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순창의 성황대신사적과 단오난장

순창의 성황대신사적과 단오난장

송화섭, 이훈상, 최종석, 서영대, 채미하, 이용범, 김대길, 심승구, 설정환, 설해인, 김경미, 이형성 (지은이), (사)호남문화콘텐츠연구원 (엮은이)
민속원
5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6,000원 -0% 0원
2,800원
53,200원 >
50,4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5,040원
45,3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순창의 성황대신사적과 단오난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순창의 성황대신사적과 단오난장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28519927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24-03-27

책 소개

성황대신사적에는 고려말경에서 조선후기까지 순창의 성황신앙사가 기록되어 있다. 현판 내용에는 고려시대의 이두문자로 순창의 성황신에게 성황대왕과 성황대부인의 존호를 내려주는 내용이 등장한다.

목차

책 머리에

1부 성황대신사적편

 1장 성황대신사적과 대모산성 성곽설화를 통해서 본순창의 치소성과 성황당_송화섭
  1. 머리말
  2. 순창 성황대신사적(城隍大神事跡)의 성황당(城隍堂)과 대모산성(大母山城)
  3. 순창 성황대신사적의 산성대모와 대모산성의 성곽설화
  4. 순창의 성황신앙 변천과 성황당(城隍堂)ㆍ대모신당(大母神堂)
  5. 맺음말

 2장 조선시대 읍치 성황제의 이원성과 순창의 향리 사회그리고 이들의 역사 서사로서 성황대신사적기_이훈상
  1. 머리말
  2. 순창과 인접 7개 읍의 성황사와 신상 그리고 토성(土姓)
  3. 순창과 인접 7개 읍의 향리 사회와 이들의 역사적 연고권
  4. 1563년의 순창 향리 사회와이들의 역사 서사로서 성황대신사적기 읽기
  5. 1728년 무신난 이후 지역 통제와 1740년대 성황사 재건 프로젝트
  6. 조선후기 향리 사회의 구조적 변동과 1740년대 순창의 향리 사회
  7. 맺음말 : 1908년 국가 사전의 재편과 성황제의 향방
  부록

 3장 16세기 중엽 순창 향리사회의 성황대신사적(城隍大神事跡) 현판 제작의 배경과 과정_최종석
  1. 머리말
  2. 향리층 주도 성황제의 폐지 위기와성황대신사적(城隍大神事跡) 현판 제작
  3. 성황신=설공검 등식 창출과 향리층 주도 성황제의 정당성 강화
  4. 맺음말을 대신하여

 4장 고려시대의 봉신제(封神制)와 순창 「성황대신사적」_서영대
  1. 머리말
  2. 고려시대의 봉신제
  3. 「순창성황대신사적」의 검토
  4. 맺음말

 5장 순창 단오성황제 비교연구_서영대
  1. 머리말
  2. 순창 「성황대신사적」의 단오성황제 기사
  3. 한국의 다른 의례와의 비교
  4. 맺음말
  ※ 관련 사료

 6장 순창 성황제의 주신(主神)과 그 변이(變移)_채미하
  1. 머리말
  2. 성황대신(城隍大神), 문량공 설공검
  3. 대모산성(大母山城)의 산성대모(山城大母)와 양씨부인
  4. 순창 성황신의 변이(變移)
  5. 맺음말

 7장 순창 성황제 신격(神格) 소고_이용범
  1. 머리말
  2. 순창의 성황신
  3. 순창 성황신의 특징
  4. 맺음말


2부 단오난장편

 8장 전라도의 정기시장 발달과 순창의 장시(場市)_김대길
  1. 머리말
  2. 장시의 설립과 확산
  3. 장시 발달 추이와 기능의 다변화
  4. 순창의 장시발달과 변동 양상
  5. 맺음말

 9장 조선 난장의 개념과 역사적 실체_심승구
  1. 접속하며
  2. 난장의 개념과 용례
  3. 난장의 형성과 변천
  4. 나가며

 10장 순창 단오난장의 무형문화재적 가치_송화섭
  1. 머리말
  2. 난장의 의미와 순창의 단오난장
  3. 순창 단오제의 난장판
  4.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순창의 단오난장
  5. 순창 단오난장의 놀음문화사적 가치
  6. 맺음말

 11장 순창 단오제의 문화원형 탐색적 고찰_설정환ㆍ설해인
  1. 연구배경과 목적
  2. 연구기간 및 대상
  내가 걷는 만큼이 우리 동네다.
  3. 순창 단오를 기억하는 사람들(현장 인터뷰)

 12장 순창 단오성황제의 활용과 관광자원화_김경미
 -‘SDGS’와 ‘Inclusive Tourism’의 시선으로-
  1. 머리말
  2.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포용관광(Inclusive Tourism)
  3. 순창단오성황제의 선행연구 탐색
  4. 순창단오성황제의 관광자원화 특성과 가치
  5. 지역민속제의를 활용한 축제관광 자원화 사례
  6. 맺음말

 부록 순창 성황대신사적 현판 역주_이형성
  1. 사적(事跡) 현판(懸板) 판독(判讀)과 자체검교(字體檢校)
  2. 사적 현판 통용자(通用字) 전환 및 역주(譯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서영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조선무속고》(역서, 창비, 2008), 〈道與東方文化〉(공저, 중국 《宗敎文化出版社》, 2012), 〈무당내력 소재 단군기사의 검토〉(《민족문화논총》 59, 2015)
펼치기
이훈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동아대학교 인문학부 사학전공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조선 후기의 향리』, 『향리의 역사서 ‘연조귀감’과 그 속편을 편찬한 상주의 향리 지식인 이명구 가문과 그들의 문서』(편저), 『조선 후기 동래의 엘리트와 천주교 수용자들 그리고 이에 관한 고문서』(공편저), 『조선 후기 언양의 창녕 성씨 가문과 천주교 수용자들, 그리고 이에 관한 고문서』,『조선후기 동래의 武廳先生案과 武任 총람』(공편저) 외 다수의 고문서 편저가 있고, 역서로는 제임스 팔레의 『전통 한국의 정책과 정치』, 메리 더글러스의 『순수와 위험: 오염과 금기의 분석』(공역), 에드워드 와그너의 『조선왕조사회에 있어서 성취와 귀속』(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채미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에서 문학사 · 문학석사 ·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인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2004.11~2005.10),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2008.9~2011.8), 한성대학교 한국고대사연구소 학술연구원(2013.9~2016.8),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 연구교수(2016.12~2019.11) 및 경희대 · 경희사이버대 · 서울교대 · 충남대 · 서일대 강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시간강사로 재직 중이며, 신라사학회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저서 및 공저로는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혜안, 2008), 『신라의 오례와 왕권』(혜안, 2015), 『일제강점기 언론의 신라상 왜곡』(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한국고대국가제의와 정치』(혜안, 2018)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신라의 冊封儀禮와 그 기능」(『사학연구』127, 2017), 「진성왕 전후의 외교문서와 신라」(『한국사연구』179, 2017), 「애장왕?헌강왕대의 대일외교와 그 활용」(『신라사학보』44, 2018), 「백제 웅진시기 조상제사와 壇」(『한국고대사탐구』33, 2019), 「문무왕?신문왕대의 대일본관계」(『사총』99, 2020), 「사로국의 성장과 유이민」(『신라사학보』50, 2020), 「삼한의 ‘祭天’과 동예 舞天의 포용성」(『백제문화』62,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최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국사학 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국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은 「고려시대 治所城 연구」이다.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의 사회사, 문화사, 그리고 심성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민족주의 역사학을 비롯한 근대 역사학의 인식적 한계를 넘어 새로운 상상력을 통해 한국사를 재구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2014), 『한국문화의 정체성』(공저, 2021), 『고려에서 조선으로―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공저, 2019),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조선 편』(공저, 2018), 『고려 역사상의 탐색』(공저, 2017), 『조선시대 예교담론과 예제질서』(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용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무속을 비롯한 한국민속종교를 연구해왔다. 대표 논저로 「한국무속과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비교 : 접신接神의 체험과 신神개념을 중심으로」(『비교민속학』, 2014), 「도시마을에서의 마을신앙 변화」(『민속연구』, 2013), Korean Popular Beliefs[지문당, 2015(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송화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중앙대학교 교수. 전라북도 문화재위원, 한국역사민속학회 회장, 한국암각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후백제학회 회장과 전북문화살롱 대표를 맡고 있다.
펼치기
김대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율곡연구원 전문위원
펼치기
설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옥천문화연구원 소장
펼치기
설해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옥천문화연구원 연구보조원
펼치기
김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대학교 관광외식서비스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사)호남문화콘텐츠연구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사)호남문화콘텐츠연구원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