석사를 다시 쓰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제자 장정욱과 함께 번역한 『주역사전』(전8권) 등이 있다. 최근에는 조아킴 부베(Joachim Bouvet)의 역학사상에 관심을 갖고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반적으로 역학이론은 상수象數와 의리義理의 두 계통으로 구분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64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