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17~18세기 프랑스 예수회 신부들의 역경 이해 - 하

17~18세기 프랑스 예수회 신부들의 역경 이해 - 하

(성경으로 역경을 이해하다)

진흔우 (지은이), 방인, 등효정, 김보름, 최정섭 (옮긴이)
동문연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17~18세기 프랑스 예수회 신부들의 역경 이해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7~18세기 프랑스 예수회 신부들의 역경 이해 - 하 (성경으로 역경을 이해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9037458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25-04-24

책 소개

안양대HK+ <동서교류문헌연구총서 4~5권.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중국에 파견된 프랑스 예수회 신부들의 독창적인 『역경(易經)』을 해석하고 그 전통을 조명한 국내 최초의 본격 연구 번역서이다.

목차

발간에 즈음하여
한국어판 역자 서문
서문

제5장 부베의 제자 푸케의 역학사상 연구
제1절 푸케와 부베의 관계
제2절 바티칸도서관에 소장된 푸케의 역학 자료 개론
제3절 푸케의 초기 『역경』 사상 연구
제4절 푸케의 천문학과 수학 연구 정황
제5절 푸케의 역학사상의 특징

제6장 부베의 제자 프레마르의 역학사상 연구
제1절 프레마르와 부베의 관계
제2절 바티칸도서관에 소장된 프레마르의 역학 자료 개괄
제3절 프레마르의 역학사상 연구
제4절 프레마르의 역학사상의 특징
제5절 유응(劉凝)이 프레마르의 역학 연구에 미친 영향

제7장 부베의 역학사상의 영향
제1절 기독교 역학의 경학적 발전
제2절 기독교 역학과 예의논쟁
제3절 기독교 역학과 색은역학
제4절 기독교 역학의 유럽 전파

제8장 부베의 역학사상의 한계
제1절 가치의 기준: 『역경』 중심인가? 아니면 『성경』 중심인가?
제2절 방법의 선택: 『역경』 의리학인가? 아니면 『성경』 해석학인가?
제3절 형상해독: 복희의 형상에 대한 왜곡인가? 아니면 해석의 다양화인가?
제4절 총체적 충돌: 경학의 돌파인가? 아니면 선교의 본분인가?

맺는말

부록
참고문헌
색인
연표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저자소개

진흔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에 태어났으며, 중국 사천(四川) 의롱(儀隴) 출신이다. 이탈리아 로마대학 박사과정에 유학가서, 바티칸 도서관에 소장된 프랑스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들의 『역경』에 관한 한문 필사본 저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때의 연구를 기초로 삼아 인민대학에서 장립문(張立文) 교수의 지도로 조아킴 부베(Joachim Bouvet, 1656-1730)의 역학사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북경행정학원 철학・문화교육연구부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대학교 마테오 리치 연구소와 벨기에 루뱅대학교에서 방문학자로 활동했다. 그녀의 연구 성과로는 30여 편의 논문과 4권의 저서가 있다. 그중에서 『춘추석명(春秋石銘)-북경책란묘지역사급현존비문고(北京柵欄墓地歷史及現存碑文考)』(人民出版社, 2020)는 중국에 파견된 서양 선교사들의 묘비명을 연구한 저서이다.
펼치기
최정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연구의 민족지적 성격과 문헌학적 성격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북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금은 안양대 HK연구교수이다. 대표 역서로는 『청말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 조공과 조약 사이에서』, 『텍스트의 제국』, 『고대 중국의 글과 권위』, 『방법으로서의 중국』(공역), 『위대한 중국학자』(공역), 『사서기정 역주』(공역), 『만유수록 역주』(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최정섭의 다른 책 >
방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태현(太賢)의 유식철학(唯識哲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철학과에서 30년 이상 재직하였으며, 지금은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다산 정약용의 「주역사전(周易四箋)」, 기호학으로 읽다』, 『다산 정약용의 「역학서언(易學緖言)」, 「주역」의 해석사를 다시 쓰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제자 장정욱과 함께 번역한 『주역사전』(전8권) 등이 있다. 최근에는 조아킴 부베(Joachim Bouvet)의 역학사상에 관심을 갖고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보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안동대학교 국학부를 졸업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전공에서 다산 정약용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HK연구교수이다. 대표 업적으로는 “『주제군징(主制群徵)』에 나타난 서양의학 이론과 중국과 조선에서의 수용 양상”, “다산 정약용의 『상서고훈』 저술과 개정 과정 연구: 필사본의 검토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등효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길수대학교(吉首大學) 중문학부를 졸업한 후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고 방인 교수의 지도 아래 다산 정약용의 『중용(中庸)』사상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중국 광동백운대학교(廣東白雲學院) 외국어학부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논문으로는 “다산 정약용과 주희의 중용사상 비교”, “중한언어간의 사고방식 비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선교는 어느 한 사람의 개인적 사업이나 일시적 사업이 아니며 기독교 공동체의 장기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국 타향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던 부베는 동료 선교사들을 만나서 공동으로 학술연구를 함으로써 큰 위로를 받을 수 있었다. 부베의 주변에는 중국 문화 연구를 위한 그의 기획에 기꺼이 참여하고자 하는 몇 사람의 예수회 출신 동료 선교사들이 있었다. 그들의 공동 연구에서 중심이 되었던 것은 『역경』이었으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은 장 프랑수와 푸케(Jean Francois Foucquet, 傅聖澤, 1665-1741), 조제프 앙리 마리 드 프레마르(Joseph Henri Marie de Premare, 馬若瑟, 1666-1736), 장 알렉시 드 골레(Jean Alexis de Gollet, 郭中傳, 1664-1741) 등이었다.


어떤 사람도 푸케처럼 『역경』에 있는 그렇게 많은 64개의 역학 범주를 분류하여 역학에 통일적 구도를 제시함으로써 『역경』의 핵심 사상을 드러낸 사람은 없었다. 푸케는 『역경』으로부터 범주 개념을 취하여 『역경』의 성격, 범위 및 유형에 대하여 분류하였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역경』의 핵심 개념을 범주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푸케의 시각에서 보면, 『역』은 “오경(五經)”의 근원이다. 『역』은 하늘로부터 나온 것이며, 그것이 중요 주제는 다음과 같은 셋으로 정리될 수 있다. 즉 역학범주의 확정, 상호관계 및 운용방식이다.


프레마르는 『역경』의 지위와 저자를 확정한 이후에, “기독교로 『역경』을 해석”하는 방식을 써서, 선천과 후천의 구별, 초조와 재조의 공(功)을 나누고, 중화(中華)와 대진(大秦), 『성경』과 중국의 전통경전을 결합해서 『역경』의 “삼역(三易)” 개념을 해석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