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의 프로토타입, 원 복속기 (원 복속기 외교의례의 전환과 그 역사적 유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76965981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5-02-28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76965981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고려 말기 이후 명(明)에 대한 외교의례의 전범으로 기능했으나 그간 존재가 제대로 조명되지 않았던 『번국의주(蕃國儀注)』의 실체를 규명했다. 아울러 외교의례의 운용에서 『번국의주』를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했는지를 고려 말기를 중심으로 면밀히 탐구했다.
목차
책을 시작하며
1부 명에 대한 외교의례의 전범, 『번국의주(蕃國儀注)』
1장 『번국의주』의 ‘발견’과 복원―영조례(迎詔禮) 의주를 중심으로
2장 고려 말기 외교의례 작성·운영에서 『번국의주』의 활용 양상
2부 외교의례의 전환과 몽골 임팩트
1장 원 복속기 외교의례의 전환과 그 전유·계승―‘전형적’ 제후국 외교의례의 창출
2장 배표례(拜表禮)의 등장과 그 전유·존속
3장 원 복속기 망궐례(望闕禮)의 거행과 예식의 변화―원종·충렬왕 대를 중심으로
4장 조선 초기 영조례 운영과 『번국의주』
3부 국왕 국상(國喪) 시 외교의례의 변화상
1장 책봉국을 상대로 한 외교의례의 변화―고애(告哀)·칭사(稱嗣)에서 고부(告訃)·청시(請諡)·청승습(請承襲)으로
2장 황제국 측 조문 외교의례의 변화
3장 원 복속기 국왕 국상 시 외교의례의 전환과 이후 그것의 존속
4부 외교의례를 둘러싼 조선과 명의 갈등에 대한 새로운 이해
1장 조서 맞이 예식에 대한 조선과 명 사신의 갈등―오배삼고두(五拜三叩頭)의 수용을 둘러싸고
2장 성종 19년 영조칙례를 둘러싼 조선과 명 사신의 갈등과 그 성격
3장 조칙합영(詔勅合迎)과 영칙 시 승연(乘輦)의 성취와 그 의미
책을 마무리하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