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9037458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25-04-24
책 소개
목차
발간에 즈음하여
한국어판 역자 서문
서문
제5장 부베의 제자 푸케의 역학사상 연구
제1절 푸케와 부베의 관계
제2절 바티칸도서관에 소장된 푸케의 역학 자료 개론
제3절 푸케의 초기 『역경』 사상 연구
제4절 푸케의 천문학과 수학 연구 정황
제5절 푸케의 역학사상의 특징
제6장 부베의 제자 프레마르의 역학사상 연구
제1절 프레마르와 부베의 관계
제2절 바티칸도서관에 소장된 프레마르의 역학 자료 개괄
제3절 프레마르의 역학사상 연구
제4절 프레마르의 역학사상의 특징
제5절 유응(劉凝)이 프레마르의 역학 연구에 미친 영향
제7장 부베의 역학사상의 영향
제1절 기독교 역학의 경학적 발전
제2절 기독교 역학과 예의논쟁
제3절 기독교 역학과 색은역학
제4절 기독교 역학의 유럽 전파
제8장 부베의 역학사상의 한계
제1절 가치의 기준: 『역경』 중심인가? 아니면 『성경』 중심인가?
제2절 방법의 선택: 『역경』 의리학인가? 아니면 『성경』 해석학인가?
제3절 형상해독: 복희의 형상에 대한 왜곡인가? 아니면 해석의 다양화인가?
제4절 총체적 충돌: 경학의 돌파인가? 아니면 선교의 본분인가?
맺는말
부록
참고문헌
색인
연표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선교는 어느 한 사람의 개인적 사업이나 일시적 사업이 아니며 기독교 공동체의 장기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국 타향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던 부베는 동료 선교사들을 만나서 공동으로 학술연구를 함으로써 큰 위로를 받을 수 있었다. 부베의 주변에는 중국 문화 연구를 위한 그의 기획에 기꺼이 참여하고자 하는 몇 사람의 예수회 출신 동료 선교사들이 있었다. 그들의 공동 연구에서 중심이 되었던 것은 『역경』이었으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은 장 프랑수와 푸케(Jean Francois Foucquet, 傅聖澤, 1665-1741), 조제프 앙리 마리 드 프레마르(Joseph Henri Marie de Premare, 馬若瑟, 1666-1736), 장 알렉시 드 골레(Jean Alexis de Gollet, 郭中傳, 1664-1741) 등이었다.
어떤 사람도 푸케처럼 『역경』에 있는 그렇게 많은 64개의 역학 범주를 분류하여 역학에 통일적 구도를 제시함으로써 『역경』의 핵심 사상을 드러낸 사람은 없었다. 푸케는 『역경』으로부터 범주 개념을 취하여 『역경』의 성격, 범위 및 유형에 대하여 분류하였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역경』의 핵심 개념을 범주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푸케의 시각에서 보면, 『역』은 “오경(五經)”의 근원이다. 『역』은 하늘로부터 나온 것이며, 그것이 중요 주제는 다음과 같은 셋으로 정리될 수 있다. 즉 역학범주의 확정, 상호관계 및 운용방식이다.
프레마르는 『역경』의 지위와 저자를 확정한 이후에, “기독교로 『역경』을 해석”하는 방식을 써서, 선천과 후천의 구별, 초조와 재조의 공(功)을 나누고, 중화(中華)와 대진(大秦), 『성경』과 중국의 전통경전을 결합해서 『역경』의 “삼역(三易)” 개념을 해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